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 어원해석 |
computer | ■ 컴퓨터와 count의 어원
◆ compute, count, 그리고 이중어(doublet) ◾컴퓨터(computer)는 "계산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compute에 접미사 -r이 결합한 단어인데, 원래 computer라는 단어는 "기계"를 일컫는 것이 아닌 "계산을 전문적으로 하던 사람"을 뜻하던 단어였습니다. ◾compute라는 단어는 또 다른 영어 단어 count(세다)와 의미와 어원이 같은 짝으로, 이러한 단어들의 쌍을 이중어(doublet)이라고 합니다. ◾compute라는 단어는 같은 뜻을 가진 라틴어 동사 computo(computare- computavi- compitatum)가 영어로 바로 들어온 단어이고, count라는 단어는 옛 프랑스어(conter)를 거친 다음 영어로 들어와 그 모양이 달라졌을 뿐입니다.
◆ 라틴어 동사 puto와 그 파생 어휘들 ◾라틴어 동사 computo(계산하다, 세다)는 라틴어 전치사 cum(~와 함께)과 라틴어 동사 puto(putare- putavi- putatum)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라틴어 동사 puto는 "순수한, 맑은"이라는 뜻의 형용사 putus에서 파생된 단어로, 원래는 "청소하다, 정돈하다"라는 의미였는데 나중에 "생각을 정돈하다", "생각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라틴어 동사 puto에 "떨어져, 반대의"라는 의미를 가진 접두사 dis-가 결합해 만들어진 단어가 dispute(논쟁)로, 원래 "생각이 떨어져 있다", "생각이 다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reputation(명성)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동사 puto에 "다시(again)"라는 의미의 접두사 re-가 결합된 단어로, 원래는 "다시 생각하다", "떠올리다"라는 의미를 가진 셈입니다. |
minor minimus
| ■ 라틴어 형용사 : 작은(parvus), minor(더 작은), (가장 작은)minimus
◾앞선 장에서 "크다"는 의미의 라틴어 형용사 magnus와 그 비교급 및 최상급에서 파생된 어휘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magnus의 반대말인 parvus(작은)의 비교급(minor) 및 최상급(minimus)에서 파생된 어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작다"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 원급 parvus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는 parvovirus(파르보 바이러스) 같은 몇몇 전문용어 외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비교급 minor, 최상급 minimus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비교급 minor와 minus (1) ◾라틴어는 형용사도 남성, 여성, 중성의 3가지 성으로 구분됩니다. parvus의 비교급 minor(더 적은) 역시 남성 및 여성형은 minor, 중성형은 minus로 나뉩니다. ◾parvus의 비교급 중성형 minus는 "빼기"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minus(마이너스*)의 어원이 되는 단어입니다. minus의 파생 어휘로 minuscule(극소의)이라는 단어도 찾을 수 있습니다.
* "플러스"와 "마이너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댓글창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라틴어 비교급 minor에서 파생된 대표적인 단어로는 minor(작은, 적은, 소수의), minority(소수) 등이 있습니다.
◆ 비교급 minor와 minus (2) ◾"행정 각 부의 장관"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minister와 "행정 각 부"를 의미하는 ministry 역시 parvus의 비교급 minor에서 파생된 단어들입니다. ◾minister는 "더 낮은 위치에서 누군가를 보조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기 때문에, (왕이나 총리를 보조하는) 장관, (하느님의 뜻을 받드는) 목사, (대사를 보조하는) 공사 등의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총리 또는 수상"를 의미하는 prime minister는 minister 앞에 라틴어로 "첫째(first)"를 의미하는 primus의 파생 어휘 prime이 부가된 것으로 "첫째 장관, 으뜸가는 장관"이라는 의미입니다. ◾minister에 라틴어 전치사 ad(~에)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administer(관리하다, 경영하다), administration(행정) 등이 있습니다.
◆ 최상급 minimus-minima-minimum ◾parvus의 최상급 minimus(가장 작은)에서 파생된 단어로 작은 것들을 부를 때 많이 쓰는 mini(미니)가 있습니다. ◾이 밖에 동사 minimize(최소화하다), minimus의 여성형 minima에서 파생된 minimal(최소의), 중성형 minimum에서 파생된 minimum(최저, 최소) 등의 단어가 있습니다. |
university universe | ■ 우주(universe)와 대학(university)의 어원
◆ university와 universitas(f.) ◾아래 사진은 체코 프라하에 위치한 카를대학교(Charles University)의 모습입니다. 벽면에 학교의 이름이 라틴어 "UNIVERSITAS CAROLINA(우니웨르시타스 카롤리나)"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미뤄 짐작할 수 있듯이 "대학교"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university는 같은 뜻의 라틴어 universitas(f.)에서 파생된 어휘입니다.
