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세포치료제
개발사] |
구분 |
경쟁사 |
세포종류 |
주요 제품명 |
파이프라인 |
국내 |
중외크레아젠 |
수지상세포 |
크레아박스-RCC주 |
신장암(시판) 간암(임상3상) 전립선암(임상1상) 뇌종양(임상2상) |
녹십자셀 |
활성 T 림프구 |
이뮨셀-LC |
간암(시판) 뇌종양(임상3상) 췌장암(임상2상) | |
박셀바이오 |
NK 세포 |
- |
간암(임상1상) | |
국외 |
NantKwest |
NK 세포주(종양) |
- |
메켈세포암(임상1/2상) 췌장암(임상1/2상) 유방암(임상 1/2상) |
Celgene |
NK 세포(제대혈) |
- |
골수종(임상 1/2상) |
검체검사서비스 사업
검체검사서비스사업의 주요 경쟁사는 서울의과학연구소, 삼광의료재단, 씨젠의료재단, 이원의료재단 등으로 각 업체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검체검사서비스 사업
경쟁사 현황] |
구분 |
㈜녹십자랩셀 |
재단법인 서울의과학연구소 |
의료법인 삼광의료재단 |
의료법인 씨젠의료재단 |
의료법인 이원의료재단 |
경쟁 |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병의원, 연구소 제약회사, CRO 산학협력단 각 정부부처 |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병의원, 연구소 제약회사, CRO 식품업체, 각 정부부처 |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병의원, 연구소 제약회사,CRO, 산학협력단 |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병의원, 연구소 제약회사, 산학협력단 각 정부부처 |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병의원 산학협력단 |
사업 능력 |
전국 네트워크 형성 연구검사서비스 임상시험 수행 자체 운송물류 운영 제대혈은행 세포치료제 R&D 해외협력기관 협업 정부과제 용역수행 |
전국 네트워크 형성 연구검사 서비스 임상시험 수행 자체 일부 물류운영 진단시약 개발 식품연구소 운영 해외협력기관 협업 정부과제 용역수행 |
전국 네트워크 형성 연구검사 서비스 임상시험 수행 |
전국 네트워크 형성 연구검사 서비스 임상시험 일부 수행 분자진단시약개발 정부과제 용역수행 |
전국 네트워크 형성 연구검사 서비스 의료소모품 판매 |
운영 현황 및 특징 |
<운영 현황> 검체검사서비스 임상시험 및 연구지원 서비스 자체운송물류서비스 제대혈은행 운영 세포치료제 사업 <특징> 녹십자의료재단과의 장기용역계약 세포치료제 R&D추진 사업 다각화 및 글로벌 사업 확대 활성화 준비(미국, 중동지역) |
<운영 현황> 검체검사서비스 임상시험 및 연구지원 서비스 자체운송물류 일부 시행 식품연구 서비스 <특징> 신축사옥 이전 해외 검진사업진출 (몽골지역) 식품검사 사업 |
<운영 현황> 검체검사 서비스 임상시험 및 연구지원 서비스 <특징> 임상시험 및 연구지원 자회사 설립 운영 |
<운영 현황> 검체검사서비스 임상시험 및 연구지원 서비스 <특징> ㈜씨젠 모회사 분자진단기기 및 시약 판매 영업 마케팅 용역 활성화 |
<운영 현황> 검체검사서비스 연구지원 서비스 <특징> 의료 소모품 판매 회사 운영 |
(3) 제대혈은행
사업
제대혈은행사업은
메디포스트, 세원셀론텍, 차바이오텍, 보령바이오파마 등의 업체가 시장의 90%이상을 과점하고 있는 구조이며, 메디포스트의 시장점유율이 50%를
넘어 영업에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경쟁업체 간 영업의 형태 및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쟁업체
현황] |
(단위:백만원) |
업체 |
매출액 |
시장점유율 (2015년) |
영업의 형태 |
특징 |
메디포스트 |
23,970 | 52.85% |
산부인과 직판 |
업계 1위, 이식 1위, 거점병원 확보 1위 |
세원셀론텍 |
12,494 | 27.55% |
산부인과 직판 |
거점병원 확보 2위 |
보령바이오파마 |
3,020 | 6.66% |
산부인과 직판 |
거점병원 확보 3위 |
차바이오텍 |
3,306 | 7.29% |
온라인, 박람회 |
이식지정병원(차병원 계열사) 보유 |
녹십자랩셀 |
2,565 | 5.66% |
박람회, 산부인과 |
메디포스트에 이어, 영유아브랜드 2위권으로 높은 브랜드 이미지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 |
주) | 시장점유율은 2015년 가족제대혈 보관 매출을 기준으로 상기에 표기된 5개사가 과점인 상황으로 이를 시장전체라고 가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품 목 |
생산(판매) 개시일 |
주요상표 |
제6기 1분기 |
제5기 |
제 품 설 명 |
세포배양매출 |
2015.05 |
- |
- |
48 |
세포배양매출 |
검체검사서비스 |
2011.07 |
- |
8,357 |
31,849 |
검체검사서비스 제공 |
제대혈보관 |
2011.07 |
라이프라인 |
539 |
2,565 |
제대혈은행(보관서비스) |
기타 |
- |
바이오물류 외 |
144 |
27 |
바이오물류 외 |
합계 |
- |
9,040 |
34,489 |
요약재무정보
주식회사 녹십자랩셀 |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6기 1분기 (2016년3월말) |
제 5 기 (2015년말) |
제 4 기 (2014년말)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Ⅰ.유동자산 | 8,177 | 7,793 | 7,664 |
- 당좌자산 | 8,177 | 7,793 | 7,664 |
- 재고자산 | - | - | - |
Ⅱ.비유동자산 | 9,157 | 9,070 | 6,519 |
- 기타금융자산 | 2 | 2 | 2 |
- 유형자산 | 3,005 | 2,933 | 2,511 |
- 무형자산 | 2,417 | 2,404 | 2,309 |
- 기타채권 | 3,206 | 3,232 | 1,193 |
- 이연법인세자산 | 528 | 499 | 504 |
