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원하는 것, 궁금한 것 다 들어주는 의사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이종식 교수는 캐나다의 최고 의료기관에서 의술을 펼치다 국내로 되돌아온 의사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의학자들과 함께 파킨슨병의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면서 줄기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등을 이끌고 있다.
이 교수는 서울대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인턴을 마친 뒤 부모를 따라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갔다. 그는 미국에서 의사 자격증을 땄고, 의대생 때부터 흥미로웠던 ‘뇌 의학’을 전공하기 위해 캐나다 밴쿠버의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병원 신경과에 지원했고 합격 통지서를 받았다.
이 교수는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병원에서 말 대신 몸으로 움직여야 했다. 영어가 달려 응급실에서 비상호출을 받으면 전화 통화를 포기하고 무조건 달려갔다. 늘 예스, 노가 헷갈렸고 숫자를 금세 이해하지 못해 늘 머뭇거려야 했다. 그러면서 “살아남아야 한다”를 되뇄고, 결국 살아남아 교수직에 올랐다.
서울대의대 ‘함춘 의학상’ 받으며 국내 의료계 주목받아
당시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 신경과에서는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파킨슨병을 연구하는 도널드 칸 교수가 있었다. 칸 교수는 영국 출신으로 미국 국립보건원(NIH)을 거쳐 캐나다에 둥지를 튼 뇌영상 연구의 대가였다. 스웨덴에서 온 과학자들은 도파민 세포를 이식해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선보이고 있었다. 이 교수는 여기에 매혹돼 신경과의 여러 분야 중 파킨슨병을 전공하기로 결심했고 칸 교수의 문하로 들어갔다.
그는 칸 교수 아래에서 임상과 연구를 병행하다가 스웨덴 룬드 대학교로 연수를 가 안더스 뵤클런드 교수의 문하로 파킨슨병의 세포이식 치료법에 대해 연구했다. 이 교수는 쥐에게 특정 약물을 투여해 파킨슨병을 발생시킨 뒤 도파민 세포를 넣어 좋아지기까지의 전과정을 역구해서 국제학술지 ‘브레인’에 발표하는 등 굵직한 논문들을 쏟아냈다. 그는 1997년 서울대의대 동창회가 선정하는 ‘함춘 의학상’의 첫 해외 부문 수장자로 뽑히면서 국내 의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 교수는 브리티시컬럼비아대로 돌아와서 차곡차곡 연구 성과를 쌓았지만 임상에서 한계를 느꼈다. 그곳 보험시스템 때문에 환자의 영상사진 한 장 찍으려면 몇 달을 기다려야 했다. 다른 병 환자에 밀려 파킨슨병 환자를 입원 진료하는 것도 언감생심이었다. 마침 모국에서 파킨슨병 환자가 늘어나서 골치라는 이야기가 들렸다.
2005년 일본 교토에서 준텐도 의대의 요시 미즈노 교수가 개최한 학회에 참석했다가 서울로 향하는 비행기 표를 끊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신경과 이명종 교수를 만난 뒤 고국으로 돌아와 의술을 펼치기로 결정하고 이듬해 밴쿠버 발, 서울 행 항공권을 끊었다.
“환자들, 병에 대한 정보는 없고 근심만 많아”
캐리커처=미디어카툰 김은영 작가
치료법 지키면 건강한 생활 가능 주변의 ‘카더라’에 흔들리지 말아야
“캐나다에서는 1주일에 40~50명의 환자만 보면 됩니다. 첫 환자는 1시간까지 볼 수가 있어요. 연구시간이 보장되고 연구엗 o한 체계적 행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지요.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40여 명씩 1주일에 200명에 가까운 환자를 봅니다. 처음에는 헉헉댔지요. 연구도 환자를 보면서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합니다. 개인보다 조직을 중시하는 문화도 처음엔 이질적이었어요. 그러나 한국에서는 의사가 성심껏 환자를 치료할 수 있고 병원에서 뒷받침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교수에게 한국 환자의 문화도 낯설었다. 병에 대한 정보는 없고 근심이 많았다. 대부분의 환자가 자기를 치료해온 의사 이름도, 약 이름도 몰랐다. 그러면서도 약에 부작용은 없는지, 자식에게 언제까지 폐를 끼칠지, 치매가 오면 어떡하나 걱정 투성이였다. 환자들은 당연한 권리이지만 짧은 진료시간을 의식해서인지 의사에게 병에 대해 묻는 것도 조심스러워했다. 환자들은 당연한 질문을 “물어봐도 됩니까?”하고 입을 뗐다.
“환자에게 원하는 것과 궁금한 것을 다 들어주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당연히 환자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지요. 환자들에게 정해진 대로 2~3분 진료시간을 지키는 것이 좋을지, 좀 기다리더라도 할 말 다하는 것이 좋을지 물었더니 후자가 좋다고 하더군요. 못 들은 것은 상당간호사에게 궁금증을 풀 게 하고 간호사가 대답할 수없는 것은 나중에 제가 다시 알려주지요.”
세계 각국 유명 의료진과 줄기세포 치료 등 집중 연구
이 교수는 “인터넷에서 파킨슨병은 불치병이니 약을 먹으면 온갖 부작용에 시달린다는 등 온갖 소문이 떠돌고 있지만 파킨슨병은 당뇨병, 고혈압처럼 약과 생활요법을 통해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병”이라고 단언한다. 간혹 약이 듣지 않은 경우에도 뇌심부자극술 등을 통해 증세를 개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킨슨병과 유사한 다계통위축증, 진행성핵상마비, 파킨슨치매 등 ‘파킨슨증후군’은 치료가 힘들지만 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 그는 일반인의 파킨슨병에 대한 오해를 씻으려고 2007년 하버드대 의대에서 출판한 파킨슨병 안내서를 번역한 ‘사랑으로 치유하는 파킨슨병’을 출판한 데 이어 조만간 새 책을 낼 예정이다.
