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체>

목록 : 1. 영성체 전 기도
2. 영성체 후 기도
3. 영성체송
1. 영성체 전 기도(용어자료집)
영어:[Prayers before Communion]
한자:[領聖體 前 祈禱]
· 빵을 쪼갬과 혼합 뒤에 사제와 백성은 사적으로 영성체를 준비한다.
사제는 두 가지 짤막한 기도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다른 이들이 듣지 않도록 조용히 기도하며 주님의 몸과 피를 합당하게 모심으로써 자신에게 도움이 되게 해 주시기를 간구한다.
이때 공동체는 침묵 기도에 동참한다.
두 가지 기도는 다음과 같다.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님, 주님께서는 성부의 뜻에 따라 성령의 힘으로 죽음을 통하여 세상에 생명을 주셨나이다.
그러므로 이 지극히 거룩한 몸과 피로 모든 죄와 온갖 악에서 저를 구하소서.
그리고 언제나 계명을 지키며 주님을 결코 떠나지 말게 하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님,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심이 제게 심판과 책벌이 되지 않게 하시고 제 영혼과 육신을 자비로이 낫게 하시며 지켜 주소서.”
주례자의 개인 기도(主禮者~ 個人 祈禱 Celebrant, Private Prayers of) 참조.
2. 영성체 후 기도(용어자료집)
영어:[Prayer after Communion;
Postcommunion]
한자:[領聖體 後 祈禱]
· 이 기도로 성찬 전례가 모두 끝난다.
다른 두 개의 주례자의 기도, 곧 본기도와 예물 기도에서처럼 주례자는 영성체 후 기도를 바치면서 받은 예물에 대해 공동체의 이름으로 아버지께 감사드리고 성사의 열매가 우리 안에서 결실을 맺게 하여 주시기를 주님께 청한다.
영성체 후 기도로써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맡은 일을 수행하면서 배운 것을 실천에 옮기도록 파견될 준비를 한다.
미사 - 영성체 예식(~領聖體 禮式 Mass - Communion Rite), 미사 의식문(~儀式文 Mass, Order of) 참조.
3. 영성체송(가톨릭대사전)
한자:[領聖體誦]
라틴어:[antiphona ad
communionem]
영어:[communion antiphon]
[관련단어]:미사
· 미사에서 신자들이 영성체하는 동안 부르던 노래.
십자가상의 제헌과 구원을 새롭게 해주는 미사 성제,
특히 그리스도의 성찬에 초대받았음을 기뻐하고 감사하는 노래이다.
영성체송은 최후의 만찬 후에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올리브산으로 올라가시며 찬미의 노래를 불렀던 것을 본뜬 것이다(마태 26:30, 마르 14:26).
입당송과 봉헌송과 같은 시기에 미사에 도입되었는데,
4세기에 교송과 시편을 노래했음이 ≪사도 규정≫(Apostolic Constitutions)에 기록되어 있다.
영성체송은 사제가 영성체할 때 시작하고 신자들이 영성체하는 동안 계속하다가 적당한 때에 끝마치는데,
로마 성가집의 응송이나 시편을 사용하거나 주교단에서 인준한 다른 성가로 사용할 수 있다.
노래를 하지 않을 경우 미사경본의 영성체송을 신자들이 외게 된다.
그 내용은 성서에서 발췌된 것으로 그 날 미사에 따라 적절하게 바뀌어진다. (⇒) 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