자 산 총 계 | 17,334 | 16,863 | 14,183 |
Ⅰ.유동부채 | 4,291 | 4,963 | 5,014 |
Ⅱ.비유동부채 | 3,424 | 2,940 | 2,801 |
부 채 총 계 | 7,715 | 7,903 | 7,815 |
Ⅰ.자본금 | 4,250 | 4,250 | 4,000 |
Ⅱ.자본잉여금 | 547 | 547 | - |
Ⅲ.이익잉여금 | 4,823 | 4,163 | 2,368 |
자 본 총 계 | 9,619 | 8,960 | 6,368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7,334 | 16,863 | 14,183 |
(2016.01.01 ~ 2016.03.31) |
(2015.01.01 ~ 2015.12.31) |
(2014.01.01 ~ 2014.12.31) | |
매출액 | 9,040 | 34,489 | 30,901 |
영업이익 | 821 | 3,220 | 2,872 |
당기순이익 | 660 | 2,260 | 1,667 |
총포괄이익 | 660 | 2,068 | 1,780 |
기본주당순이익(원) | 78 | 274 | 208 |
본 신고서에 기재한 당사의 세포치료제 사업부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 단계로 매출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의 NK세포치료제 중 주력 파이프라인인
MG4101은 현재 임상시험 2상에 진입한 개발초기단계에 불과하며,
2022년 품목허가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품목허가 및 시판까지 약 6년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당사는 제대혈보관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에서 보관된 제대혈이 실제 활용된 케이스는 0.19%로 그 비율이 매우 낮아, 2014년 하반기부터 일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제대혈 무용론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015년 기준 당사 매출의 92.35%는 검체검사서비스사업부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검체검사서비스사업부 매출의 90.72%는 관계회사인 녹십자의료재단을 통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와 녹십자의료재단은 "검체검사업무에대한 용역계약서”를 통하여 2023년까지 장기계약을 맺고 영업을 하고 있어 매출의 안정성 위험은 크지않으나, 이러한 매출처의 편중은 기업독립성을 저해하는 요소이며, 매출처의 편중에 따라 주요 매출처로부터 경영 독립성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당사의 매출 및 수익구조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2015년 기준 당사는 검체검사서비스사업부의 매출액 중 90.72%가 녹십자의료재단으로 편중되고 있으며 이는 2015년 기준 전체매출액의
83.78%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매출처의 편중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독립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은 1991년에 의료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의료법인,
공익법인으로서 (주)녹십자홀딩스에서 설립당시 85.94%를 기부출연한 바 있습니다. 녹십자의료재단은 비영리기관인 동시에 당사와 관계회사이며,
검체검사서비스 사업에 있어서 상호협력관계에 있습니다. 검체검사서비스사업에서 당사는 의료기관의
영업,
검체의 운송, 고객관리를, 녹십자의료재단은 검체검사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당사는 검체검사서비스의 운송 및 영업을 위하여
전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230명의 영업전문인력이 8개의 지점하에 총 44개 영업소를 운영하면서 전국 대학병원 71개 중 65개의
병원에 검체검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5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지정한 43개 상급병원 모두 당사와 거래를 하는 등 영업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영업력, 전국
네트워크 및 운송시스템의 지원없이는 녹십자의료재단 역시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호보완적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검사기관의 검사능력을 기준으로 경쟁사를 선정했을 때 녹십자의료재단을 비롯하여,삼광의료재단, 이원의료재단, 씨젠의료재단 및 서울의과학연구소(SCL)등이 있으며, 이 중 씨젠의료재단 역시 당사와 유사하게 검사기관과 검체검사서비스 업체를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랩지노믹스 역시 당사와 유사한 매출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협력기관인 녹십자의료재단의 경우 2015년 시장점유율 21.3%로 국내 1위의 검사업체입니다. 녹십자의료재단의 경우 국내 최대의
검사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유수의 임상검사 관련 전문기관들과 협력관계를 맺어 꾸준히 새로운 검사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검사부터 분자유전검사, 특수생화학검사 등 특수검사까지 약 4,000여 항목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등, 검사기관으로서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지난 3년 간 녹십자의료재단의 시장점유율은 소폭이지만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검체검사 시장규모] |
