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서(澨)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점대 서(筮)자를 했습니다. 점대 서(筮)자는 성부(聲符)로 대 죽(竹)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무당 무(巫)자를 했습니다. 서수(澨水) 해서(海澨) 원서(薳澨) 산외수서(山隈水澨) 유로서가청(岰路澨加淸) 윤서민(尹澨䪸)
느슨할 서(紓)자는 의부(義符)로 가는 실 사(糸,糹)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予)자를 했습니다. 나 여(予)자는 창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나 아(我)자가 손 수(手)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인 것처럼 나 여(予)자도 창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를 나타내는 글자들이 모두 무기를 그려서 외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어적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적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겠지요. 생명 유지를 무기를 그려서 표시한 것입니다. 도랑 서(汿), 펼 서(舒), 풀 서(抒), 차례 서(序)자들은 나 여(予)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서력(紓力) 서압박사(紓壓博士) 서천(紓川)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서곤(紓困) 이서초국지난(以紓楚國之難)
속 끓일 서(癙)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쥐 서(鼠)자를 했습니다. 쥐 서(鼠)자는 쥐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서우(癙憂) 탄서(嘆癙) 서무언부질(癙無言不疾) 서우이양(癙憂以痒) 서우유우(癙憂幽憂)
아름다울 서(藇)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줄 여(與)자를 했습니다. 줄 여(與)자는 좌우에 손이 두 개, 아래에 손이 두 개, 합하여 모두 손이 네 개 표시되었습니다. 주는 손과 받는 손을 표시한 것이지요. 줄 여(與)자의 가운데 있는 여(与)자는 주고받는 물건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줄 수(授)자도 받을 수(受)자에 비하여 손 수(手,扌)자가 더 많습니다. 남에게 주는 일은 그만큼 어려운 일입니다. 시주유서(釃酒有藇) 정이서(鄭濔藇) 서적의사(藇的意思) 신서연(申藇兗) 서애(藇愛) 서연(藇緣)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