◆ university와 universe ◾"대학교"라는 뜻의 라틴어 여성형 명사 universitas(f.)는 "전체의, 일반적인"이라는 뜻의 라틴어 형용사 universus, 부사 universe의 명사형이며, universus와 universe는 "우주"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universe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결국, university(대학교)와 universe(우주)는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들입니다.
◆ university와 universe의 어원 ◾라틴어 형용사 universus는 숫자 1을 뜻하는 라틴어 unus가 변화한 uni-와 "돌다, 돌리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verto(vertere-verti-versum)의 과거수동분사형인 versus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따라서 universus는 "콤파스(compass)로 한(unus) 바퀴를 돌려(versus) 원을 그리는 것"처럼 "전반을 아우르는, 전반적인, 일반적인"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고, 나중에 "우주"라는 뜻으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우주"를 나타내는 단어 중 cosmos*는 "질서"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kósmos(κόσμος)에서 파생된 단어이며 universe는 라틴어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 우리가 잘 아는 꽃 이름 "코스모스"도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입니다.
■ universe와 university
◾지난 앞 장에서 universe와 university가 라틴어 숫자 1을 뜻하는 unus와 "돌다(turn)"라는 뜻의 동사 verto(vertere- verti- versum)가 결합되어 만들어졌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unus와 verto 각각에서 파생된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 unus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들 ◾unus에서 파생된 많은 어휘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만 소개드리면 unus와 라틴어로 "뿔"을 의미하는 명사 cornu(n.)가 결합한 unicorn(유니콘, 일각수), unus와 "모양"을 의미하는 라틴어 명사 forma(f.)가 합쳐진 uniform(유니폼)이 있습니다. ◾그리고 unus와 동사 facio(facere-feci-factum : 만들다)가 결합된 동사 unify, 명사 unification(통일)이 있습니다.
◆ verto(돌다, 회전하다)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들
◾라틴어 동사 verto는 라틴어 전치사들이 접두사 형태로 결합되어 많은 영어 단어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말씀드리면 advert(언급하다), convert(전환하다), pervert(오해하다), vertebra(척추, 척추뼈) 등의 단어가 있습니다.
◆ versus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들 ◾영어 단어에는 라틴어 동사 verto의 과거수동분사형인 versus(또는 목적분사형인 versum)에서 파생된 것들도 많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스포츠, 게임, 전투 등의 당사자나 상대방을 표시할 때 쓰는 영어 약어 "VS."는 versus*의 축약형입니다.
* 라틴어 versus는 "~을 향하여, ~에 대항하여"라는 의미의 부사(adverb)로도 변화되어 사용되었는데 영어 단어 versus는 이 라틴어 부사를 그대로 가져온 것입니다.
