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로스쿨입학시험인 LSAT유형과 미국 로스쿨 입학시험 SAT유형을 참고..
로스쿨까페에서 퍼온거다~
사법시험은 노력에 의해서도 되겠지만 이건 정말 머리가 크게 좌우하는거 같구나..
한문제당 대략 2분만에 풀어라..
이런거 자신없음 빨리 좆잡고 고시공부해라..
1문 <추론 가능한 사항>
다음 가)~마)가 모두 타당할 경우에 가)~마)에서 확실히 추론 가능한 것을 ①~⑤ 중에서 하나 고르시오.
가) 스키를 타는 사람들 중에는 단단한 눈보다도 가루눈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나) 스노우보더들은 모두 단단한 눈보다 가루눈을 좋아한다.
다) 스노우 모빌을 운전하는 사람은 모두 가루눈보다 단단한 눈을 좋아한다.
라) A스키장에서는 매일 아침 모든 스키코스를 정비해서 단단한 눈으로 만든다.
마) B스키장에서는 매일 아침 모든 스키코스를 정비해서 가루눈으로 만든다.
① 스키타는 사람들 중에는 가루눈보다 단단한 눈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다
② 스노우보더들은 A스키장에서는 보딩을 하지 않는다.
③ 스노우 모빌을 운전하는 사람은 모두 B스키장보다 A스키장에서 스노우 모빌을 운전하는 것을 좋아한다.
④ 스노우보더들 중에는 B스키장보다 A스키장에서 보딩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⑤ 스키타는 사람들은 모두 A스키장보다 B스키장에서 스키타는 것을 좋아한다.
2문 다음 문장을 읽고, 아래의 질문에 답하라.
S시에는 동서의 한길로 전철이 다니고 있고, 전부 7개의 역이 있다. 어느 날, 하루코는 집에서 시청과 은행에 가기 위해, 전철을 타기로 하였다. 우선 집에 가장 가까운 역에서 타서, 세 번째 역에서 하차했다. 그러나, 잘못 내렸다는 것을 알았다. 거기서, 반대방향으로 한 개의 역을 되돌아가, 역 앞의 시청에서 볼 일을 본 후, 그 역에서 전철을 타고 세 번째의 역에서 하차, 옆 앞의 은행에 들렸다. 「첫 번째 역」이라는 것은 승차한 역이 아니라, 그 옆의 역을 말한다.
문. 하루코가 은행 앞 역에서 전철에 타고 집에서 가장 가까운 역에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몇 번째 역에서 내리면 되는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기술한 것을 다음의 ①~⑦에서 하나를 골라라. (2점)
① 첫 번째 ② 세 번째
③ 다섯 번째 ④ 첫 번째, 세 번째
⑤첫 번째, 다섯 번째 ⑥ 세 번째, 다섯 번째
⑦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3문 다음 문장을 읽고 아래의 질문(문1,문2)에 답하라.
보통 산술식에 있어서는 1+2 과 같이 피연산식(여기에서는 1과 2)의 사이에 연산자( 여기에서는 「+」)가 놓인다. 이것을 중치기법이라고 부른다. 여기에 대해, 통상의 사칙연산과 같은 연산자(「+」,「-」,「x」등)을 이용하여, 1, 2 + 와 같이, 연산자를 피연산식 뒤에 놓는 기법을 후치기법이라고 부른다.
( 피연산식과 피연산식의 사이의 「,」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편리하게 넣은 것이다.)
중치기법에서는,
(1+3) x (5-2)
와 같이, 연산의 순서를 지정하는데 괄호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후치기법에서는 같은 계산을,
1, 3+5, 2 - x
와 같이 괄호 없이 연산의 순서를 애매하지 않게 지정할 수 있다.
