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속의 그시절 다방"
다방과 레지,
그리고 계란 노른자가 들어간 쌍화차.
"저도 한 잔 마셔도 될까요??"
◆<一讀>Madam과 lady그리고 Coffee 이야기!

당시의 다방에는 浪漫도 있었고,
사랑도 있었고,
눈물 쏟아내는 이별의 장이기도 했었다.
가끔 열리는
국가대표 축구 경기의
단체 관람 장이기도 했으니,
그 당시 다방은
‘동네 閑良들의 Hideout (아지트)였으며,
date와 맞선 공간,
가짜 시계등이 거래되는 상거래 음악감상등,
‘거리의 休憩室’이자
만남의 장소 역할을 톡톡히 했다.
1945년 해방무렵
서울에 60개 정도의 다방이 있었고,
1950년대 말엔
1,200개로 늘었다고 하는데,
1990년대 후반 들어
커피 전문점 ‘cafe‘로 대변되는
원두커피 전문점이 부흥하기 이전인,
30년간
다방은 한국 문화를 이끌며 전성기를 謳歌했다

본격적
음악 감상실이 생겨나기전까지
항구도시 부산의 光復洞과 南浦洞에도,
大邱 半月洞에서 東城路를 거쳐
大邱驛으로 이어지는 큰 길,
골목길에도,
雨後竹筍처럼 다방이 생겨나고 있었다.
작은 booth에 DJ가 들어 앉아
金秋子 노래도,
宋昌植의 고래사냥,
pop song도 틀어 주면서,
때로는
“양복점 이사장님 카운터에 전화 왔습니다.”라는
소식도 들려주었으니,
음악실의 역할까지하면서
“邑內茶房” "鄕村茶房" "심지茶房'' "수茶房" "王妃와 王茶房" "
黃金茶房" “中央茶房”에서,
서서히 이름이 바뀌어
“松竹茶房” “준(JUN)茶房”
“New York 茶房”까지,한 시대를 風靡했다.

젊은 청춘을위한
시내 중심가를 벗어난 다방은
카운터에
중년 여성인 ‘마담’이 앉아있고,
’레지’(영어로 lady)라고 불리는
젊고 예쁜 아가씨들이
커피를 날라주는 동안에,
구슬픈 뽕짝가락이
손님들의 가슴을 저윽히 적셔주는
그런 형태였다.
그 당시 사람치고
시골 읍내는 말할 것도 없고
시내 中央통에있는
다방의 마담이나 레지와의
사연 하나쯤 없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아무런 목적도 없이
그냥
노닥거리며 시간을 보내려고
酒幕에서
세련된 다방으로 가는 사람도 많았다.
다방에 들어서면
낮익은 마담과 레지가 경쟁하듯
환하게 웃으며 맞아줬고,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어김없이
옆자리에 살포시 앉으면서
속보이는 친절을 떨었다.

손님들은
오랜만에 만난 친정오빠보다
더 정겹게 팔짱을 끼며
愛嬌까지 부리는
그 분위기를 우쭐하며 즐겼으니..
“커피 한잔 가져와"하는
손님의 주문이 떨어지자마자
"저도 한잔하면 안 될까요?"가 곧바로 이어졌고,
그 상황에서 "NO!"는 존재하지 않았다.
70년대 후반 들어
Yakult(야쿠르트)로 바뀌기도 했지만,
요즘이야
맹숭커피한 잔에도
돼지국밥 한그릇 값을 지불하지만,
그 당시 커피 한 잔은
실없는 弄談에
가벼운
신체접촉 권한(?)까지 주워졌으니
참으로
옹골진 값어치였던 셈이다.
분위기가 넘어왔다 싶으면
마담이나 레지의
"우리 雙和茶 한 잔 더하면 안되요?"라는
비싼 차 주문이 발사되고,
여기에도“NO!"는 거의 없었다.
그 시절 그렇게
분위기가 익어가는것이
뭇 사내들의 멋이었고 낭만이기도 했지만,
마담이나 레지에게는
매출을 올려
주인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人事考課였으니,
그런 손님과 레지의 意氣投合 은
나중에
티켓 다방으로 발전하기도 했지만,
당시 인기 레지는
거의
연예인 대접을 받았던것 같다.

어느 다방에
멋진 레지가 새로 왔다는 소문이 들리면
그 다방은
한동안 門前成市를 이루곤 했는데,
레지가
인기를 누렸던 현상은
그 시대를 대변하는 특이한 풍경이기도 했다.
다방에서 Café로,
세월 따라 이름도 변해감에 따라,
한 때
옛날 다방을 주름잡던 청춘에게
나이만큼 서글픔이 몰려온다.
•커피 꽃은
‘언제나 당신과 함께' (Always be with you)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옛날 다방의 낭만적인 커피맛보다
더 낫다고
누가 말할수 있겠는가?

morning coffee(모닝커피)라며
족보에도 없는
계란 노른자까지 곁들였으니,
커피를 한잔하고
마담과 레지의 환송을 받으며,
다방문 나설때의 우쭐해지던 커피 맛 외의
또 다른 그 맛을
요즘 사람들이 알수 있을까?
양장(洋裝)을 걸치고
Counter (카운터)에서 무게 잡던 김 마담과
Miniskirt(미니스커트) 입고
아양 떨던 미스 박이라는 레지는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그들도
그 시절을 그리워 하고 있을까?
열린음악회 -
최백호 - 낭만에 대하여.20170723 -
https://youtube.com/watch?v=CKrybgx_l3E&si=6KwohCTx7A4Vp854
|
첫댓글 그 옛날 그 사절의 다방에 가서 앉아 있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글 입니다 그 시절이 그립기도 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