◾이 외에도 versus(또는 versum)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로는 adverse(부정적인), averse(싫어하는), conversation(대화), converse(대화하다), inverse(반대의), reverse(반대의), versatile(다재다능한), verse(시), version(버전) 등이 있습니다. |
January | ■ 1월(January)의 어원
1월은 수위 아저씨(janitor)의 달 ◾오늘은 1월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January와 관련된 어원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January는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의 1년의 첫 번째 달입니다. 예전 장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로마 왕정 초기까지는 March가 1년의 첫 번째 달이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January라는 단어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두 얼굴(bifrons)의 신 Ianus(Janus)에서 나왔습니다. Ianus의 형용사형인 ianuarius가 영어화되어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Ianus라는 신(deus)의 이름은 "(문짝이 2개 달린) 출입구"를 의미하는 라틴어 명사 ianua(f.)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Ianus는 "시작, 대문, 시간, 출입구, 이중성(duality)" 등을 주관하는 신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따라서 January는 한 해(annus)의 문을 열어주는 달(mensis)로서 문지기 역할을 하는 달인 셈입니다. ◾ianua(f.)의 어원을 좀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뚜껑이 덮힌 통로(아케이드)"를 의미하는 ianus(m.)라는 단어를 찾을 수 있고, "통로, 여행, 운송수단"의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단어 yana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전에 "수위 아저씨"라고 나오는 영어 단어 janitor도 동일한 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janitor라는 단어는 "문지기"라는 의미의 라틴어 명사 ianitor에서 파생된 단어로, ianua(f.)와 "행위자를 나타내는 남성형 접미사" -tor이 결합하여 생성된 단어입니다. ◾접미사 -tor은 나중에 영어로 넘어 와 행위자나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 -or로 변화합니다. 관련되는 영어 단어로는 sailor, instructor, gladiator 등이 있습니다. |
nectar juice | ■ 감로(nectar)와 주스(juice)의 어원
◾nectar와 juice는 모두 음료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단어들인데, 어원적으로 보면 nectar는 고대 그리스어 어원을, juice는 라틴어 어원을 가졌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nectar ◾"꽃에서 만들어지는 꿀"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nectar는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이 마시던 특별한 음료를 일컫는 단어였습니다. 즉, 영어 단어 nectar는 고대 그리스어 중성형 명사 néktar(n., νέκτᾰρ)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고대 그리스어 단어 néktar에서 nek은 원시인도유럽어에서 "멸망, 죽음(*neḱ-)"을 의미하던 단어였고, tar는 "극복하다(*terh₂-)"라는 뜻을 가진 단어였습니다. ◾따라서 nectar는 "죽음(nec)을 극복하다(tar)"라는 의미를 가지며, 신들이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 마시는 일종의 "불사(不死)의 명약"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언어학자들은 nec(*neḱ-)에 뿌리를 두고 있는 영어단어로 innocent(죄가 없는), tar(*terh₂-)에 뿌리를 두고 있는 영어단어로 접두사 trans- 등을 들고 있습니다.
◆ juice ◾juice는 "육수, 수프, 소스" 등을 의미하는 라틴어 중성형 명사 ius(n.)에서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라틴어 명사 중에 같은 스펠링(spelling)을 가진 ius(n.)라는 다른 단어가 있습니다. 이 단어는 "법, 권리"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영어 단어 justice(정의), just(단지, 그저)의 어원이 되는 단어인데, juice의 어원이 되는 ius(n.)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단어입니다. |
lex | ■ 법(ius)과 법률(lex)의 어원
1. Prologus ◾라틴어에는 법을 일컫는 단어로 ius와 lex가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법학을 전공하신 분이라면 법학개론(epitome iurisprudentiae)이나 법철학(iuris philosophia) 시간에 한 번쯤 들어봄직한 이야기입니다. ◾먼저, ius(n.)는 "추상적이고 일반적 의미의 법" 또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가져야 할 권리나 지켜야 할 의무"로 이해할 수 있으며 공식적인 입법 절차를 통해 제정되지 않더라도 사회구성원으로 마땅히 지켜야 하는 규범을 통칭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lex(f.)는 "권위 있는 기관에 의해 제정된 실정법"을 의미하며 왕, 의회, 정부 등 공적인 기관에 의한 입법절차를 거쳐 공포된 규범이나 명령을 지칭하는 단어입니다.
2. 어원(etymologia)을 통한 비교
2-1. ius ◾ius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생명력, 시간, 영원"을 나타내는 어간 *h2ey-에서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행복, 건강, 복지"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yos와도 동족어(cognatus)라는 주장(Julius Pokorny)이 있습니다. ◾이 같은 어원을 살펴볼 때, ius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마땅히 누려야 할 가치" 또는 "추구해야 하는 행복"이라는 의미로 당위(독일어에서의 sollen)의 개념에 가까운 단어라 할 수 있습니다. ◾ius라는 단어가 가진 추상적 규범성은 ius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 justice(정의), justify(정당화하다), just(도덕적으로 옳은) 등을 통해 더 쉽게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2-2. lex ◾lex는 라틴어 동사 lego와 동족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Andrew L. Sihler). 아시다시피 lego(legere-legi-lectum)라는 동사는 "읽다, 선택하다, 모으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유추해 보면 lex라는 단어는 "백성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히 규정되고, 어떠한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 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현실에 존재(독일어에서의 sein)하는 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lex라는 단어의 특징은 역시 파생된 영어 단어들을 살펴보면 더 명확히 드러납니다. 1) lexicon(사전), lexicographic(사전편찬 체계의)이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lex는 "(문자 등으로) 표현된다"라는 특징과 2) legislation(입법), legislature(입법부)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권위있는 기관에 의한 제정절차가 필요하다"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로마법(ius Romanum)에서의 적용 ◾로마법을 크게 나눌 때는 ius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학자들은 로마법을 크게 로마시민에게 적용되는 시민법(ius civile), "로마시민이 아닌 자" 또는 "로마시민과 로마시민이 아닌 자" 간에 적용되는 만민법(ius gentium)으로 나누며, 혹자는 이에 더하여 자연법(ius naturale)라는 개념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lex라는 단어는 당시 발생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왕이나 유력 정치인에 의해 제정된 칙령, 포고령 등에 붙여서 사용했습니다. 그 예로 Lex Publilia, Lex Iulia, Lex Claudia 등이 있습니다.
