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6AWj0ljy9Mk
예배영상
애 2:20,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24-12-8
지난 주간에는 무섭고 끔찍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21세기 민주화 시대에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아직도 이 후유증이 정치는 물론 경제계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에게도 침통(沈痛)할 정도로 가슴 아프게 만들고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국내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이 미쳐서 한국은 여행위험국가로, 또는 외환위기 상황처럼 외국인들이 돈을 거둬들이고 있는 암울한 현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대학가의 학생들과 교수들, 각 지역의 시민들까지 대통령의 내란죄로 인한 퇴진이나 하야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당의 반대로 부결되고 말았습니다. 이 얼마나 슬픈 일입니까?
예레미야는 슬프게 외칩니다.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그런가 하면 지난 주간에는 외부로부터 사택에 20kg 쌀이 두 푸대, 그리고 10Kg 쌀이 다섯 푸대가 들어왔습니다. 여호와께서 보신 것입니까? 왜 예레미야는 ‘여호와여, 보시옵소서’라고 외칩니까? 지금 하나님의 백성들이 어떤 처지에 있습니까? 그들은 지금 자기들의 범죄로 인하여 나라가 망하는 형국을 보고 있습니다. 현대적인 표현으로 바꿔 말하자면 다들 총, 칼과 폭탄과 미사일 파편에 죽어갈 뿐 아니라, 먹을 양식이 없어서 굶주려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 우리에게는 이런 끔찍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도 예레미야처럼 슬피 울부짖습니다.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이 나라, 이 백성들에게로 돌아오시옵소서. 교회가 정신을 차리고, 성도들이 바른 판단과 길을 가게 하소서’.
왜 예레미야는 ‘여호와여, 보시옵소서’라고 슬프게 울부짖고 있습니까?
첫째. 주께서 누구에게 이같이 행하셨는지요.
그래도 하나님은 공평하십니다. 예레미야가 ‘주께서 누구에게 이같이 행하셨는지요?’라고 외칠 때에, 그 누구는 바로 ‘하나님의 백성’입니다. 왜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에게 하지 못할 일을 하셨습니까?
그들이, 자칭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크게 범죄했기 때문입니다.
애 1:8–9, 8 예루살렘이 크게 범죄함으로 조소거리가 되었으니 전에 그에게 영광을 돌리던 모든 사람이 그의 벗었음을 보고 업신여김이여 그는 탄식하며 물러가는도다 9 그의 더러운 것이 그의 옷깃에 묻어 있으나 그의 나중을 생각하지 아니함이여 그러므로 놀랍도록 낮아져도 그를 위로할 자가 없도다 여호와여 원수가 스스로 큰 체하오니 나의 환난을 감찰하소서
‘크게 범죄함으로’(하테라 헤테), ‘헤테’(죄, 형벌), ‘하나님의 법이나 성품이 금하는 것을 범하거나 그것이 요구하는 것을 무시하는 느낌이나 행위, 말’로 악행(법, 또는 의무나 도덕적 원리의 위반)입니다. ‘크게 범죄’라는 말을 ‘헤테라 헤테’라고 함으로써, ‘죄를 짓고, 또 짓고’라고 매우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백성들이라고 하면서,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면서도 그들의 말이나 행동 따위는 악행을 저질렀다는 말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1달 전, 부산 초량시장을 방문해 시장 상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여러분들 더 잘 살게 해드려야 되겠다는 마음이 많이 들고 제 마음이 많이 찡합니다. 더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더 잘 살게 해 드리겠습니다’. 그런 대통령이 1달도 되지 않아서, 계엄을 선포해 버렸습니다.
지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 크게 범죄했습니다. 죄를 짓고 또 저질렀습니다. 하나님께서 진노하셨습니다. 이 하나님의 백성들과 예루살렘을 대적들에게 팔아버렸습니다. 하나님이 누구에게 이같이 행하셨습니까? ‘범죄하고 범죄한 자기 백성들에게’ 그렇게 하셨습니다.
범죄한 민족에게는 그들이 하나님의 백성들이라 할지라도 아무런 소망이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진노밖에 없습니다. 사랑의 하나님이라는 미명 아래, 범죄하고 범죄하는 일을 돌이켜 회개해야 살 수가 있습니다. 회개해야 소망이, 축복이 다시 회복될 수가 있습니다. 대통령은 단 한 번도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들을 향해 반국가 세력으로 체포 명령을 내렸습니다.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회개해야 소망이 있습니다. 회개와 책임있는 결단을 해야 축복의 길이 열립니다.
