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칩거와 탄허 스님 '결자해지(結者解之)' 통일 예언
박완식교수 壯子(장자) 강의 養生主篇(양생주편)에 소를 잡는 백정의 이야기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소를 잡는데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소문난 齊(제)나라의 백정 屠牛吐(도우토)라는 사람이 있었다.
하루 아침에 아홉 마리의 소를 잡아도 칼이 전혀 무뎌지지 않아서 소의 털까지 자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庖丁(포정)이라는 사람은 그 보다 한 수 위였다, 무려 19년 동안이나 칼을 갈지 않아도 여전히 그가 사용하는 칼의 날은 전혀 무디어지지 않았다고 하니 말이다.
원래 포정은 전국시대 위나라 사람이다 , 문혜군(文惠君)의 주방장이기도 했던 그는 소를 잡는 데 도통하여 소 한 마리 쯤은 눈 깜짝할 사이에 해치웠다. 뿐만 아니라 어찌나 능수능란했던지 손 놀리는 것이나 어깨 위에 둘러매는 것, 발을 내디디는 것, 무릎으로 밀어치는 동작, 살점을 쪼개는 소리, 칼로 두들기는 소리가 마치 뽕나무 숲에서 춤을 추듯 음악에 맞고 조화를 이루었다,
이를 보고 감탄한 문혜군이 말했다.
“정말 훌륭하도다! 경지에 이르는 비결이 무엇인고?” 그러자 포정이 말했다.
“소인은 항상 道(도)를 위해 몸 바쳤습니다. 도는 단순한 기술보다 고상하지요.
제가 처음 소를 잡았을 때는 소 전체가 눈앞에 보였습니다. 그러나 3년 정도 지나니 소를 보지 않게 되더군요. 지금은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봅니다. 즉, 육감의 지배를 받기 보다는 오직 마음으로 일을 하지요. 그래서 소의 신체 구조를 따라 뼈마디와 마디 사이로 칼날을 놀립니다. 자연히 살점과 심줄은 건드리지도 않고 큰 뼈를 다치지도 않지요.”
"제가 좋아 하는 것은 道(도)입니다. 그것은 기술(技)에서 더 나아간 것입니다.
감각기관의 지각작용이 멈추고 神(신)이 하고자 하는 대로 움직입니다. 소의 자연적 결(天理)을 따라 큰 틈새를 치고 큰 구멍에서 칼을 움직이니, 소의 본래 모습을 따른 것입니다. 경락이 서로 이어진 곳, 뼈와 살과 힘줄이 엉킨 곳에서도 아무런 장애를 느끼지 않거늘, 하물며 큰 뼈에 있어서는 어떻겠습니까?
소의 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틈 사이로 집어 넣으니, 널찍널찍하여 칼을 놀리는 데 반드시 여유 공간이 있는 것입니다."
문혜군이 말했다.
"훌륭하도다!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養生(양생)에 대해 터득하였노라!"
이것은 《장자(莊子)》의 養生主篇(양생주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
庖丁解牛(포정해우)의 故事(고사)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結者解之(결자해지)
‘결자해지’와 ‘포정해우’는 매듭을 푼다는 공통점이 있다. 매듭지음(結者)을 푼다는 것(解之) 또한 포정의 소 잡는 경지와 같이 쉽게 풀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주역에서 매듭을 짓는 괘가 괘 순서로 30번째인 重火離卦(중화이괘)라 한다면, 매듭을 푸는 괘는 40번째 괘인 雷水解卦(뢰수해괘)라 할 수 있다. 解卦(해괘)는 땅 속에서 머물러 있던 우레가 이제 물 위에 나와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모습이니, 그야말로 천둥치고 비를 내려 백과초목이 싹을 틔운다는 괘이다. 다시 말하면, 겨우내 얼었던 땅이 봄 눈 녹듯이 서서히 ‘풀린다,’는 괘인 것이다.