4. 근대 이후 유럽에서의 사용 ◾ius에 대응하는 다른 단어로는 recht(독일어), droit(불어)가, lex에 상응하는 단어로는 gesetz(독일어)와 loi(불어)가 있습니다. ◾특히, 불어 droit는 "올바르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형용사 directus(dirigo의 과거분사수동형)에서 파생된 단어로 "당위"를 나타내는 ius의 의미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loi는 lex의 4격 단수형 legem(lex → legem → lei → loi)에서 파생된 단어로 그 자체가 lex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대 이후, 많은 법학자, 철학자들이 이 ius와 lex의 차이에 주목해 왔고, 왕이 만든 법(lex regis) 이전에 인간이 하늘(또는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권리(ius naturale)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프랑스 혁명, 미국독립혁명 등 근대시민혁명(res novae)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5. Epilogus ◾지난 장에서 "악법도 법이다!"라는 표현과 관련한 라틴어 구절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Hoc quidem perquam durum est, sed ita 'lex' scripta est!"라는 구절에서 ius가 아닌 lex를 사용한 이유는 1) "당위로서 마땅히 추구해야 할 법이 아니다"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고, 2) "정치권력에 의해 성문화(scripta)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왕(lex)이 천명(ius)을 어기면 혁명(res novae)을 일으킬 수 있다."는「탕론(정약용)」의 주장도 ius와 lex의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요? |
| ■ septem은 7월인데, 왜 september는 9월인가 그 이유는?
◾오늘 말씀드리려는 내용은 라틴어를 공부해 보신 분이라면 한 번 쯤은 의문을 가져봄직한 내용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만한 내용이지만 정리 차원에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라틴어에서 7은 septem, 8은 octo..인데 september, october..는 7월과 8월...이 아니라 각각 9, 10, 11, 12월입니다. 그리고 왜 하필이면 12월이 아닌 2월을 28일까지 있는 가장 짧은 달로 만들어 놨을까요? ◾원래 고대 로마인들은 봄이 시작(특히 춘분, equinox를 기준으로)하는 Martius(March)를 새해의 첫 달인 1월로 삼았고, Aprilis(April)을 2월로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차례로 세어보면 7월~10월이 September~ December가 되는 것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입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1월과 2월로 생각하고 있는 Ianuarius와 Februarius는 추워서 농사에 필요하지 않은 시기라 생각해 달력에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이는 고대 로마인들의 역법이 태양보다는 달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지금의 1월과 2월인 Ianuarius와 Februarius가 달력에 포함된 것은 로마의 두 번째 왕인 누마(Numa Pompilius) 재임 기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여기에는 이견이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부터를 로마력(Calendarium Romanum)의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여전히 Februarius가 가장 마지막 달이었기 때문에 각 달에 날짜들을 나누어 집어넣고 난 후, 마지막 달인 2월에 배분하고 남은 28일을 집어 넣게 된 것입니다. ◾나중에 카이사르(Iulius Caesar)와 초대 로마황제 아우구스투스(Augustus)가 기존의 7월과 8월이었던 Quintilis와 Sextilis를 자신들의 이름을 따서 명칭을 변경해 지금의 July와 August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7월은 카이사르가 태어난 달이고, 8월은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가장 많은 업적을 세운 달이라 각각 7월과 8월을 선택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추후에도 수 많은 로마황제들이 자신들의 이름을 따 달의 명칭을 바꾸려고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만약 그런 시도들이 다 성공했다면 우리는 지금 로마황제들의 이름을 딴 1월부터 12월까지의 영어 단어들을 외우고 있겠지요? |
custom immigration quarantine | ■ C. I. Q의 어원 : custom(세관심사). immigration(입국심사). quarantine(검역)
◾CIQ란 다들 아시겠지만 항구(portus, m.)나 공항(aeroportus, m.)을 통해 한 나라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3가지 절차인 custom(세관심사), immigration(입국심사), quarantine(검역)을 말합니다. C, I, Q의 순서로 말씀드리는 게 맞겠지만, 가장 흥미로운 Q를 먼저 소개를 드릴까 합니다.