후치기법에 따른 연산은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식을 보고 있고 연산자가 나타났을 때, 그 직전의 두 개의 피연산식에 대하여 연산을 하고, 피연산식 및 연산자를 연산결과로 치환함에 따라 행해진다. 이에 의해서, 위의 예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최초의 식) 1 , 3 + 5 , 2 - x
→ ( +의 계산) 4 , 5 , 2 - x
→ ( -의 계산) 4, 3 x
→ ( x의 계산) 12 (계산결과)
또 다른 하나의 예를 나타내 보자.
1 , 2 , 3 + + 5 , 2 - x
이것은 중치기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ꀈ 1 + ( 2 + 3 ) ꀉ x ( 5 - 2)
문1. 후치기법에 따른 다음의 계산식 A, B의 계산 결과의 조합으로 바른 것을 아래의 ①~⑥에서 하나를 골라라. 단, 바른 계산식이 아니기 때문에 계산 할 수 없는 경우는 「no」로 쓰여 있다. (2점)
A 1, 2, 3 + 4 - 3 ×
B 1, 2 + 3 - 4 × 5 -
① A 6 B no
② A 6 B 5
③ A 3 B -5
④ A 3 B no
⑤ A no B 5
⑥ A no B -5
문2. 후치기법에서도 x, y, z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일반식을 쓸 수가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일반식이 항상 같은 값을 갖는 것을 「두 개의 식은 동치의 관계에 있다」라고 부른다. 다음의 식과 동치의 관계에 있는 식으로 바른 것을, 아래의 ①~⑥에서 하나를 골라라.
( 3점 )
x, y × z, x × +
① x, y×z+
② y, z×x+
③ z, x×y+
④ x, y+z×
⑤ y, z+x×
⑥ z, x+y×
4문 다음 문장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라.
지층은 해저나 호수 바닥 등에 부서진 모래나 진흙 등이 점차 퇴적된 결과 생성된다.
서로 겹쳐지는 두 개의 지층 중에, 아래에 있는 지층은 위에 있는 지층보다 오래 된 것이다. 그것을 지층 누계중의 법칙이라고 한다.
어느 지역의 지층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층의 상하 반전은 일어나고 있지 않다.
우선, A층, B층, C층이 아래에서 위로 겹쳐져 있고, A층에서 C층까지는, 뒤에서 용암이 갈라진 곳의 아래에서 들어와 굳어진 암맥 X에 관통되어 있다. 이 암맥을 포함하여 C층의 가장 윗부분은, 어느 시기엔가 없어져 버렸다는 것이 야외관찰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C층과 암맥 X와 암맥 Y에 대해서는 붕괴성 동위체 원소를 사용한 분석에 따라, 그들이 형성된 시기를 일정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구할 수가 있다. 그러나 그 오차의 범위는 큰 것이며, 암맥 X와 암맥 Y는, 각각 1900~1600만 년 전과 200~100만 년 전으로 되어 있다. 또한, A층에서 C층까지를 절단하는 단층Z가 존재하고 있지만, 이 단층 Z는 D층과 E층에는 미치지 않고 있다.
문. 이 문장의 내용에서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바른 것을, 다음의 ①~⑧에서 두 개를 골라라. 단, 해답 순서는 상관없다. (각2점)
① 이 문장에 기술된 가장 새로운 현상은, E층의 퇴적이다.
② 이 문장에 기술된 가장 오래된 현상은, A층의 퇴적이 아니다.
③ E층의 퇴적이 200만 년 전 보다 오래된 것은 명백하다.
④ C층의 퇴적이 1600만 년 전 보다 오래된 것은 명백하다.
⑤ C층 최상부가 없어진 것은 1900만 년 전 보다 오래된 시대이다.
⑥ C층의 퇴적시기와 암맥 X의 생성시기와의 시간 간격보다도, 암맥X의 생성시기와 D층의 퇴적시기와의 시간 간격이 작은 것은 명백하다.
⑦ D층의 퇴적시기와 단층 Z의 퇴적시기와의 전후관계는 특정 지을 수 없다.
