나를 있는 그대로 볼 때 진짜 나를 만난다.
참다운 나를 만나는 길은 나를 있는 그대로 관찰할 때 나를 만난다.
동화작가 안데르센은 자신의 가난하고 어려운 환경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생각해 보니 나의 역경은 축복이었습니다.
가난했기에 『성냥팔이 소녀』를 쓸 수 있었고,
못생겼다고 놀림 받았기에 『미운오리 새끼』를 쓸 수 있었습니다.”
어려운 환경에 좌절하면 힘겹고 고단한 인생이 되지만,
역경 속에서도 노력하고 뭔가를 하나씩 배우면 명작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촛불을 붙였다가 끌 때,
그 촛불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입니까.
연 따라 왔다가 연 따라 갈 뿐입니다.
온 곳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가는 곳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성냥과 심지가 만나서, 인과 연이 만나서 불이 붙은 것이고
심지가 다 타 버리면 연이 다해서 불이 꺼져 버릴 뿐입니다.
마음이 머문다는 것은 애착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면 그 사람이 계속 떠오릅니다.
아주 멋진 장소에 간 적이 있거나 아름다운 시절이 있었다면
그 순간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것이 애착이며 머무르는 것입니다.
물이 머무르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썩어 버립니다. 물은 계속 흘러야 합니다.
우리가 밥 먹고, 발 씻고, 밥그릇 챙기고, 옷 입고, 자리에 앉는 것.
이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경전을 배워서 실천하는 것도
절대 일상사를 떠나서 있지 않습니다.
일상사에서 모든 가르침이 실현돼야만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자주 하는 말이
‘수행은 연습이요, 생활의 실전이다.’입니다.
옷을 입을 때 옷을 입을 뿐, 밥을 먹을 때 밥을 먹을 뿐,
발을 씻을 때 발을 씻을 뿐, 앉을 때 앉을 뿐.
이것이 되어야 우리 생활이 온전하게 유지되고
진리에 입각한 삶으로 거듭납니다.
행복도 내 작품입니다. 따라서 불행도 내 작품입니다.
고정된 ‘나’가 없으므로 어떠한 ‘나’도 만들 수 있습니다.
텅 비었기 때문에 무엇이든 채울 수 있습니다.
내 작품이기 때문에 내가 선택합니다.
금강경은 아주 특별한 경전이다.
종교 경전임에도 불구하고 신이든, 부처든, 돈이든
다 나를 위해서 있는 것이고, 주인은 바로 나라고 강조한다.
모든 것은 공(空)하기 때문에 허무맹랑한 것이 아니라,
텅 비어 있기 때문에 무엇이든,
어떤 모양으로든 만들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금강경은 불교 경전이기 이전에 모든 이들의 삶을 위한 철학이다.
먼 미래나 내일을 보장받는 허황된 이야기가 아닌,
오늘의 삶을 완전히 불태울 불씨를 건네주는 것이 이 경전이다.
세상이 아름다운 이유는 내가 살아있기 때문이다.
내가 사라지면 모든 것이 사라진다. 내가 삶의 주인공이다.
내 안에 있는 나를 긍정하고 인정할 때 참다운 나를 발견할 수 있다.
- 출처 : 월호 스님 행복도 내 작품이다.
첫댓글 내 안에 있는 나를 인정할 때 참다운 나를 발견할 수 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