(단위: 억원) |
기관명 |
2013年 |
2014年 |
2015년 | |||
매출 |
구성율 |
매출 |
구성율 |
매출 |
구성율 | |
녹십자의료재단 |
812 |
20.02% |
892 |
20.13% |
1,008 |
21.34% |
서울의과학연구소 |
817 |
20.14% |
883 |
19.93% |
910 |
19.27% |
이원의료재단 |
774 |
19.08% |
815 |
18.39% |
840 |
17.79% |
삼광의료재단 |
638 |
15.73% |
709 |
16.00% |
740 |
15.67% |
씨젠의료재단 |
591 |
14.57% |
655 |
14.78% |
780 |
16.51% |
랩지노믹스 |
170 |
4.19% |
232 |
5.24% |
250 |
5.29% |
기타 |
25.4 |
0.63% |
245 |
5.53% |
195 |
4.13% |
합계 |
4,056 |
100.00% |
4,431 |
100.00% |
4,723 |
100.00% |
(출처: 국세청홈텍스시스템 공익법인공시, 녹십자랩셀 작성)
[상장 후 매도금지 및 매도가능 주식수] |
구 분 | 주 주 명 | 주식종류 | 공모후 주식수 (단위: 주) |
상장 후 지분율 | 매도금지 기간 |
비고 | |
매도금지 물량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 녹십자 | 보통주 | 4,080,000 | 38.64% | 상장일로부터 6개월 | - |
녹십자홀딩스 | 보통주 | 980,300 | 9.28% | - | |||
주요특수관계인 | 보통주 | 150,000 | 1.42% | - | |||
임원 | 보통주 | 140,500 | 1.33% | - | |||
기타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50,000 | 6.16% | 관계사 임원 등 | |||
소계 | 보통주 | 6,000,800 | 56.83% | - | |||
상장예비심사청구일로부터 1년이내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상자 |
민보경 외 25인 | 보통주 | 103,000 | 0.98% | 직원 | ||
강소영 외 9인 | 보통주 | 67,000 | 0.63% | 개인투자자 | |||
박승만 외 5인 | 보통주 | 25,000 | 0.24% | ||||
엘아이지투자증권(주) | 보통주 | 100,000 | 0.95% | 상장일로부터 1개월 | 기관투자자 | ||
소계 | 보통주 | 295,000 | 2.79% | - | - |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 하나금융투자(주) | 보통주 | 60,000 | 0.57% | 상장일로부터 3개월 |
- | |
매도금지 주식 합계 | 보통주 | 6,355,800 | 60.19% | - | - | ||
매도가능 물량 |
우리사주조합 | 보통주 | 688,500 | 6.52% | - | (주1) | |
기타 소액주주 | 보통주 | 1,515,700 | 14.35% | - | |||
공모 주주 | 보통주 | 2,000,000 | 18.94% | - | |||
매도가능 주식 합계 | 보통주 | 4,204,200 | 39.81% | - | |||
총 상장예정주식수 | 보통주 | 10,560,000 | 100.00% | - | - |
주1) | 공모주식을 배정 받을 기관투자자의 확약여부에 따라 상장 후 매도금지물량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주2)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공모 청약 이후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혹은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게 될 경우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2015년 실제 발생한 당사의 당기순이익 약 22.6억원의 실적에 향후 세포치료제 기술을 통한 매출 발생 가능성을 감안하여 세표치료제 사업부의
2020년예상 당기순이익의 2015년 기말 현가 32.2억원을 가산한 순이익 54.8억원을 적용순이익으로 하여 공모가액 산출을
적용하였습니다.
당사는
중소기업이 아니며, 이로 인해 기술성 평가를 통한 특례상장 대상 법인이 아니지만, 당사의 NK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에 대해 2016년 3월
한국기업데이터로부터 A 등급을 받은 사실이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성평가를 통한
기술특례 상장기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2015년 실제 발생 당기순이익에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 세포치료제 사업부의 2020년 예상 당기순이익의 현가를 가산한 이익을 금번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세포치료제 사업부는 주력 파이프라인인 MG4101에 대해서 임상 2상 진행에 대한 승인을 받은 상태로 신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 개발 단계에있으며, 해당 사업부와 관련된 매출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다
[세포치료제 사업 관련 예상 매출 및 이익 규모] |
(단위: 백만원) |
구분 | 품목 | 2015년 | 2016년(E) | 2017년(E) | 2018년(E) | 2019년(E) | 2020년(E) |
---|---|---|---|---|---|---|---|
기술이전매출 | NK세포치료제(중국) | - | - | 1,000 | - | - | 1,000 |
NK세포치료제 (글로벌) | - | - | - | 10,000 | - | 20,000 | |
