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시사평론 - 정론직필을 찾아서
 
 
 
카페 게시글
북한사회의 실상 세계 전역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 숫자 - 각국에 파견(송출)된 북한 노동자 인력 숫자 - 북한 해외근로자 송출 현황
정론직필 추천 11 조회 1,555 14.10.28 21:29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10.28 21:53

    첫댓글 출처,각색 ==미아리 무당촌~~

  • 14.10.28 22:04

    감사합니다.

  • 14.10.28 22:23

    노동시장이 국가별로 형성되어 있고, 시장의 여건에 따라 외국인 노동력 공급여부, 임금이 결정되니,
    국제노동시장의 일반적인 규범이 따로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단순노동이냐, 전문노동이냐에 따라 시장이나 임금구조도 상당히 달리할 것 같은데요
    그냥 하나의 예로서 말레이시아 노동시장을 애기해보면,,
    말레이시아 인구가 대략 3000만명인데, 이곳의 외국인 노동자는 대략 30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전문분야의 노동시장이야 복잡하고 일반화될 수 없어 생략하고, 단순 노동시장에서의 주요국적은
    대체적으로 많은 순서에 따르면,
    미얀마,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네팔, 태국, 필리핀, 기타 소수의 베트남. 중국, 인도

  • 14.10.28 22:36

    등 지리적으로 인접한 국가에서 합법체류가 절반, 불법체류가 절반정도되니 대다수가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한 것이지요. 이곳의 대졸초임이 대략 80만원에서 100만원인데 이들 외국인의 대체적인 임금은 30만원에서 40만원선입니다.
    위 글에서도 비슷한 수준이 거론되는것을 보면 이런한 임금정도가 외국인 노동자가 받은 일반적인 임금수준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미얀마가 자국내의 평균임금이 6만원정도라고 하던데, 이는 개성공단 근로자의 임금과 어비슷해보이는군요
    그렇다고 이들 외국노동자들 노동력의 품질이 임금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젊고, 부지런하고, 두뇌회전빠르고, 고급품질에 해당됩니다.

  • 14.10.28 22:40

    6,70년대 외화벌이를 하러 중동에 일하러간 남한 사람들처럼 북한도 외화벌이를 위해 어쩔 수 없는 길을 선택한 모양입니다. 그들이 선택한 길인지...한번 해외로 파견되면 몇년동안은 북한으로 돌아가지도 못한다는데....별로 좋은 기사들도 아닙니다.

  • 14.10.28 22:42

    북한의 노동력도 상당히 고품질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 국가단위의 노동시장성립에 따라 북한의 노동력이 진출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을 것이고, 대체로 시장여건에 맞추어 진입하다보니 임금수준도 낮은 수준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시장에서 경험을 축적하다보면 적재적소에 고급인력이 많이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 14.10.28 22:56

    제 개인적으로도 말레이시아에서 미얀마의 20대 직원들을 여럿 쓰고 있는데, 한국의 20대들과 하등 다를 바 없고, 성실하고 부지런하고, 젊고, 똑똑한 애들이 단지 미얀마라는 상황으로 삼사십만원의 급여로 하루종일 일하는 모습보면 때로는 한국의 20대와 많은 대비를 하게 됩니다.안스럽기도 하고, 때로는 인간의 진정성을 보기도 하고,,, 그들 나름으로는 큰 돈에 해당될 것이기도 하지만,, 여튼 뭔가 불균형이 있는 거구나라는 느낌은 지울수가 없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