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中, 허난성의 떠오르는 커피시장을 공략하라 | ||||||||||||||||||
---|---|---|---|---|---|---|---|---|---|---|---|---|---|---|---|---|---|---|---|
작성일 | 2013-02-25 | 국가 | 중국 | 작성자 | 리위(정저우무역관) | ||||||||||||||
中, 허난성의 떠오르는 커피시장을 공략하라 - 커피 전문점의 빠른 성장과 늘어나는 소비인구 - - 소비자의 커피 소비동향을 잘 파악해야 - □ 주요 커피전문점 진출 현황 ○ 1980년대 네슬레가 중국에 진출하면서 인스턴트커피를 선보였고, 1990년대에는 스타벅스가 들어오면서 원두커피가 유명해지기 시작함. ○ 중국경제금융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중국 10대 커피 브랜드는 1위가 스타벅스(星巴克), 2위NESCAFE(雀巢), 3위 샹다오커피(上岛咖啡), 4위 란샨커피(蓝山咖啡), 5위 량강커피(两岸咖啡), 6위 Maxwell, 7위 UCC, 8위 디오우(迪欧), 9위 MANABE(真锅咖啡), 10위는 밍디엔커피(名典咖啡)임. □ 허난성 커피전문점 현황 ○ 현재 허난성의 커피업계에서 비교적 인지도가 높은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스타벅스, 샹다오, 디오우, 량강, 밍디엔, 라오슈(老树) 등이 있으며, 그 중 이탈리아식 커피향과 미국식 분위기로 운영하는 스타벅스가 가장 유명함. - 스타벅스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지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지배주주 운영기구를 설립함. 현재 중국 내에서 영업 중인 스타벅스 체인점 수는 700개가 넘으며 앞으로 2015년까지 1500개의 분점을 목표로 함. - 디오우, 꺼더(哥德) 등 중소형 커피 브랜드는 일본과 대만 형식을 따라 커피뿐 아니라 간단한 식사, 서양음식 등을 같이 판매함. ○ 현재 허난성의 평균 커피 수요 인구가 중국 내 주요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적지만, 시장 발전속도가 매년 30% 이상 빠르게 성장하면서 최근 10년간 허난성 지역마다 커피전문점들이 증가함. ○ 스타벅스, 샹다오커피 등 대형 커피브랜드가 중국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중국 내 커피전문점 시장의 인기가 많음. - 스타벅스는 2012년에 정식으로 허난성에 진출해 현재 가장 유행하는 음료 브랜드 중 하나임. - 샹다오커피는 원두커피를 필두로 중국인에게 오리지널 커피의 맛을 전파하고, 프랜차이즈 경영방식으로 확장해 현재 커피전문점 시장의 80%를 점유함. ○ 그 밖에 중소형 커피 전문브랜드들은 투자규모와 면적이 비교적 작고 전문성과 직원서비스 등이 소비자들의 수요에 못 미침. - 또한, 독특한 커피전문점 분위기와 문화를 살리지 못해 경쟁력이 부족함. □ 소비자 분석 및 소비현황 ○ 커피소비의 주류계층인 화이트칼라 계층과 청년층 - 화이트칼라 계층은 커피와 양식 등에 대해 소비능력을 갖추고 있어 커피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소비층으로, 이들이 소비하는 커피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커피문화가 전파됨. - 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젊은 소비층은 새로운 문물에 대한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고, 외국의 식음료 문화에 대한 수용도 매우 개방적이어서 중국 내 커피시장의 발전을 가속화할 계층임. - 현재 커피 소비자는 소득이 높은 화이트칼라 또는 중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가장 많으며, 다음은 대학생으로 나타남. ○ 점점 더 늘어나는 커피 소비 인구 - 중국의 잠재적인 커피 소비자는 약 2억~2억5000만 명으로, 이는 현재 세계 1위 커피 소비국인 미국시장과 큰 차이가 없음. - 12개 내륙도시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32%의 시민이 현재 커피를 즐겨 마시고 있고, 1년 이내 인스턴트커피를 마셔본 인구는 30% 이상임. - 젊은 남녀는 주로 커피전문점을 이용해 커피를 마시고, 가정주부와 35세 이상의 화이트칼라 계층은 주로 집에서 커피를 마심. ○ 일인당 커피숍에서 30위안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46%, 50위안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37%, 100위안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17%, 200위안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0%로 나타남. 