Car-NK세포치료제 | - | - | - | 0 | 10,000 | - | |
시술매출 | 일본 | - | - | - | 0 | 5,095 | 10,131 |
국내 | - | - | - | 1,017 | 2,180 | 3,187 | |
기타매출 | 48 | - | - | - | - | - | |
매출합계 | 48 | - | 1,000 | 11,017 | 17,275 | 34,318 | |
시술원가 | 일본 | - | - | - | - | 1,528 | 3,039 |
국내 | - | - | - | 305 | 654 | 956 | |
매출원가합계 | - | - | - | 305 | 2,182 | 3,995 | |
매출총이익 | - | - | 1,000 | 10,712 | 15,092 | 30,323 | |
판관비 | 인건비 | - | 1,653 | 1,855 | 1,931 | 1,164 | 330 |
감가상각비 | - | 204 | 284 | 284 | 821 | 821 | |
경상 연구개발비 등 | - | 5,323 | 8,576 | 4,999 | 10,189 | 16,849 | |
합계 | - | 7,179 | 10,714 | 7,213 | 12,173 | 18,000 | |
영업이익 | (7,179) | (9,714) | 3,498 | 2,919 | 12,323 | ||
기타손익 | 영업외수익 | - | 0 | 19 | 189 | 286 | 590 |
영업외비용 | - | 0 | 8 | 76 | 114 | 236 | |
당기순이익 | 48 | (7,179) | (9,725) | 3,385 | 2,747 | 11,969 |
[주요 경쟁 업체의 품목허가 현황] |
순번 |
업체명 |
제품명 |
분류 |
대상질환 |
허가 일자 |
1 |
크레아젠 |
크레아박스- RCC주 |
자가 수지상세포 |
전이성 신세포암 |
2007.05.15. |
2 |
녹십자셀 |
이뮨셀-LC주 |
자가 활성화 T 림프구 |
간암 |
2007.08.06. |
3 |
에프씨비파미셀 |
하티셀그램- 에이엠아이 |
자가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
급성심근경색환자좌심실구혈 |
2011.07.01 |
4 |
메디포스트 |
카티스템 |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 |
골관절염 환자(ICRS grade IV)의 무릎 연골결손 치료 |
2012.01.18 |
5 |
안트로젠 |
큐피스템 |
자가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
크론병으로 인한 누공 치료 |
2012.01.18 |
6 |
코아스템 |
뉴로나타알주 |
자가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
루게릭병 진행속도 완화 |
2014.07.30 |
[주요 경쟁업체 비교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청구회사 | 녹십자셀 |
파미셀 |
메디포스트 |
랩지노믹스 | ||||||||||
2013 (제3기) |
2014 (제4기) |
2015 (제5기) |
2013 (제22기) |
2014 (제23기) |
2015 (제24기) |
2013 (제46기) |
2014 (제47기) |
2015 (제48기) |
2013 (제14기) |
2014 (제15기) |
2015 (제16기) |
2013 (제12기) |
2014 (제13기) |
2015 (제14기) | |
설립일 |
2011년 6월 21일 | 1992년 09월 17일 |
1968년 8월 20일 |
2000년 6월 26일 |
2002년 3월 29일 | ||||||||||
매출액 (매출원가율) |
27,576 (80.67%) |
30,901 (78.95%) |
34,489 (78.95%) |
29,866 (92.60%) |
43,804 (82.71%) |
29,750 (72.01%) |
33,405 (73.81%) |
20,155 (80.91%) |
25,176 (78.02%) |
41,504 (52.92%) |
41,403 (55.30%) |
37,570 (37.01%) |
16,968 (49.93%) |
23,201 (49.35%) |
23,590 (52.01%) |
영업이익 (이익률) |
2,068 (7.50%) |
2,872 (9.30%) |
3,220 (9.34%) |
-4,097 (-13.72%) |
1,092 (2.49%) |
1,876 (6.31%) |
-7,637 (-22.86%) |
-8,417 (-41.76%) |
-5,532 (-22.05) |
-200 (-0.48%) |
-1,775 (-4.29%) |
-211 (0.60%) |
1,562 (9.21%) |
2,616 (11.28%) |
1,032 (4.37%) |
당기순이익 (이익률) |
1,258 (4.56%) |
1,667 (5.39%) |
2,260 (6.55%) |
-7,675 (-25.70%) |
-2,251 (-5.14%) |
2,994 (10.06%) |
-23,701 (-70.95%) |
-28,768 (-143.73%) |
-6,390 (-25.38%) |
1,127 (2.72%) |
-1,809 (-4.37%) |
2,698 (7.18%) |
1,260 (7.43%) |
2,420 (10.43%) |
1,626 (6.89%) |
총자산 |
11,968 |
14,183 |
16,863 | 54,300 | 55,964 | 51,668 |
99,369 |
98,845 |
102,101 |
145,771 |
185,969 |
182,933 |
22,712 |
31,095 |
32,687 |
총부채 |
7,233 |
7,815 |
7,903 | 15,294 | 19,217 | 12,283 |
16,948 |
15,443 |
10,757 |
28,348 |
68,632 |
36,451 |
9,506 |
9,859 |
9,537 |
자기자본 |
4,735 |
6,368 |
8,960 | 39,006 | 36,747 | 39,385 |
82,421 |
83,402 |
91,344 |
117,423 |
117,338 |
146,482 |
13,206 |
21,236 |
22,150 |
상장여부 (상장일) |
- |
KOSDAQ (1998.09.25) |
KOSPI (1988.05.20) |
KOSDAQ (2005.07.29) |
KOSDAQ (2014.12.16) | ||||||||||
