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풀 것이 있을 때 베풀어야 한다. / 일타 스님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맹상군이라는 제후가 살고 있었다.
권세도 높고 재물도 많은 맹상군은 어느 해 생일날,
호화판의 잔치를 베풀었다.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음식을 차렸고,
아름다운 풍악소리에 맞추어 미희들은 춤을 추었으며,
손님들이 가져온 선물들은 몇 개의 방에 차고도 남았다.
맹상군은 유쾌하여 술잔을 높이 들고 말했다.
"좋다. 정말 좋구나. 이렇게 좋은 날,
나를 슬프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나를 슬프게 할 자가 있다면 후한 상을 내리리라."
그때 눈먼 장님 한 사람이 앵금을 들고 맹상군 앞으로 다가섰다.
"비록 재주는 없으나 제가 대감의 눈에서 눈물이 나오도록 해보겠습니다."
"좋다. 한번 해보아라. 재주껏 나를 슬프게 만들어 보아라."
장님은 앵금을 타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천상의 소리처럼 아름다운 선율로 연주하다가
좀 지나자 지옥의 고통 섞인 소리를 만들어 내었고,
연이어 애간장을 녹이는 듯, 창자를 끊는 듯한, 연주를 계속하였다.
모두가 앵금의 소리에 넋을 잃을 즈음,
장님은 기가 막힌 음성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였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나니
세상의 모든 일 뜬구름과 같구나.
무덤을 만들고 사람들이 흩어진 후
적적한 산속에 달은 황혼이어라.
노래가 끝나는 순간 장님이 앵금을 세게 퉁기자 줄이 탁 끊어졌고,
앵금줄이 끊어지는 소리가 남과 동시에 맹상군은 통곡을 했다.
그리고는 무엇인가 좋은 일을 하면서 살아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그날 이후 맹상군은 자기 집에 큰 식당을 만들어놓고,
아침마다 국밥을 끓여 3천 명에게 식사를 제공했다.
그 국밥은 누구든지 와서 먹을 있었으며,
3천 명의 식객이 먹는 소리는 20리 밖에까지 들렸다고 한다.
장님의 노랫소리에 인생의 실체를 깨달은 맹상군은 자신의 재물을 풀었다.
굶주린 이들을 위해 매일같이 3천 그릇의 국밥을 만들었던 것이다.
비록 우리가 맹상군처럼은 못할지라도 베푸는 일에는 익숙해져야 한다.
베풀 것이 있을 때 베풀어여 한다.
'돈을 많이 모은 다음 좋은 일을 하겠다'고 하면서 미룰 일이 아니다.
조금 있으면 조금 있는 대로 보시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보시를 하는 그 마음 자체가 바로 도심이요,
우리를 잘 살게 만들어주는 선공덕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 가진 재물로써 능력껏 베풀어 보자.
가진 것을 베풀 때 인색한 마음은 저절로 사라진다.
탐하는 마음과 더불어 인색한 마음이 사라지므로 정신은 맑아지고,
재물로써 남을 살렸으니 마음 가득 환희가 넘치게 된다.
이렇게 될 때 우리 앞에 그릇되게 뚫려 있던 탐욕의 길,
투쟁의 길, 삿된 길들은 저절로 사라지게 되고,
지옥, 아귀 등의 추한 세계도 자취를 감추게 되는 것이다.
부디 도로써 돈을 써보라.
틀림없이 좋은 일이 다가오고 좋은 세상이 열리게 된다.
출처 : 나를 찾는 불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