◆ Quaratine : 검역 ◾Quarantine이라는 단어는 '오도구'님께서 말씀주신 바와 같이 숫자 40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 흑사병(mors atra)이 유행할 때 베네치아에서 전염병 예방을 위해 입국하려는 선박을 40일 동안 항구에 묶어 둔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즉 40이라는 라틴어 숫자 "quadraginta"(이탈리아어 quarantina)가 변화되어 영어 단어 quarantine이 된 것입니다. ◾40일간 항구에 묶어 둔 이유는 40이라는 숫자가 로마 카톨릭에서 신성하게 여기는 숫자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40이라는 숫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 당시 부터 이미 신성하며 완벽하다고 인식되던 숫자였고, 구약성경(Vetus testamentum)의 노아의 방주(Arca noe) 이야기에 나오는 40일간의 홍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사순절(40일, quadragesima)도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포르투갈 축구 선수에게서 자주볼 수 있는 콰레스마(Quaresma)라는 이름(praenomen)도 어원이 같습니다.
◆ Custom : 관세, 세관, 통관심사 ◾국부론(Divitiae Civitatis)의 저자이자 경제학의 아버지인 아담 스미스(Adamus Smith)에 따르면 관세를 뜻하는 영어 단어 "custom"은「국경을 지나가면서 관례적으로 지불하던 비용을 의미하는 "customary payment"」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Custom이라는 단어는 "습관, 관습"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consuetudo(f.)의 대격인 consuetudinem에서 파생된 단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consuetudo는 "익숙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 consuesco(consuescere-consuevi-consuetum)의 명사형입니다.
◆ Immigration : 입국(심사) ◾immigration은 "안으로 들어오다, 제거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immigro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immigro는 "이주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migro(migrare- migravi- migratum)에 "안(으로)"의 의미의 접두사 in-(im-)이 결합되어 생성된 단어입니다. |
Curriculum Vitae | ■ 영문이력서(CV와 résumé)의 어원
◾우리가 취업을 하려면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할 것 중에 하나가 이력서입니다. 그리고 외국에 있는 대학을 지원하거나 취업을 하려면 영문이력서인 CV(Curriculum Vitae) 또는 résumé를 제출해야 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us Vincius)가 밀라노 공국(Ducatus Mediolanens)의 스포르차 가문(Familia Sfortiae)에 일자리를 얻기 위해 자신의 경력을 작성해 제출한 문서가 최초의 이력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CV는 영국이나 다른 유럽국가에서, résumé는 미국에서 많이 쓰는 표현이고, CV가 상대적으로 좀 더 길게 작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 외에는 구별 실익이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제가 소개드리는 CV와 résumé의 어원을 보시고 그 차이를 스스로 한 번 생각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 Curriculum Vitae ◾Curriculum Vitae는 라틴어를 그대로 차용한 단어로 우리말로 있는 그대로 옮기면 "삶의 경주(race)"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성형 라틴어 명사 vita(삶, 인생, 생명)의 속격(소유격)인 vitae가 "경주, 경주 코스" 라는 의미의 중성형 명사 curriculum을 꾸며 주는 형태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삶을 통해 달려온 과정(경주의 과정)"을 작성하는 것이 Curriculum Vitae가 되는 것이지요.
◆ Vita(f.) ◾"삶, 인생, 생명"이라는 의미의 vita는 "사는(living)"이라는 의미의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jivita와 동족어(cognatus)로 알려져 있습니다. ◾vita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로는 vital, vitamin 등이 있고, vita의 동사형인 vivo(살다, vivere-vixi-victum)에서 파생된 단어로는 vivid, viva 등이 있습니다.