주요제품 (매출비중) |
검체검사서비스 (92.35%) |
항암세포치료제(33.82%), 실리콘외(종속회사, 64.98%), 시험용역(1.20%) |
케미칼사업부(80.48%) 외 |
제대혈사업 (53.32%) |
검체검사서비스 (54,94%) |
[1차 유사회사 선정 기준] |
선정 기준 | 선정 기업 |
① 2015년 사업보고서 상 '사업의 내용-나. 연구개발 실적'에 보고된 연구개발 실적 중 세포치료제 관련 임상 1상이상, 항암치료제 임상 1상 진행(상품 의약 매출 기업 제외)되고 있을 것. | 바이로메드 외 27개사 |
② 2015년 사업보고서 기준 진단검사 관련 매출이 매출총액의 50%이상 차지하고 있는 기업. | 마크로젠, 랩지노믹스 |
[1차 유사회사 선정 기준 검토표] |
구분 | 상장 시장 |
기업명 | 산업명 | 세포/ 항암치료제 파이프라인 |
진단 검사 |
비고 |
1 | KQ | (주)마크로젠 | (M73909) 그외 기타 분류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 | O | 시퀀싱 89% |
2 | KQ | (주)랩지노믹스 | (M70113)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
- | O | 진단검사서비스 등 99% |
3 | KQ | (주)바이로메드 | 항암 | - | 항암유전자백신 VM206RY 국내 1상 완료 | |
4 | KQ | (주)강스템바이오텍 | 세포 | - | 퓨어스템 제대혈 줄기세표치료제-아토피 국내 2상 크론병 국내 1상 류마티스관절염 국내 1상) | |
5 | KQ | 크리스탈지노믹스(주) | 항암 | - | 분자표적 항암제 (HDAC 저해제) 임상 1b/2상 승인-골수형성이상증후군, 췌장암 | |
6 | KQ | (주)제넥신 | 항암 | - | GX-188E 자궁경부전암 치료 DNA 백신 (유럽/한국 임상 2상) GX-051 아데노바이러스 항암 치료백신 (임상 2a) | |
7 | KQ | (주)녹십자셀 | (C21101)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
세포 | - | 면역세포치료제 간암 품목허가 |
항암 | - | 뇌종양 3상 진입, 세포치료제 pipeline | ||||
8 | KQ | 화일약품(주) | 항암 | - | 표적분자항암제(제품명: CG200745PPA), 임상 1상 | |
9 | KQ | (주)펩트론 | 항암 | - | 전립선 암 치료제 1개월 지속형 2004년 국내 품목허가 승인, 2006년 임상 4상 및 발매 등 | |
10 | KQ | 메디포스트(주) | (C21102)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
세포 | - | 동종제대혈줄기세포 카티스템 관절염 품목허가 뉴로스템 알츠하이머 임상 1/2a 등 임상 진행 |
11 | KQ | 테고사이언스(주) | 세포 | - | 3도화상 시판(홀로덤®),세포치료제 pipeline -심부2도화상/당뇨성족부궤양 시판(칼로덤®),세포치료제 pipeline 등 | |
12 | KQ | (주)차바이오텍 | 세포 | - | 세포치료제 : 뇌졸중 치료제 (Cordstem-ST)-임상1/2a 등 진행 | |
13 | KQ | (주)안트로젠 | 세포 | - | 세포지료제 : 크론병성 누공 자가지방줄기세포치료제(큐피스템)-품목허가완료 등 | |
14 | KQ | 코아스템(주) | 세포 | - | 세포치료제: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뉴로나타-알®)-품목허가완료,무산소성 뇌손상 등 | |
15 | KQ | (주)셀루메드 | 세포 | - | TB-Tendon 인허가 단계(인대재건용자가줄기세포치료제) | |
16 | KS | 파미셀(주) | 세포 | - | 제품-하티셀그램(급성심근경색증치료제) 자가줄기세포 외 다수 임상 수행(척수질환, 간경변, 발기부전, 중증하지허혈 | |
17 | KS | (주)녹십자 | (C21210) 완제 의약품 제조업 |
항암 | - | 2014년 10월 EGFR(표적항암항체치료제) 임상1상 IND 승인 등 |
18 | KS | 동아에스티(주) | - | - | 모노탁셀주사액' (항암제, 2010년 발매시작, 자가개발), 외’에스마라정’ 등 | |
19 | KS | 광동제약(주) | 항암 | - | 코포랑' (항암치료제, 매출액 1,336백만원) | |
20 | KS | 일동제약(주) | 항암 | - | Hif-1α 저해제 IDF-11774 임상 1상 IND 승인 | |
21 | KS | 이연제약(주) | 항암 | - | 표적항암제 리목스정 품목허가 악성종양 항암치료백신 VM206RY 임상 1상 | |
22 | KQ | 제이더블유중외신약(주) | 항암 | - | 1. 신장암치료제(제품명: CreaVax-RCC), 2007년 품목허가, 2013년 수출용 의약품 전환, 세포치료제 pipeline (수지상 세포)등 | |
23 | KS | 동화약품(주) | 항암 | - | 간암치료제 (제품명:DW-166HC 밀리칸주), 항암제, 현재 시판중 | |
24 | KQ | (주)바이넥스 | 세포 | - | 1. 대장암, 위암 (제품명: TKCell Inj), 임상 2b, 세포치료제 | |
항암 | - | |||||
25 | KS | 삼성제약(주) | 항암 | - | 2015.11월부터 췌장암 치료제 국내 시판중(리아벡스알주) | |
26 | KQ | 코오롱생명과학(주) | 세포 | - | 세포치료제: 퇴행성관절염(티슈진-C)-임상 3상 투약 단계까지 완료 | |
27 | KS | 한올바이오파마(주) | 항암 | - | 항종양/항암제 판매중(엘리가드 주,진행성 전립선암) | |
28 | KS | 한미약품(주) | 항암 | - | Poziotinib 국내 2상 진행중 그 외 항암의약 임상 진행 중 | |
29 | KS | (주)종근당 | 항암 | - | CKD-516 표적항암제 임상 1상 완료 CKD-581 표적항암제 임상 1상 진행 CKD-12201 자궁경부암백신 임상 2상 신청 CKD-841 암 임상 1상 승인 | |
30 | KS | 일양약품(주) | 항암 | - | Radotinib 표적항암제 백혈병 품목허가 세포치료제 면역항암제 약효평가중임 |
3) 2차 유사회사 선정 (재무적 유사성 및 영업성과)
1차 유사회사로 선정된 기업으로부터 아래의 재무적 기준을
충족하는 랩지노믹스 외7개사를 2차 유사회사로 선정하였습니다.