둘째. 회개하도록 이같이 (진노)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크게 범죄한 자기 백성,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예루살렘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셨습니까? 예레미야는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주께서 누구에게 이같이 행하셨는지요?’라고 슬피 울부짖고 있습니다. 선지자가 울 수밖에 없었던 유다 백성들의 ‘이같은 상황’은 어떠했습니까?
애 1:18–20, 18 여호와는 의로우시도다 그러나 내가 그의 명령을 거역하였도다 너희 모든 백성들아 내 말을 듣고 내 고통을 볼지어다 나의 처녀들과 나의 청년들이 사로잡혀 갔도다 19 내가 내 사랑하는 자들을 불렀으나 그들은 나를 속였으며 나의 제사장들과 장로들은 그들의 목숨을 회복시킬 그들의 양식을 구하다가 성 가운데에서 기절하였도다 20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내가 환난을 당하여 나의 애를 다 태우고 나의 마음이 상하오니 나의 반역이 심히 큼이니이다 밖에서는 칼이 내 아들을 빼앗아 가고 집 안에서는 죽음 같은 것이 있나이다.
18절에, 청년들이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19절에, 존경받아 마땅한 제사장들과 장로들이 자기 목숨을 구하기 위해서 양식을 못 구해서 성 가운데서 기절해 죽었습니다. 20절이 이것을 요약합니다. 전쟁의 칼이 자식을 죽이고, 집 안에서는 굶주림으로 죽어갑니다.
‘누구보다 자식 사랑이 끔찍했던 엄마가 사랑하는 자기 아들을 끔찍하게도 먹어 치웠습니다. 왜? 배가 너무 너무나 고파서... 몇 날 며칠을 굶다 보니까, 그저 목숨 하나 부지하기 위해서..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이 예배, 곧 제사를 드릴 수가 없어서 주의 성소에게 굶어 죽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간에 90kg의 쌀이 들어왔습니다. 굶어보면, 누구든 자식을 잡아 먹을지 모릅니다. 굶주려 굶어 기절해 죽는 일들이 존귀한 제사장들에게도 일어났습니다.
애 2:20,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주께서 누구에게 이같이 행하셨는지요 여인들이 어찌 자기 열매 곧 그들이 낳은 아이들을 먹으오며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이 어찌 주의 성소에서 죽임을 당하오리이까?
이같은 상황 속에서도, 즉 크게 범죄하고, 하나님이 진노하심으로 굶주림과 전쟁으로 고통받았을 때에, 회개하니 소망이 생깁니다. 반드시 뭐가 있어야 합니까? 하나님의 진노의 심판이 있고, 그 후에 회개하니, 소망이 생깁니다.
애 3:20–22, 20 내 마음이 그것을 기억하고 내가 낙심이 되오나 21 이것을 내가 내 마음에 담아 두었더니 그것이 오히려 나의 소망이 되었사옴은 22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셋째, 여호와를 바라고 여호와께로 돌아가야 합니다.
배고픔과 전쟁의 칼 날로 너무나도 슬프고 애통할 때에, 하나님의 진노라는 것을 깨닫고서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인자하시고 긍휼히 많으신 여호와를 바라고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을 기대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여호와를 바란다는 것은 죄를 철저하게 회개한다는 말입니다.
애 3:22–26, 22 여호와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므로 우리가 진멸되지 아니함이니이다 23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주의 성실하심이 크시도소이다 24 내 심령에 이르기를 여호와는 나의 기업이시니 그러므로 내가 그를 바라리라 하도다 25 기다리는 자들에게나 구하는 영혼들에게 여호와는 선하시도다 26 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
26절에, 여호와의 구원(티슈하): (죄에서, 또는 악에서의) 구원, 도움, 복지나 (전쟁이나 노력의 성공적) 승리입니다. ‘기다림이 좋도다’(야힐, 바라다, 기다리다): 발생하거나 도착하기를 기대하다. (기대하면서) 바란다는 말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내가 그를 바라리라’(24절). ‘기다리는 자들에게나’(25절), ‘구원을 바라고’, ‘기다림이 좋도다’(26절).
애 3:38–41, 38 화와 복이 지존자의 입으로부터 나오지 아니하느냐 39 살아 있는 사람은 자기 죄들 때문에 벌을 받나니 어찌 원망하랴 40 우리가 스스로 우리의 행위들을 조사하고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41 우리의 마음과 손을 아울러 하늘에 계신 하나님께 들자
‘여호와께로 돌아가자’. ‘하나님께 마음과 손을 어울러 들자’. 주의 인자와 긍휼이 무궁하시기 때문에 아침마다 주의 축복으로 새롭게 쏟아지게 될 것입니다. 희망은 여호와를 바라고, 여호와께로 돌아갈 때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