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풀 효능
고수는 지중해가 원산지인 산형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열매는 "호유자"라고 부르며 약용하며 채소 작물로 재배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향신료 식물 가운데 재배가 오래된 작물중의 하나로서 BC.5000
키는 30~60cm정도 되고 원줄기는 곧으며 속이 비어있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털이 없5다.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모두
엽초로 된다.
밑부분의 잎은 1~2회 우상복엽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갈래가 좁아진다. 5~6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산형화서가 발달하여 다시
작은 우산가지 모양으로 갈라져서 10개 정도의 힌색 꽃이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가장자리 꽃잎은 특히 크며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둥글며 10개의 능선이 있고 향기가 난다.
♥ 효능
고수의 열매는 6~7월에 달리며 결실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고수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다. 효능은 발한, 소화, 투진(透疹) 작용을 한다.
고수풀의 약효에 대해서는 옛 책에 대략 다음과 같이 적혔다.
고수풀 뿌리와 잎은 기미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생채로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는다.
소화를 잘되게 하고 오장을 편하게 한다. 빈혈을 고치고 대·소장을 이롭게 한다.
배의 기를 통하게 하고 사지의 열을 없애며 두통을 치료한다.
씨는 벌레 독, 치질, 고기 중독, 토혈, 하혈 등에 즙을 끓여 차게 먹는다.
또 기름을 짜서 달여 어린이의 두창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 전립선염
고수풀은 전립선염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곧 고수풀과 더덕을 1:1의 비율로 하여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는 전립선염이 완화 내지는 낫는다.
3개월 넘게 꾸준히 복용하면 대부분 효과를 본다
* 홍역을 예방한다.
예전부터 마진(홍역)을 예방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해 왔다.
* 소화를 돕는다.
고수는 방향(芳香)이 있어 소화를 돕는다. 주로 소화불량에 많이 사용한다.
* 기타
겨드랑이 냄새를 없애는데, 담을 부드럽게 하는데, 입냄새를 없앨때에도 사용한다.
씨앗은 하혈이나 이질에도 쓰이기도 한다.
♥ 질병에 따라 먹는 방법과 용법
* 홍역에는...
마진이 발진하는 징후가 있으면서도 잘 안나오면, 생호유 한 줌을
열탕에 담갔다가 즉시 꺼내 물기를 없앤 후 문지르면 발진을 돕는다.
고수풀 씨앗 150g을 절구에 찧어서 초벌구이한 탕관이나 냄비에 물을 채우고
방안에 놓고(방안이 좁을수록 좋고 통풍은 하지않는다.) 숯불로 끓여 증기를
병실에 가득 채운다. 수시로 숯과 물을 보충하며 마진의 발진이 다 나오면
중지한다.[절강중의]
*치질
고수풀 씨앗을 볶아서 맷돌로 미세한 분말로 갈아 술로 개어서 3~5회 복용한다.[해상방]
* 치통
고수풀 씨앗에 물 5되를 넣고 달여 1되가 되게 달인 다음 입에 물었다가 뱉는다.[비급방]
* 요리에 사용한다.
요즘은 주로 요리에 많이 사용한다.
색이 푸르기 때문에 요리의 배색, 향기, 미각을 모두 좋게 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강장 효과가 뛰어나다 하여 차나 스프로 만들어 먹었다.
또한 고수는 비린내를 제거한다.
* 고수의 씨앗은 중요한 조미료 식물로서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빵이나 과자를 구울 때 함께 넣기도 한다.
* 고수는 중국에서 주로 고기요리에 많이 쓰이며 인도나 태국에서는 카레나 스프에
널리 쓰인다. 중국에서는 "호유실"이라고 하고 서양에서는 "코리안더"라고 부른다.
이 뜻은 "반대"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코리스"와 좋은 향기가 나는 식물인 "아니스"를
합친 것으로 잎이 푸를 때는 빈대 냄새가 나고 열매에서는 달콤한 냄새가 난다.
※ 주의
열탕에 데처서 사용하며 많이 먹으면 눈이 충혈되기 때문에 매일 먹지 않는다.
많이 먹으면 건망증이 생긴다.
재래시장에 물김치 담그려고 김치거리 사는중에~
미나리 사촌쯤 보이는 야채가 눈에 뜨였다.
제법 연하고 싱싱해 보이길래 한단 집어서 아주머니한테 물어보니 "고수"라고 한다.
아주머니 왈 "남자한테 제일 좋은 채소라고 한다"
향을 맡아보니 특이하고 요상하고~엄청 강한 맛과 향에 표현이 어렵다.
집에 와서 효능을 검색해봤다더니만
쌈이나 겉절이.김치,쌈으로 먹는다고 나와 있다.
고수(고소)나물
고수는 고소하고 맛이 좋아서 고소라고 부르기도 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의가스배설과 담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고기 먹을때 상추와 같이 먹으면 고기의 느끼한 맛도 덜 느낀다 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호유자라 하여 건위제·고혈압·거담제로 사용한다.
위액 분비를 도와 소화기능을 향상시키며, 생즙을 내서 먹으면 신경쇠약, 신장결석, 당뇨 치료에 효과가 있다.
비타민A 효력, 비타민B1, B2, C,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감기나 간장병 치료에 쓴다.
소화를 돕고, 장내 가스를 배출시키며, 정신 집중에도 도움이 되므로 수험생을 위한 음식으로 꼽힌다.
민간에서는 전립선, 식욕부진 등에 사용한다.
고수(고소)나물 겉절이
재료-고소나물, 무, 양념장 (조선간장과 진간장 , 효소나 설탕 , 식초, 고춧가루, 깨소금)
무는 가늘게 채썰고(난 집에 남은 자색무우가 있길래 사용)
고수는 먹을만큼만 씻어서(뿌리째 먹어두 된다) 준비한다.
고수는 좀 크다 싶으면 알맞게 자른다,
양념장을 만들어 먹기전에 무와 함께 버무려 먹어야 숨이 죽지 않고 향이 그대로 전달된다.
첫댓글 감사합니다.건강 챙기십시요
지금 봉평으로 더위피해 와 있습니다..ㅎ
고맙습니다.
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