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화섬연맹 울산본부 / 화섬노조 울산지부 원문보기 글쓴이: 익명회원 입니다
전국항운노조연맹, 노무공급 연대투쟁 결의 |
태영에 성실교섭 촉구…한노총, 노사정협 제안 |
전국항운노조연맹이 울산신항 남항부두 9번 선석을 무대로 벌어지고 있는 울산항운노조 대(對) 부두운영사인 태영GLS간의 노무공급권 갈등을 ‘항만하역 노동자의 작업·생존권’ 문제로 규정짓고 연대투쟁을 결의했다.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도 국내 항만이 올 스톱되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선 노·사·정 차원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전국항운노조연맹은 8일 중앙위원회를 소집하고 연대투쟁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태영그룹에 울산항운노조와의 성실교섭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만약 그러지 않을 경우, 태영GLS는 물론 태영GLS와 동조하는 선사나 화주 등 어떤 세력에게도 전 조직력을 총동원한 연대투쟁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또 항만하역 질서를 지키고 하역노동자의 작업권과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도 요구했다.
전국항운노조연맹은 “태영GLS가 ‘(9번 선석은)국가에 귀속되지 않은 국내 유일의 민자 잡화부두(9번선석)’임을 내세워 110년 넘게 항운노조가 행사해 온 노무공급권을 거부하고 있다”며 “민자부두가 속속 개장하는 부산·인천·평택·당진·군산·포항·마산·동해·목포항 등의 부두운영사들이 울산항의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어 연맹차원의 강력 대처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울산항운노조의 상급노동단체인 한국노총 울산지역본부(이하 울산노총)는 사태 해결을 위한 노·사·정 협의를 재안했다. 그러면서 항만하역 노동자의 작업권과 생존권 사수를 위해 끝까지 지원 투쟁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울산노총은 “우리나라 수출입 화물의 99%가 항만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항만노동자야 말로 국가경제 발전의 주역들”이라며 “정부가 대책도 없이 민자부두 개발을 남발해놓고 항만노동자들에게 혼란과 고통을 전가하는 건 부당한 처사”라고 반발했다.
울산항운노조는 “국가에 귀속되지 않은 순수 민자부두라고 해도, 그것은 소유권의 문제이지, 기존 관행을 무시한 채 운영권을 마음대로 휘둘러도 된다는 권한이 있는 건 아니다”며 “비상대책위를 열어 빠른 시일 안에 투쟁방침을 정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114년 전인 1898년 설립된 전국항운노조연맹은 산하에 16개 지방단위 항운노조가 조직돼 있고, 총 조합원이 2만2,000여명에 달하는 거대노조다. 울산항운노조(위원장 이희철·조합원 987명)도 이 연맹의 단위조합으로 1954년 출범해 58년간 울산항의 노무공급권을 독점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