[2차 유사회사 선정 기준] |
선정 기준 | 선정 기업 |
① 결산월이 12월일 것 | 랩지노믹스 외 7개사 |
② 2015년 온기, 2014년 온기 기준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시현했을 것 | |
③ 자산총액이 녹십자랩셀의 30배가 넘지 않을 것 |
주) 일양약품은 2015년 기중에 결산기를 3월에서 12월로 변경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산기 변경을 감안하여 2차 유사회사 선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
대표주관사 하나금융투자(주)는 상기의 요건을 충족하는 회사를 아래와 같이 선정한 바 있습니다.
[2차 유사회사 선정 기준 검토표] |
(단위: 백만원) |
NO | 기업명 |
결산월 |
2015년 |
2014년 |
자산총계 |
자산배수 |
선정 여부 |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1 |
(주)마크로젠 |
12 |
4,167 |
10,172 |
2,601 |
2,989 |
131,149 |
7.8 |
O |
2 |
(주)랩지노믹스 |
12 |
1,032 |
1,626 |
2,616 |
2,420 |
30,405 |
1.8 |
O |
3 |
(주)바이로메드 |
12 |
1,072 |
257 |
246 |
159 |
68,553 |
4.1 |
O |
4 |
(주)강스템바이오텍 |
12 |
(5,125) |
(5,754) |
(4,493) |
(4,435) |
14,984 |
0.9 |
X |
5 |
크리스탈지노믹스(주) |
12 |
(3,849) |
(5,142) |
(7,229) |
(11,931) |
108,436 |
6.4 |
X |
6 |
(주)제넥신 |
12 |
1,087 |
(1,427) |
(5,208) |
(7,413) |
108,188 |
6.4 |
X |
7 |
(주)녹십자셀 |
12 |
1,876 |
2,994 |
1,092 |
(2,251) |
51,678 |
3.1 |
X |
8 |
화일약품(주) |
12 |
1,652 |
5,453 |
5,668 |
4,132 |
128,895 |
7.6 |
O |
9 |
(주)펩트론 |
12 |
(2,850) |
(2,730) |
(2,609) |
(3,046) |
22,307 |
1.3 |
X |
10 |
메디포스트(주) |
12 |
(211) |
2,779 |
(1,775) |
(1,851) |
184,349 |
10.9 |
X |
11 |
테고사이언스(주) |
12 |
1,368 |
1,473 |
1,705 |
1,534 |
25,559 |
1.5 |
O |
12 |
(주)차바이오텍 |
12 |
17,645 |
(14,957) |
11,663 |
(4,333) |
633,586 |
37.6 |
X |
13 |
(주)안트로젠 |
12 |
(121) |
(58) |
(1,586) |
(1,416) |
18,110 |
1.1 |
X |
14 |
코아스템(주) |
12 |
1,368 |
(512) |
(1,804) |
(6,802) |
75,549 |
4.5 |
X |
15 |
(주)셀루메드 |
12 |
(7,175) |
(11,345) |
(10,784) |
(14,913) |
79,225 |
4.7 |
X |
16 |
파미셀(주) |
12 |
(5,532) |
(6,390) |
(8,417) |
(28,768) |
101,229 |
6.0 |
X |
17 |
(주)녹십자 |
12 |
91,680 |
94,967 |
96,966 |
83,945 |
1,386,621 |
82.2 |
X |
18 |
동아에스티(주) |
12 |
55,387 |
48,562 |
49,369 |
37,412 |
1,048,653 |
62.2 |
X |
19 |
광동제약(주) |
12 |
50,866 |
35,015 |
50,459 |
35,044 |
671,017 |
39.8 |
X |
20 |
일동제약(주) |
12 |
23,727 |
20,979 |
14,462 |
11,856 |
646,711 |
38.4 |
X |
21 |
이연제약(주) |
12 |
19,837 |
11,338 |
16,723 |
11,593 |
227,468 |
13.5 |
O |
22 |
제이더블유중외신약(주) |
12 |
5,985 |
256 |
3,818 |
(527) |
130,531 |
7.7 |
X |
23 |
동화약품(주) |
12 |
4,813 |
5,609 |
7,794 |
4,937 |
319,182 |
18.9 |
O |
24 |
(주)바이넥스 |
12 |
6,066 |
(6,813) |
2,358 |
10,360 |
189,860 |
11.3 |
X |
25 |
삼성제약(주) |
12 |
(1,870) |
(994) |
(19,820) |
(23,748) |
109,634 |
6.5 |
X |
26 |
코오롱생명과학(주) |
12 |
2,183 |
800 |
9,396 |
5,855 |
215,424 |
12.8 |
O |
27 |
한올바이오파마(주) |
12 |
(4,280) |
(7,077) |