⑧ 단층 Z의 생성시기와 암맥 Y의 생성시기와의 전후관계는 특정 지을 수 있다.
5문 다음 문장을 읽고 아래의 질문 (문1, 문2)에 답하라.
K사에서는 금후 해외진출에 대비하여, 종업원 교육을 위해 연수회를 계획하고 있으며, 시간표를 작성중이다. 그 시간표는 다음의 조건 (1)~(5)를 모두 만족시키도록 작성해야 한다.
(1) 연수회는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의 저녁, 각각 첫 번째 시간(오후 5시~6시)과 두 번째 시간(오후 6시~7시)의 합계 6개의 시간대에 개강된다.
(2) 다음의 9개 과목을 매주 각 1시간씩, 정해진 시간대에 개강한다. 이들 과목을 다음과 같이 A~C의 각 군으로 분류한다. 각 과목을 그 앞의 괄호 안의 기호로 나타낸다.
A군 : (A1) 중국어 (A2) 이탈리아어 (A3) 스페인어
B군 : (B1) 아시아의 문화 (B2) 유럽의 문화 (B3) 문화인류학
C군 : (C1) 동양사 (C2) 서양사 (C3) 세계의 경제
(3) 수험자에게는 A~C의 각 군에서 2과목씩 수강시킨다.
(4) 수험자는 한 개의 시간대에서는 한 과목 밖에 수강할 수가 없다.
(5) 어느 시간대라도 적어도 1과목은 개강한다.
문1. K사의 종업원인 S상은 A1, B1, C1은 반드시 선택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다음의 가~다의 시간표 중, 위의 조건 (1)~(5)를 모두 만족시키고, 또한 S씨의 희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합으로 바른 것을 아래의 ①~⑧에서 하나를 골라라. (2점)
가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1시간째 A1 B1 C2
2시간째 A2(B3) A3(B2) C1(C3)
나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1시간째 A1 A2(B1) A3(C1)
2시간째 A2(C3) B2 C3
다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1시간째 A3(C1) A1(C2) A2(C3)
2시간째 B1 B2 B3
① 가만
②나만
③ 다만
④가와 나만
⑤ 나와 다만
⑥가와 다만
⑦ 가나다 모두
⑧가나다 중에 그런 시간표는 없다.
문2. 조건 (1)~(5)의 다음 조건(6)을 추가하기로 한 경우, 아래의 라~바의 정오(바른 것과 그른 것) 의 조합으로 바른 것을 아래의 ①~⑧에서 하나를 골라라. (3점)
(6) 수강자에는, (A1, B1, C1) (A2, B2, C2) (A3, B3, C3)의 세 개의 조에서 한 개를 선택하게 한다. 그 때, 선택된 조의 과목은 모두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 불가능한 조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라. 모든 날 첫 번째 시간에는 A군과 C군에서 각각 1과목씩 배치하는 시간표는 가능하다.
마. 예를 들면 A1과 B1과 같이 다른 군의 같은 번호의 과목이, 같은 날 같은 시간대에 배 치 되는 일은 없다.
바. 어느 시간표의 경우에도, 수강자가 한 개의 조를 선택한 후에는 남은 수강과목은 반드 시 1로 결정된다.
① 모두 옳다.
② 라와 마는 옳지만, 바는 그르다.
③ 라와 바는 옳지만, 마는 그르다.
④ 마와 바는 옳지만, 라는 그르다.
⑤ 라는 옳지만, 마와 바는 그르다.
⑥ 마는 옳지만, 라와 바는 그르다.
⑦ 바는 옳지만, 라와 마는 그르다.
⑧ 모두 그르다.
6문 다음의 문장을 읽고 아래의 질문(질문1, 질문2)에 답해라.
