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의 장풀 학명: Commelina communis L. 이명: 달개비 분류: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사진1
사진2
사진3 사진4
애기닭의장풀 애기닭의장풀 Commelina mina Y.N.Lee & Y.J.Oh * 학명에 대한 의문 : mina라는 라틴어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작은"이라는 뜻으로는 Vinca minor에서처럼 minor가 붙어야 하지 않을까?
사진5 사진6 사진7 사진8
동속의 다른 종들 좀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큰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흰꽃좀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for. leucantha Nakai * 속은 다르지만 같은 닭의장풀과에 속하는 것으로 '덩굴닭의장풀 Streptolirion volubile Edgew.' 이 있다
닭의 장풀 속 종류 서로 구별하기
* 흰꽃좀닭의장풀은 꽃의 색깔이 흰색임
<잘못된 점이 있을 지 모름>
닭의장풀 종류 꽃의 특징 닭의장풀 종류는 꽃잎이 3개지만 위의 2개는 크고 색깔이 뚜렷하여 잘 보이지만 밑의 꽃잎은 자고 색깔이 엷어 눈에 띄지 않는다. 이 속의 이름 Commelina는 Linnaeus가 네델란드의 두 저명한 식물학자 Jan Commelijn과 Caspar Commelijn를 기념하기 위해 이 꽃의 화려한 꽃잎 2개를 상징으로 이용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인터넷에는 Commelijn씨 가문에 식물학자 셋이 있었는데 한 명은 별로 유명하지 않았다 한다). 그리고 이 꽃은 수술이 6개인데 3개는 헛수술이다. 시진 4와 사진 6에 꽃의 중심부에 있는 노란 리본 모양을 한 것이 헛수술이다. 수술 중 2개는 꽃 밖으로 삐져나와 있는데 꽃밥이 수술대와 T자를 이루고 있다. 남아 있는 수술 한 개는 2개의 수술 보다 약간 아래 (꽃의 중심부 방향으로) 있는데 헛수술처럼 리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곤충을 속이기 위한 고도의 전략이라 한다.
닭의장풀의 민간 이용: 나물로 먹기도 하고 한방에서는 압척초(鴨?草)라 하여 약재로도 쓰는데 데 열을 내리는 효과가 크고 이뇨 작용을 하여 당뇨병에 사용한다고 한다. 그밖에도 아래와 같은 질환에 꽃이나 잎을 사용한다. 다래끼, 땀띠, 어린아이의 태독, 치질통증, 가려움증, 화상, 신장염, 류마티스, 배뇨장애,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 구내염 등
|
출처: wildblumenspeicher 원문보기 글쓴이: 대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