815 |
(12,658) |
122,549 |
7.3 |
X |
28 |
한미약품(주) |
12 |
211,800 |
154,443 |
34,452 |
35,510 |
1,179,271 |
69.9 |
X |
29 |
(주)종근당 |
12 |
42,705 |
(6,773) |
53,930 |
35,154 |
588,339 |
34.9 |
X |
30 |
일양약품(주)(*) |
12 |
15,516 |
3,618 |
6,246 |
(10,962) |
431,625 |
25.6 |
X |
주) 자산배수는 2015년말 비교회사 자산총액을 동사의 2015년 말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산출하였습니다. |
[3차 유사회사 선정 기준 검토표] |
회사명 |
상장일 |
감사의견 |
합병 및 분할 |
위반 및 제재여부 |
선정 여부 |
(주)마크로젠 |
2000.02.22 |
적정 |
X |
X |
O |
(주)랩지노믹스 |
2014.12.16 |
적정 |
X |
X |
O |
(주)바이로메드 |
2005.12.29 |
적정 |
O (2016년 3월 유상증자 결정) |
X |
X |
화일약품(주) |
2002.04.18 |
적정 |
X |
X |
O |
테고사이언스(주) |
2014.11.06 |
적정 |
X |
X |
O |
이연제약(주) |
2010.06.10 |
적정 |
X |
X |
O |
동화약품(주) |
1976.03.24 |
적정 |
X |
X |
O |
코오롱생명과학(주) |
2009.04.07 |
적정 |
O (2016년 3월 유상증자 결정) |
X |
X |
유사회사 PER 배수 산출
구 분 |
㈜마크로젠 |
㈜랩지노믹스 |
화일약품㈜ |
테고사이언스㈜ |
이연제약㈜ |
동화약품㈜ |
당기순이익(천원) | 10,171,980 | 1,626,384 | 11,226,088 | 1,473,397 | 11,337,933 | 5,608,652 |
적용 당기순이익 |
6,629,792 | 1,626,384 | 883,942 | 1,473,397 | 11,337,933 | 5,608,652 |
발행주식총수(주) |
8,917,579 | 4,280,076 | 14,410,958 | 3,702,857 | 12,900,000 | 27,931,470 |
주당순이익 (원) |
743 | 380 | 61 | 398 | 879 | 20 |
기준주가(원) |
35,584 | 28,779 | 7,191 | 27,571 | 29,190 | 9,181 |
PER (배) |
47.86 | 75.74 | 117.23 | 69.29 | 33.21 | 45.72 |
평균PER산출 시 포함 여부 |
O | X(주2) | X | O | O | O |
평균 PER (배) |
49.02 |
주1) | 마크로젠과 화일약품은 영업이익보다 동기의 영업외 수익의 단일계정이 더 큰 수치를 보이는 계정이 있는
바, 비경상적인 영업외 수익 규모가
과대하다고 판단하였으며, PER 산출에 적용한 당기순이익을 산출시 해당 계정수익 규모를 제거하여 적용 당기순이익을
조정하였습니다. 2개사의 적용 당기순이익 조정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크로젠: 관계기업투자처분이익으로 2015년에 4,797백만원을 인식하였으며, 이는 동기 영업이익의 115.12% 수준으로,비경상적 영업외 수익 규모가 과도하다고 판단되어, 기타수익에서 해당 계정인 관계기업투자처분이익 4,797백만원을 차감하였으며, 법인세비용은 마크로젠의 2015년 기준 세전이익 대비 법인세 환급비율 10.42%를 적용하여 6,630백만원을 적용 당기순이익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화일약품: 최근 사업연도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흑자를 보였으나. 이는 매도가능증권처분이익 6,099백만원을 인식함에 따라 발생한 것이며, 해당 수치는 동기 영업이익의 369.30%에 달하는 바,적용 당기순이익 산출시 비경상적으로 볼 수 있는 매도가능증권처분이익을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비경상적 요소를 조정할 경우 2015년 영업이익 1,651백만원에서 관계기업투자수익 6,099백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고려할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이 약 1,180 백만원 정도로 추정되며, 여기서 화일약품의 2015년 세전이익 대비 법인세율 25.09%를 산출하여 적용한 884백만원을 적용 당기순이익으로 조정하였습니다. |
주2) | 랩지노믹스는 연구개발비 및 판관비 상승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영업이익은 60.55%, 당기순이익 규모가 32.81%하락하였으며, 이로 인해 비경상적인 PER가 산출되었다고 판단하여, 평균 PER 산출시 제외하였습니다. |