離卦(이괘)와 解卦(해괘) 사이는 10괘인 60爻(효)가 들어 있다. 60이라는 수는 60갑자의 주기와 같이 天道(천도)가 한 바퀴 돈다는 의미를 갖기도 하고, 또한 6이 極數(극수)이므로 極則變(극즉변)하는 이치를 담고 있기도 하다. 왜 하필 離卦(이괘)로부터 60번째 효에 와서 解卦(해괘)를 두었을까? 풀어야 하는 것에도 때(時)가 있고 마디(節)가 있는 것이다. 아무 때나 풀 수는 없기 때문이다.
解卦(해괘)의 上九(상구) 爻辭(효사)를 보면, ‘공이 높은 담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으니 이롭지 아니함이 없다(公이 射隼于高墉之上하야 獲之니 无不利하니라).’ 하였다. 상구 효는 맨 위 자리에 있는 효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모든 것을 다 풀고 넘어가야 하는 자리다. 새매가 갖는 상징성은 다양하지만 어쨌거나 새매는 猛禽類(맹금류)로서 物(물)을 해치는 날짐승이니, 내 땅에 새가 날아들었다면 쏘아 잡아서 근심을 풀어야 할 것이다. 말하자면 이제 바야흐로 세상의 얽히고설킨 것들을 풀어야 할 때에, 세상을 해치는 소인배와 같은 무리들에게는 寬容(관용)으로 푸는 것만이 能事(능사)가 아니고 때로는 활로 쏘아 잡듯이 威嚴(위엄)을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새를 잡는 방법이 쉽지 않다. 그래서 공자는 새매를 잡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隼(준)은 날짐승이요, 弓矢(궁시)는 도구(器)요, 활을 갖고 쏘는 자(射之者)는 사람(人)이니 군자가 몸에 활과 화살을 간직(藏器於身)하고 때를 기다려서 움직인다면(待時而動) 무슨 불리함이 있겠는가?” 즉 이 말씀은 새매를 잡으려면 우선 새를 잡을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 있어야 하고, 새를 잡을 수 있는 도구가 있어야 하고, 때가 맞아야 하는 것이다. 사람(人)과 도구(弓矢)와 때(時)의 3요소가 갖춰져야만 그 동안의 잘못 얽혔던 실마리를 풀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 기초해서 결자해지의 뜻을 다시 음미해보자. 그동안 복희씨의 그물로 세상을 덮어 왔으니 복희씨는 다름 아닌 동이족이다. 즉 간방인 우리나라에서 역사적 문명의 시초가 이루어졌고, 이제 선천을 마치고 후천을 넘어가는 복희씨의 그물로 새를 잡아야 하는 것이다. 복희씨의 그물을 공자께서는 弓矢(궁시)로 표현했으나 그물이나 궁시 모두 離卦(이괘)의 상으로 의미하는 바는 한 가지다. 또한 궁시는 大弓之人(대궁지인)인 동이족의 것으로, 대궁이 동이족과 관련이 있다는 말은 전게 호에서 이미 말한 바 있다.
아니! 그물로 순하게 잡으면 되지 하필 화살로 쏘아서 잡으라고 했을까? 대저 道(도)와 德(덕)이라는 것은 剛柔(강유)와 健順(건순)의 調和(조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순하게 매인 사람은 부드럽게 풀어야 하지만 불순하게 매인 사람은 활과 화살의 위엄으로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해괘의 괘상에 대해 말하기를 ‘(그 동안의) 어긋났던 것을 푸는 것이다(以解悖也)’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위 인용문에서 ‘공이 높은 담장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았다.’라고 했는데 담장은 괘상으로 말하면 艮卦(간괘)에 해당하고 새매는 南方朱雀(남방주작)이니 離卦(이괘)를 상징한다. 艮方(간방)은 곧 우리나라를 가리키니, 이는 우리나라에서 새매를 쏘아 잡는다는 것이다. 이렇듯 선천을 마치고 후천을 시작하는 자리가 동북 간방이라고 주역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후천의 주역이 되는 동북 간방의 이(離) 자리에서 마치 포정이 소를 잡듯이 소의 뿔을 쳐서 午會(오회)를 넘어 후천에 이르기를 선현들은 갈망했을 것이다. 이것이 ‘결자해지’를 통해 살펴본 秘辭(비사)이다.
