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응보는 어떻게 오는가?
(How do the operative karmas come?)
우리는 인과응보는 이런 모습으로 온다고 생각합니다. 남을 한 대 때리면 나도 한 대 맞게 되고, 남의 돈을 빌리고 안 갚으면 나도 돈을 못 받게 되고.....
We think that the operative karmas come like these. If I hit others once, I would be hit by others. If I borrow some money and don't repay, I would not take my money......
그런데 이런 모습으로 오는 인과도 있지마는 사실은 이보다 훨씬 더 복잡하게 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즉 돈을 안 갚은 것이 나중에 돈 잃는 것으로 갚음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폭력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는 것으로 나타 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모진 짓은 내가 했는데도 그 인과는 내 자식이 받는 수도 있는 것입니다.
We need to know that the operative karmas come complexly in fact though they come like these. So to speak, not repaying the money would happen to be used violence or lose our lives, not the repayment being formed as loss our money some time later. And our children may take the causality though I did the merciless behavior.
우리는 흔히 이런 말을 곧잘 합니다.
“내가 (과보를) 받으면 되지!” 또는
“(내가) 죽기 밖에 더 하겠어?”
그렇습니다. 내가 10원 어치의 잘못을 할 때 내게 똑같은 10원 어치의 과보가 나중에 나에게 온다면 나는 인과응보의 과보를 믿지 않아도 될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결국엔 나는 손해 본 것이 없으니까요! (내가 10원 어치의 잘못을 저질렀는데 뒷날 똑같은 10원 어치의 잘못만 나에게 묻는다면 산술적으로 생각해도 결국 본전 아닙니까?)
Commonly we say these words too often.
"I will receive the fruits or results from past deeds!" or
"At most I will die."
Yes. If I take the same worth of the 10 won's fruits or results from past deeds in the future by my mistake of the 10 won's worth, I may not believe the fruits or results from past deeds of the operative karmas. Somehow I did not suffer damage finally! (Isn't it the principal in spite of thinking arithmetically? If I mistake the 10 won's worth so you ask of me the same 10 won's worth of mistake later.)
또 내가 저지른 잘못을 내가 받기만 한다면 두려울 것이 뭐가 있겠습니까? 그야말로 최악의 경우, 내 목숨만 내 놓으면 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내어 놓는 그 목숨의 경우도 내가 지은 것인데 뭐가 그리 안타깝겠습니까? 그러나 인과는 반드시 그렇게 속 편하게 오지는 않는다는 데 비극이 있습니다.
And what is the fear if I just take only my mistake? Indeed at the worst, isn't it alright if I bring out my life? And what is so distressing but my committing a crime in the case of bringing out my life? But there is a tragedy where the causality doesn't come easily at any cost.
내가 10원어치의 잘못을 저질렀다고 내 속 편하게 똑같이 10원만 갚으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지은 업은 10원이지만 과보는 1000만원어치보다 더 높게 올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내가 업을 지었다고 반드시 내가 과보를 받는 것도 아닙니다. 업을 지은 사람은 나이지만 그 과보를 받는 사람은 내가 아니라 내가 가장 사랑하는 이가 대신 받을 수도 있는 것이며 내 몸보다 더 아끼고 내 자신보다 훨씬 도 위하는 분의 죽음으로 올 수도 있는 것입니다.
It is not to become normal that I only repay the same amount of my mistake. The karma is worth of 10 won but the fruits or results from the past deeds may affect higher than the worth of ten millions won. And I may not be affected by the fruits or results from past deeds because of my committing the karmas at any cost. If I commit karmas but the person who may be affected is my best loving person, and I can be affected by the death of the person who is my sparing and much taking good care of than myself.
이런 이유로 인과는 진실로 두렵고 무서운 것입니다. 정녕 인과는 함부로 생각할 것이 아닙니다. 모를 때는 그저 내 하나 몸으로 때우면 되겠지 하기 쉬우나 알고 보면 정말로 무섭고 끔직한 것이 바로 인과의 법칙입니다.
For these reasons the causality is really terrible. Certainly we must not think the causality is without good reason. It is easy to substitute me for the causality when we don't know well, the Law of the causality is really terrible.
이런 인과응보의 모습은 꼭 불교가 아니더라도 현실 속에서 얼마든지 볼 수 있는 일들입니다. 예컨대 돈을 못 받으면 채권자는 폭력배를 동원하여 안 갚은 사람을 납치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돈을 갚으라며 못 견딜 정도로 폭력을 가하기도 합니다. 그 결과 멀쩡하던 분이 다치기도 합니다. 안 갚은 것은 돈인데 인과는 신체의 훼손으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These features of the operative karmas appear in the actual as much as we like not only in the Buddhism. For example a creditor may hijack the person who doesn't pay back by mobilizing the violators if he doesn't take the money. As a result the complete person may be hurt. The causality returns to the damage of the body not paying back the money.
또 아버지가 갚지 않은 돈 때문에 아들이나 다른 친지가 고통 받는 경우도 우리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혹은 말 안 듣고 술 취한 채 물에 뛰어 든 아버지를 구하려다가 자식이 죽는 수도 있습니다. 원인 제공은 부모가 했는데 인과는 자식이 죽음으로 받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과는 함부로 생각할 일이 아닌 것입니다.
And we can see commonly the case of the son or relative being hurt because of not paying back the money of his father's. Or the son may die to rescue his father who runs into water just as it is drunk without hearing any words. The parents furnish the cause but the chilldren take the causality by dying. So the causality should not be thought without good reason.
인과를 함부로, 쉽게 생각하지 맙시다. 지금 행하는 일, 말 하나 하나가 모두 뒷날 나에게 감당할 수 없는 비수로 오게 된다는 사실을 마음속 깊이 명심해야 합니다.
Let's not think the causality without good reason and easily. We must keep in our minds deeply the fact that all the doing things and a word may come to us as a knife which we can't manage later.
첫댓글 인연과보가 참으로 무서운것임에도
종종놓치고 살고 있답니다
늘 명심해야겠습니다
인과는 한치의 오차가 없다는데.. 혼동스럽네요. 또한 거시세계에서는 인과가 맞아떨어지는듯 보이지만 양자적으로 보면 랜덤이라고 하는것 같던데...현생과 전생이 연결될수 있다는것도 오로지 믿음으로서만 믿어야하고... 이 속아사는 기분이란...그냥 속시원하게 전생한번 보여주지. 믿음이 약한자의 잡소리였습니다.
도대체 이 글의 출처가 어딘지 궁금합니다 경전속의 내용인지 아니면 어떤 수행자 아니면 종교학자의 주장인지, 내가 짓지 않은 업을 그 누구로 인해 대신 받을 수가 있다??? 인과란 원인에 의해 생겨난 결과인데 원인 없이 결과가 생긴다면 그것을 어찌 인과라 할 수 있겠습니까 이 글을 올려 주신 분은 이 글의 출처를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저도 석암님의 글에 동의 합니다.......
[나뿐 일 하지 말고 선하게 살아라] 라는 표현을 좀 과장되게 하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