주3) | 발행주식총수는 각 유사회사 자기주식수를 포함한 기명식 보통주 발행주식총수입니다. |
(4) 미래 추정 이익을 합산한 PER을 적용한 상대가치 산출
결과
구분 | 산출내역 | 비고 |
2015년 당기순이익 | 2,260 백만원 | 2015년 실제 발생 당기순이익 (A) |
2020년 추정 당기순이익 | 11,969 백만원 | B, (주1) |
연 할인율 | 30% | 주(2) |
2020년 추정 당기순이익의 2015년말 현가 | 3,224 백만원 | C = B / (1.30^5) |
적용 당기순이익 | 5,484 백만원 | D = A + C |
적용 주식수 | 10,560,000 주 | E, (주3) |
2015년 환산 주당순이익 | 519 원 | F = D / E |
유사회사 평균 PER(x) | 49.02 배 | G, (주4) |
주당 평가가액 | 25,457 원 | H = F * G |
주1) | 동사의 세포치료 사업부만의 2020년 추정 당기순이익이며, 당기순이익 추정 내역은 '다. 추정 당기순이익 산정내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2020년 추정 당기순이익을 2015년 기말 시점의 당기순이익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 할인율은 동사의 예상 매출의 실현 가능성, 재무 위험 및 기타 사업 환경 위험 등을 감안하여 산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할인율의 적용이 동사의 모든 투자 위험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3) | 적용 주식수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주식 수 8,500,000주에 공모예정주식수 2,000,000주 및 주관사의 의무인수분 60,000주를 합산한 주식수입니다. |
주4) | 유사회사 평균 PER는 유사회사의 2015년 기말 실적 기준으로 산출한 평균 PER입니다. |
희망 공모가액의 산정
구 분 |
내용 |
비 고 |
주당평가가액 (원) |
25,457 원 | PER에 의한 기준가격 산출 |
할인율 (%) |
37.54 ~ 46.58 % 할인 |
- |
공모희망가 밴드 (원) |
13,600 ~ 15,900원 |
100원 미만 올림 |
[유사회사 2015년 요약 재무현황] |
(단위: 백만원) |
구분 | 마크로젠 | 테고사이언스 | 이연제약 | 동화약품 |
---|---|---|---|---|
회계기준 | K-IFRS 연결 | K-IFRS 개별 | K-IFRS 개별 | K-IFRS 개별 |
자산 총계 | 134,311 | 25,760 | 260,929 | 317,187 |
부채 총계 | 56,858 | 552 | 43,101 | 87,069 |
자본 총계 | 76,113 | 23,921 | 217,828 | 230,118 |
자본금 | 4,458 | 1,851 | 6,450 | 27,931 |
매출액 | 79,534 | 7,492 | 114,507 | 223,201 |
매출총이익 | 26,196 | 6,041 | 66,985 | 96,579 |
영업이익 | 4,167 | 1,368 | 19,837 | 4,813 |
당기순이익 | 10,083 | 1,473 | 11,338 | 5,609 |
지배주주순이익 | 10,172 | 1,473 | 11,338 | 5,609 |
[2015년 주요 재무비율] |
(단위 : %. 회) |
구 분 | 비율 | 마크로젠 | 테고사이언스 | 이연제약 | 동화약품 |
---|---|---|---|---|---|
K-IFRS 연결 | K-IFRS 개별 | K-IFRS 개별 | K-IFRS 개별 | ||
성장성 (%) |
매출액 증가율 | 46.93 | 11.19 | 2.14 | 4.56 |
영업이익 증가율 | 60.21 | -19.77 | 18.62 | -9.87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240.31 | -3.98 | -2.20 | 13.61 | |
총자산 증가율 | 15.61 | 5.60 | 36.44 | 1.31 | |
활동성 (회) |
총자산 회전율 | 0.64 | 0.30 | 0.51 | 0.71 |
재고자산 회전율 | 8.38 | 20.89 | 5.55 | 8.19 | |
매출채권 회전율 | 3.93 | 2.08 | 2.19 | 4.27 | |
수익성 (%) |
매출액 영업이익율 | 5.24 | 18.26 | 17.32 | 2.16 |
매출액 순이익율 | 12.79 | 19.66 | 9.90 | 2.51 | |
총자산 순이익율 | 8.12 | 5.87 | 5.01 | 1.78 | |
자기자본 순이익율 | 14.23 | 6.00 | 6.07 | 2.44 | |
안정성 (%) |
부채비율 | 74.70 | 2.31 | 19.79 | 37.84 |
차입금의존도 | 22.18 | 0.00 | 0.77 | 0.63 | |
유동비율 | 338.46 | 2,598.56 | 585.14 | 19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