북한의 김정은 유고설이 사실이라면 통일에 대한 결자해지가 이뤄질 것인가?
탄허스님이 1975년 무렵 충북 제천시 월악산 덕주사를 방문했을 때 주지 스님이었던 월남스님께서 통일에 대해 물었더니 아래와 같이 예언을 했다고 한다.
월악산 영봉 위로 달이 뜨고, 이 달빛이 물에 비치고 나면 30년쯤 후에 여자 임금이 나타난다. 여자 임금이 나오고 3~4년 후에 조국은 통일될 것이다.
탄허 스님이 예언한 1975년에는 월악산에 호수나 강 등이 없었으나, 충주 댐이 1980년에 공사를 시작해 1983년에 완공되자 이때부터 월악산 위에 뜬 달빛이 충주댐 물 위로 비춰져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30년이 지난 뒤 2013년 박근혜가 대통령에 당선 되었으며, 당선 후 3년~4년 후는 2016년 ~ 2017년 이후이다.
1983년 입적한 불교계 고승 탄허 스님이 생전에 내놓은 대 예언으로 알려진 ‘월악산 예언’이 새삼 주목을 모으고 있다. 미국 CNN방송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상태가 심각하다고 보도하면서다.
탄허 스님의 ‘월악산 예언’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5년이 지난 2018년 남북 정상회담 개최와 함께 한반도에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자 인터넷 공간에서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어 영어(囹圄)의 몸이 되고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한 후에도 통일의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예언에 대한 관심도 흐지부지 흩어졌다.
그런데 김 위원장 중태설이 ‘월악산 예언’을 다시 부각시키게 되었다.
김 위원장의 신변에 큰 문제가 발생할 경우 ‘백두혈통’인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이 북한 정권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김 후보위원이 북한 정권을 잡으면 한반도에 새 ‘여자 임금’이 탄생하는 셈이다. 어디까지나 과학적 사실과는 거리가 먼 예언에 불과하지만 탄허 스님의 ‘월악산 예언’이 적중한다면 김 후보위원이 정권을 잡고서 3, 4년 뒤 통일이 될 수도 있으리라는 기대도 갖게 되는 것이다.
탄허스님은 불가에 출가하기 전에 유교와 도교의 경전을 섭렵했다. 특히 주역은 500번이나 탐독했다. 그의 예언은 파격적이었는데 지금까지 예언은 거의 적중했다고 한다.
남북 문제는 남한과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고 미국, 일본, 중국, 소련의 영향력이 난마처럼 얽혀 있다. 마치 큰 황소를 해체 해 놓은 것과 같다. 그것을 잘 수습할 포정(庖丁)이 나타나 민족의 자존감을 훼손시키지 않고 통일의 주춧돌을 놓을 수 있을 것인지?
또, 탄허 스님 예언에 핵무기를 만드는 나라는 망한다고 한 예언도 있다. 그리고, 통일은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어느 날 갑자기 이뤄진다는 예언을 했다.
내가 추측하건대 탄허 스님은 해방 후 계속되어 온 북한의 악행을 결자(結者)로 보고, 주역의 원리 「子半一陽動(자반일양동) : 동짓날 자시에 한 양이 움직인다.」를 적용하여 결자(結者)의 한계로 여겼으리라 생각된다.
그래서 이 때가 되면 주역의 30번째 괘인 重火離卦(중화이괘) 즉 매듭을 만드는 괘가 한계에 이르게 되고, 자연스럽게 매듭을 푸는 괘인 40번째 雷水解卦(뢰수해괘)로 넘어 가게 된다는 것이 자연의 이치다. 그것을 탄허 스님의 혜안으로 예언한 것은 아닌지?
좀 더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