새로운 접속표현 「공(역자: 숫자를 부를 때 사이에 영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 문x가 진실이고, 또한 문y가 거짓일 경우, 문「x공y」는 진실이고, 그 이외의 경우, 즉, 문x가 거짓이고 문y가 진실인 경우는 문「x공y」는 거짓이다.
여기에서 x, y등의 문장은 진실 또는 거짓의 어느 한가지다. 또한, 「x공y」도 하나의 문장이기 때문에 그것과 문z를 「공」으로 접속하여, 「(x공y)공z」나, 「z공(x공y)」와 같은 문장을 만들 수가 있다.
문1. 다음의 문A~C의 진위의 조합으로 바른 것을, 아래의 ①~⑥에서 하나를 골라라. 단, 정어리, 까마귀 및 너구리의 분류는 상식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2점)
A (정어리는 물고기다. 공, 까마귀는 새이다.), 공, 너구리는 포유류다.
B 정어리는 물고기다. 공, (까마귀는 새이다. 공, 너구리는 포유류다.)
C 정어리는 물고기다. 공, (까마귀는 양생류다. 공, 너구리는 파충류다.
① A는 진실, B와 C는 거짓이다.
② B는 진실, A와 C는 거짓이다.
③ C는 진실, A와 B는 거짓이다.
④ B와 C는 진실, A는 거짓이다.
⑤ A와 C는 진실, B는 거짓이다.
⑥ A와 B는 진실, C는 거짓이다.
7문 다음의 문장을 읽고 아래의 질문(질문1, 질문2)에 답해라.
새로운 접속표현 「공(역자: 숫자를 부를 때 사이에 영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 문x가 진실이고, 또한 문y가 거짓일 경우, 문「x공y」는 진실이고, 그 이외의 경우, 즉, 문x가 거짓이고 문y가 진실인 경우는 문「x공y」는 거짓이다.
여기에서 x, y등의 문장은 진실 또는 거짓의 어느 한가지다. 또한, 「x공y」도 하나의 문장이기 때문에 그것과 문z를 「공」으로 접속하여, 「(x공y)공z」나, 「z공(x공y)」와 같은 문장을 만들 수가 있다.
문2. 다음의 ①~⑤에서 잘못된 것을 하나 골라라. (3점)
① 「x공x」는, x의 진위에 상관없이 항상 거짓이다.
② 「(x공y)공x」는 x와 y의 진위에 관계없이 항상 거짓이다.
③ 「(x공(y공x)」의 진위는, x의 진위와 마찬가지이다.
④「(x공y)공y」의 진위는 「x공y」의 진위와 마찬가지이다.
⑤「x공(x공y)」의 진위는 「y공(x공x)」의 진위와 마찬가지이다
첫댓글 재밌네
이과놈들이 유리하겠다..
법률시장이 개방된다는 조건하에 저런 시험유형이 변호사의 질을 어떻게 만들지 궁금하다.
PSAT 랑 비슷하네. 문제당 2분으로 잡으면 40문항 80분인 PSAT랑 난이도에서 비슷하게 간다는 말인가
행시처럼 1,2차로 나누지 말고 한번에 유형이 다른 2개의 시험을 병행해서 치루는 것도 좋을꺼 같다. 하긴 저런 유형의 시험 하나로 변호사를 뽑진 않겠지.
로스쿨 제도는 이래서 맘에들지 않아? 저런게 도대체 법률적인 지식에 어떤도움이돼? 난 이해할수없어 가이들? 두꺼운 법전을 근성으로 공부해서 사시로 변호사나 판검사 하는 가이들과 저런 말장난 같은 수능식 문제 풀고 대충 3년 개겨서 패스 하고 변호사 하는가이들의 질적수준이 정말로 의심돼? 저건 근성이아니야?
근성을 사법고시 통과유무에 따라 나눌 수 있냐? 그리고 사실 변호사는 승소하는게 가장 중요해~법률적인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단 화려한 언변과 논리력이 더 많은 것을 좌우하지.
답 없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