이 교수는 현재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차병원, 세브란스병원 등과 함께 줄기세포로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 세계 각국의 우수한 연구진과 함께 파킨슨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여름부터 미국 파인슈타인연구소. 데이빗 아이델버그 박사와 PET과 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을 이용해서 파킨슨병과 파킨슨증후군을 구별하고 줄기세포와 약의 치료효과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웨덴 룬드 연구소 데니스 키릭 박사와는 파킨슨병의 유전자 치료법에 대해서, 국제파킨슨병 및 관련질환학회 회장인 네덜란드의 에릭 윌터스 박스와는 파킨슨병의 세포치료에 대해서 공동으로 연구하기로 했다.
이종식 교수에게 묻다
-파킨슨병이란?
“뇌의 흑질이란 부위에서 도파민 세포가 죽어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줄어들면서 여러 증세가 생기는 병이다. 1817년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에 의해 세상에 알려져서 ‘파킨슨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55세 이상에게서 잘 생기는 퇴행성 뇌질환이지만 20% 정도는 50세 이전에 발생한다. 원인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최근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해 파킨슨병이 생기는 과정을 많이 알게 됐다. 뇌의 도파민 세포가 50% 이상 죽었을 때 비로소 증세가 나타난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한쪽 손 또는 한쪽 다리가 떨리고 근육이 뻣뻣해지면서 등이 앞으로 구부정해지고 팔다리가 안으로 굽는다. 동작이 느려지고 적어진다. 균형을 잡지 못해 걷다가 넘어지는 일이 생겨도 파킨슨병을 의심할 수 있다. 가면을 쓴 듯 얼굴 표정이 없어져 겉으로 매사에 무관심해 보이거나 우울해 보일 수도 있다. 목소리가 작아지고 음성의 높낮이가 줄어들어 노래를 부르지 못하게 된다. 또 글씨체가 작아져 글자가 오밀조밀하게 변한다. 변비, 빈뇨, 우울증, 불안증 등도 나타난다.”
-파킨슨병은 치료가 불가능한 불치병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파킨슨병은 의료진이 이끌어주는 대로 치료법을 지키면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자신을 관리하면서 살 수가 있다. 요즘에는 좋은 치료제가 많이 나와서 약을 제대로 복용하면서 생활요법에 충실하면 생활이 약간 불편해도 건강을 유지하면서 살 수가 있다. 다만 파킨슨병과 유사한 파킨슨증후군 가운데 몇 가지는 아직 치료법이 없지만 이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시도가 있어 머지않아 치료법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치료법은 어떤 것이 있나?
“약물치료가 기본이다. 파킨슨병은 이름은 하나이지만 원인에 따라 증세도 다양하므로 의사는 환자에게 맞는 약을 처방한다. 파킨슨병 약으로는 레보도파 제제, 도파민 작용제, 콤탄, 스타레보, 아만타딘, 마오비억제제, 항콜린성제제 등이 있다. 비약물요법=운동,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요법 등을 병행하면 건강한 생활에 도움이 된다. 운동장애가 심한 환자에게는 뇌심부자극술을 시행한다. 머리뼈를 고정하는 금속 모자를 착용케 한 뒤 자기공명영상촬영(MRI)으로 목표지점을 찾는다. 환자의 머리를 국소마취하고 조그맣게 구멍을 낸 뒤 미세전극을 뇌의 중심부로 삽입한 다음 전기적 자극을 넣어 정확한 목표지점을 찾고 전극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온몸을 마취한 뒤 배터리를 가슴 피부 아래에 삽입하고 뇌의 전극과 연결시킨다. 수술 3~5일 뒤에 배터리를 켜서 뇌의 심부를 자극하기 시작한다. 일정 기간 전류 세기를 조정하면 3~5년 동안 이상운동이 줄어든 상태에서 살 수가 있다. 환자는 3~5년마다 배터리를 교체한다.”
-환자의 자세는?
“파킨슨병이 무엇인지 최소한의 공부는 해야 주위의 말도 안되는 소리에 흔들리지 않는다. 환자는 신중하게 의사를 찾아서, 그 다음에는 의사를 믿고 따라야 한다. 무엇보다 의사가 제시한 치료계획에 충실히 따라야 한다. 가족이나 친구의 ‘카더라 통신’에 현혹되면 안 된다. 요즘에는 방송이나 온라인에서도 비과학적 정보가 난무하는데 휩싸이지 않아야 한다. 집은 가급적 혼자 생활할 수 있는 편리한 환경으로 바꾼다. 또 어느 정도의 운동장애가 왔다면 이를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새로운 습관을 익힌다. 다른 환자와 서로 정보를 교류하는 것도 좋지만 남의 말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술, 안정제, 진통제, 파킨슨 약을 남용하지 않아야 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일은 계속 해야 하고 직장도 다니는 것이 좋다.”
http://www.kormedi.com/news/bestdoctor/interview/View_20140602.aspx#ct1
첫댓글 와우~~
이종식선생님에 대해서 이렇게 자세한 인터뷰를 보게 되네요.
캐리커쳐도 거의 흡사해요.
이선생님은 항상 '소문에 귀 기울이지 말고 약 잘먹고 운동 열심히 하면 된다'고 말씀하시지요.
이종식교수님 어떻게 모든 사람한테 만족을 줄 수 있겠어요.. 이렇게 훌륭한 사람도 또 욕하는 사람도 많아요... 하지만 저에게는 죽음의 문턱에 들어선 상황에서 구출해준 고마운 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