소비자 소비수준 분석표 자료원: 중국 커피 산업 분석 보고서(2012~2017년) ○ 소비자 전망 - 현재 커피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는 인스턴트커피가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보편화된다면 사람들은 곧 오리지널 원두커피에 대해서도 관심을 둘 것임. -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청년층과 중년층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가정용 커피기기가 보급돼 전체 커피소비 중 가정 커피 소비량은 인스턴트커피 소비량을 초과할 것임. - 앞으로 2015년에는 가정용 커피기기는 인스턴트커피에 버금가는 큰 소비경로가 될 것이며, 2020년에는 가정 커피 소비량은 인스턴트커피 소비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함. ○ 소비 전망 - 중국의 연간 커피 소비량은 5만 톤 내외임. 이 중 인스턴트커피가 60%, 일반커피 30%, 나머지는 기타 커피임. - 2003년 중국 커피 소비량은 1억9080톤이었으나, 2010년 5억752톤으로 연평균 15%의 증가율을 보여, 2013년 중국 커피 소비량은 10만 톤에 달할 것임. - 커피 소비의 새로운 성장 포인트가 될 수 있는 고급 중식 레스토랑에서는 현재 음료수로 대부분 차나 주스 등을 제공하지만, 커피소비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중식당에서도 커피를 보급할 것으로 전망됨. ○ 정저우시 내의 커피 전문점들은 여전히 경쟁이 치열할 뿐 아니라 가게 운영비가 많이 들어 위험이 큼. - 기타 주변 도시들은 경쟁이 상대적으로 낮아 새로운 커피 브랜드의 개점 성공률이 높음. - 정저우에 투자한 대부분의 투자자는 이미 시장에 진출한 커피 브랜드에 투자하는 것보다 자체 브랜드 개발을 선호함. □ 커피전문점 투자환경 ○ 샹다오커피의 경우, 300~400㎡ 정도 표준 규모의 커피숍을 오픈하는 데 약 200~300만 위안 정도의 자본금이 소요됨. - 20만 위안의 가맹비용, 5만 위안의 보증금, 1200위안/㎡의 인테리어비용(샹다오에서 직접 인테리어 공사), 설비비용 10~20만 위안(커피기기, 분쇄기, 음향기기, 에어컨 등과 같은 주방시설 포함), 가구 8~15만 위안(계산대, 소파, 식탁, 걸상 등), 외부 광고 5~8만 위안 정도 차지, 나머지 부분은 가게 운영에 포함됨. 허난성 커피숍 상점 임대비용
자료원: 바이두 , 코트라 정저우 무역관 자체 정리 ○ 커피 전문점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이 큼에도 커피숍 투자자들이 점점 더 많아짐. 이들 중 커피전문점을 본업으로 하는 투자자는 18% □ 우리나라 커피전문점 진출 전망 ○ 허난성 성도인 정저우와 더불어 주변도시의 커피 전문점도 계속 증가하고, 앞으로 20년 사이 주요 커피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함. - 치열한 경쟁 중에서 우세를 차지하려면 고부가가치 창출의 상품을 많이 개발하고, 창의적인 영업방식을 갖춰야 함. ○ 주된 고객인 대학생을 잡기 위해 번화가뿐만 아니라 대학가 주변에 커피전문점을 개점해 많은 고객을 확보해야 함. -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중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웨이보(微博)나 런런왕(人人网) 등과 같은 SNS를 통해 한국 커피전문점 홍보도 해야 함. 자료원: 바이두, 중국경제금융센터(CEFRI), 중국 커피 산업 분석 보고서, 코트라 정저우 무역관 자체정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