◆ curriculum(n.) ◾curriculum은 라틴어 동사 curro(달리다, currere-cucurri-cursum)에 명사를 나타내는 접미사 culum이 결합하여 생겨난 단어로 원래 주로 고대 로마에서의 전차(raeda, f.) 경주장(race course)을 주로 일컫는 단어였으나, 나중에 과정, 코스 등의 의미로 확대되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요즘 학교 교과과정을 일컫는 "커리큘럼"은 이 라틴어 단어와 동일한 단어입니다. ◾"달리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curro는 원시인도유럽어 *kers-(달리다)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파생된 영어단어로 course, courier, current 등이 있습니다. ◾특히, curro에서 파생된 라틴어 명사로 "4륜 마차"라는 뜻의 carrus(m.)가 있는데, 이 carrus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 단어 "car(자동차)"가 생겨났습니다.
◆ résumé ◾résumé는 "되찾다, 회복하다, 요약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resumo(resumere-resumpsi-resumptum)가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에 유입된 단어입니다. ◾즉, résumé라는 단어는 "걸어 온 인생" 또는 "그 동안 한 일"을 "요약하여" 작성하는 문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사 resumo는 접두사 re-와 라틴어 동사 sumo(가지다, 떠맡다)가 결합하여 생성된 단어이고, 동사 sumo는 접두사 sub-과 동사 emo(사다, 가지다)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동사 sumo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로는 consume, consumption, assume, assumption, presumably 등이 있습니다. |
soccer | ■ 축구(soccer)의 어원
◆ soccer의 어원 ◾원래 19세기 영국에서는 럭비와 축구⚽를 모두 football이라 칭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축구팀이 만들어지고, 축구를 위한 리그(league)가 창설되면서 축구와 럭비를 구분하기 위해 축구를 association football, 럭비를 rugby* football이라 구분하기 시작했습니다.
* rugby라는 이름은 럭비라는 스포츠가 시작된 영국의 "Rugby"라는 지역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들은 각각의 이름에 접미사 -er을 붙여 association football을 soccer, rugby football을 rugger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후 soccer라는 단어는 미국으로 건너가 미식축구(American football)와 구분하기 위해 축구를 칭하는 단어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오히려 영국에서는 여전히 축구를 football이라고 부릅니다.
◆ pediludium(페딜루디움) ◾현대 라틴어에서 축구를 pediludium이라고 부릅니다. pediludium은 발(foot)을 뜻하는 라틴어 pes(m.)와 "놀다"를 뜻의 동사 ludo(ludere-lusi-lusum)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즉, "발로하는 놀이"라는 의미입니다. ◾"발"을 뜻하는 라틴어 남성형 명사 pes(m.)에서 파생된 영어단어로는 pedal(페달), pedestrian(보행자) 등이 있습니다. ◾"놀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ludo에서 파생된 영어 단어로는 collude(공모하다), delude(착각하다), elude(피하다), ludicrous(익살맞은) 등의 단어가 있습니다. |
Heracles Cleopatra | ■ 헤라클레스(Heracles)와 클레오파트라(Cleopatra)의 어원
◾제우스의 아들이자 그리스 신화의 영웅인 헤라클레스(Heracles)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여제 클레오파트라(Cleopatra)는 어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두 이름의 어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헤라클레스 ◾고대 그리스어 Hēraklês(Ἡρακλῆς)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을 일컫는 이름 헤라(Hḗrā, Ἥρᾱ)와 "영광, 명예, 소문"이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kléos(κλέος)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따라서, 헤라클레스라는 이름은 "(여신) 헤라의 영광"이라는 의미입니다. ◾여신의 이름 Hera의 어원은 불확실하나, "영웅"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hḗrōs(ἥρως, 영어 단어 hero의 어원)의 여성형으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 클레오파트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Ptolemaic Dynasty)의 마지막 황제인 클레오파트라(Cleopatra VII Thea Philopator)의 이름은 "영광"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kléos(κλέος)와 "아버지"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patḗr(πᾰτήρ)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즉, 클레오파트라는 "아버지의 영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버지"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pater는 영어 단어 patriot(애국자)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클레오파트라에 붙여진 칭호(title) Thea Philopatora는 "아버지를 사랑하는 여신"이라는 의미인데, Thea(여신)은 영어 단어 theology(신학), philo-(사랑)는 philosophy(철학), philopon(히로뽕) 등의 어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