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步 第7詩集
겨울,하늘소의 춤
머리말
하늘을 나는 말을 천마(天馬)라고 하던가?
하늘소― 하늘을 달리는 소면 천우(天牛)가 아닌가. 참 눈부시게
화려한 이름이다. 썩은 나무 등걸에 붙어 사는 한 마리 보잘것
없는 작은 집게 벌레에게 누가 그처럼 황홀한 이름을 매달았는가?
아니 옛날에는 천상(天上)의 초원을 누비며 달리던 용맹스런
천우(天牛)들이었는데 마녀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지상(地上)
으로 추락해 내렸는지도 모른다.
하늘소를 생각하면서 나는 때때로 꿈을 꾼다.
잃어버린 날개―그 은빛 날개를 파닥이면서 하늘을 치솟아
날아 오르는 꿈을. . . .이 겨울 벌판에서.
1993. 3. 임보
선암시(仙巖詩) / 임보
四月 조계산(曹溪山)
선암사에 갔더니
진달래 꽃불 속에
스님들 다 타 죽고
처마 끝엔 바람 염불
개울에선 물 염불
승선교(昇仙橋)다리 밑을
도는 피라미.
동백(冬柏) / 임보
오월 이른 아침 백화암(白華庵) 골짝
피는 동백 지는 동백 바람 든 동백
떼 동백이 엉켜 흐드러져 있는데
고 중에도 유독 고운 왕동백 한 놈
백년 묵은 큰 가지에 매달려 있데
가던 걸음 멈추고 들여다보니
얼굴 붉히며 돌아서 가는데
꽃이 아니라 사미니(沙彌尼)네 그려.
* 백화암 : 해남 대홍사 밑에 있는 암자
* 사미니 : 불도를 닦는 스무 살 이하의 어린 여승
선운사(禪雲寺) 동백 / 임보
이른봄 봄바람에 바람이 들어
선운사 동백밭에 동백 보러 갔더니
동백도 스님도 다 문 걸어 닫고
감나무 벗은 가지 외진 절 마당
동박새만 떼로 몰려 지저귀는데
빈 하늘에 온종일 열린 대웅전
나무부처 몇 놈만 떨고 앉았네.
석불(石佛) / 임보
운학동(雲鶴洞) 깊은 골짝 빈 마을엔
붉게 익은 감들만 흐드러졌는데
천만(千萬) 개미떼들 그 밑에 모여
태평성대(太平聖代) 누리며 북적이는데
코 귀가 반쯤 잘린 얽배기 석불
불따귀 머리통에 홍시 맞고도
입이 찢어지도록 웃고만 있네.
바위 / 임보
속리산 골짝에 들어갔더니
천년 묵은 소나무 깊은 숲속에
큰 바위 한놈 웅크리고 있데
아무도 보는 이 없는 그 산 속에서
천만 년 숨어서 그렇게 있데
샘김새를 보니 거북도 같고
독수리 등짝 같기도 한 그놈을
끌어다 세상에 내놓으려 해도
아무런 방도가 없데
꼼짝달싹도 하지 않데.
소쇄원(瀟灑園) / 임보
대수풀 어우러진 푸른 그늘 속
옛 선비 숨어살던 소쇄원 터
대봉대(待鳳臺),광풍각(光風閣)에 흐르는 석계(石溪)
봉황을 기다리던 주인은 없고
무너진 담장 아래 바람만 가득
석류꽃만 핏빛으로 피었습니다
멧새들만 목이 타게 지저귑니다.
* 소쇄원
전남 담양군 남면 지석 마을에 있는 조선조 양산보(梁山甫)의
별당 정원. 대봉대, 광풍각 등은 정원 안에 있는 누각들.
다산(茶山) 초당 / 임보
전라도 강진 귤동(橘洞)
마을 뒷산에는
몇 백 년 전부터
셋이서 등을 맞대고
곧기를 겨루고 있었는데
그 중 두 분 ― 삼나무와 왕대님들은
여지껏 건장한 팔뚝과 장딴지를 걷어붙이고
그렇게 겨루기를 끝내지 않고 있는데
한 분은 언제 자리를 떠 어디로 갔는지
그가 앉았던 빈 자리엔
목민심서(牧民心書) 몇 권만이
나무들의 짙은 그늘 아래 묻혀 있을 뿐이다.
삼탄역장(三灘驛長) / 임보
산이 산들을 업고 겹겹이 누운
깊은 산골 삼탄역 빈 대합실
다람쥐 한 놈 기웃거리고 있다
역 앞은 푸른 계곡
여울 소리만이 가득할 뿐
가끔 석탄을 실은 화물열차가
거대한 공룡의 유령처럼
산허리를 뚫고 지나갈 뿐
이 산골에 내리는 사람은 없어
역장은 늘 역사에 없다
열대여섯 되는 동자놈 하나
여울에 그물을 던져
제 팔목만한 치리를 끌어올리기에
그가 어디 있는가고 물었더니
감자밭에 없으면
고사리를 꺾으러 산에 갔으리라 한다
여울엔 푸른 오동꽃이 떨어져
별처럼 반짝이고 있다.
* 치리 : 잉어과의 민물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