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 주방가전시장 지속 성장, 고성능 제품 수요 증가 -
- 빌트인, 스마트 제품이 현지 트렌드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주방환풍기(HS Code 841460), 가스레인지(HS Code 732111), 식기세척기(HS Code 842211)
- 주방가전 중 현지 시장점유율이 높은 주방환풍기,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3개 품목을 선정해 조사함.
- 본 보고서는 해당 품목들을 대형 주방가전 카테고리로 분류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0년 중국 주방가전 시장규모는 815억400만 위안에서 2015년 1140억9000만 위안으로 증가
- 이 중 대형 주방가전 시장규모는 536억5400만 위안에서 732억5000만 위안으로 증가
- 소형 주방가전 시장규모는 161억700만 위안에서 256억5400만 위안으로 증가
- 기타 주방가전 시장규모는 117억4300만 위안에서 151억8700만 위안으로 증가
- 2015년 전체 주방가전 중 대형 주방가전 시장점유율은 64.20%
- 대형 주방가전시장은 2020년까지 1000억 위안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자료원: 중이캉(中怡康)]
중국 주방가전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中国产业信息网
ㅇ 2017년 제품별 시장점유율은 주방환풍기 21%, 가스레인지 13%, 식기세척기 5%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2013~2017년 대한 주방환풍기 평균 수입액은 대체로 30만 달러 규모
- 2014년 수입액은 96만2473달러 기록
중국 대한국 주방환풍기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ㅇ 대한 가스레인지 수입액은 2014년 117만8165달러로 최고치에 이른 후 하향세
중국 대한국 가스레인지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ㅇ 2013~2016년간 대한 식기세척기 수입액은 3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7년 수입액 51만1000달러 기록
중국 대한국 식기세척기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주방환풍기 수입은 대체로 지속 증가했으나 2017년 수출액은 5억976만 달러인 반면, 수입액은 2262만9000달러로 수출액에 비해 매우 미미한 수준
중국 주방환풍기 수입규모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ㅇ 최근 3년간 주방환풍기 대중국 수출액 상위권에 꾸준히 오른 국가는 독일, 프랑스, 미국
-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독일은 2017년 대중국 수출액 1056만2330달러로 전년 대비 76.5% 증가, 전체 수출액의 절반 가까이 차지
- 2017년 프랑스의 대중국 수출액은 321만3915달러로 전년 대비 36.4% 증가, 미국은 277만2389달러로 전년 대비 23.3% 증가하며 꾸준한 증가세
- 한국은 3년간 중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음.
대중국 주방환풍기 수출 국가
순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1
| 독일
| 독일
| 독일
|
2
| 미국
| 프랑스
| 프랑스
|
3
| 프랑스
| 미국
| 미국
|
4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5
| 일본
| 일본
| 덴마크
|
6
| 스페인
| 스페인
| 일본
|
7
| 한국
| 덴마크
| 한국
|
8
| 덴마크
| 한국
| 스페인
|
9
| 대만
| 폴란드
| 영국
|
10
| 영국
| 슬로바키아
| 대만
|
자료원: KITA
ㅇ 가스레인지 수입규모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2017년 수출액 22억7913만 달러인 반면 수입액은 1843만 달러로 수출액 대비 매우 미미한 수준
중국 가스레인지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ㅇ 최근 3년간 가스레인지 대중국 수출액 상위권에 꾸준히 오른 국가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 2017년 독일의 대중국 수출액은 790만3514달러로 전년 대비 82.2% 증가율을 보이며 최고치에 이름.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각각 337만7989만 달러, 305만285달러로 현상 유지
- 한국은 2015년 4위에 오른 이후 중하위권으로 하락
대중국 가스레인지 수출국 순위
순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1
| 프랑스
| 독일
| 독일
|
2
| 독일
| 이탈리아
| 프랑스
|
3
| 이탈리아
| 프랑스
| 이탈리아
|
4
| 한국
| 스페인
| 스페인
|
5
| 스페인
| 미국
| 오스트리아
|
6
| 일본
| 일본
| 일본
|
7
| 미국
| 한국
| 미국
|
8
| 태국
| 네덜란드
| 한국
|
9
| 인도네시아
| 폴란드
| 네덜란드
|
10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 태국
|
자료원: KITA
ㅇ 식기세척기 수입규모는 2017년 1억5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8.8% 증가
중국 식기세척기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자료원: KITA
ㅇ 최근 3년간 식기세척기 대중국 수출액 상위권에 꾸준히 오른 국가는 독일, 스페인
- 2017년 독일의 대중국 수출액은 7720만4965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8.5% 증가, 스페인의 대중국 수출액은 6462만912달러로 전년 대비 104.3% 증가
- 한국은 2017년 처음으로 10위권 진입(8위)
대중국 식기세척기 수출국 순위
순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1
| 독일
| 스페인
| 독일
|
2
| 스페인
| 독일
| 스페인
|
3
| 폴란드
| 터키
| 터키
|
4
| 이탈리아
| 일본
| 이탈리아
|
5
| 태국
| 이탈리아
| 폴란드
|
6
| 프랑스
| 프랑스
| 태국
|
7
| 터키
| 폴란드
| 슬로베니아
|
8
| 슬로베니아
| 태국
| 한국
|
9
| 스위스
| 슬로베니아
| 체코
|
10
| 일본
| 스위스
| 스위스
|
자료원: KITA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주방환풍기 전체 매출액의 68.4%를 상위 5개 브랜드가 차지, 이 중 83%가 상위 3개 브랜드
- 현지 기업인 라오반(老板), 팡타이(方太), 메이디(美的)의 제품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
- 메이디는 2017년 온라인 채널을 통해 다양한 스마트 제품을 선보이며 대폭 성장
2017년 주방환풍기 매출액 상위 10개사
자료원: iresearch
ㅇ 품질을 추구하는 소비 추세로 3000위안 이상의 주방환풍기 구매율이 증가
- 2017년 주방환풍기 평균가는 1004위안이며 가격대는 저가 또는 고가로 양극화됨.
- 주방환풍기 고급화 추세로 3000위안 이상 제품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43% 차지, 라오반(老板)과 팡타이(方太)가 대표적 고가 브랜드로 자리잡음.
- 한편 현지 일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주방환풍기를 박리다매 형식으로 판매, 1000위안 이하의 가격대는 유럽 제품과 하오타이타이(好太太)가 대표적
ㅇ 가스레인지 시장점유율 상위 5개 브랜드 간 경쟁 심화
- 2017년 가스레인지 시장은 상위 5개 브랜드가 전체 시장점유율의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브랜드 간 제품 가격이 비교적 비슷함.
- 소형가전 브랜드 쑤보얼(苏泊尔)은 2017년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한 공격적 마케팅으로 매출액 2위에 오름.
- 이 밖에 현지 신규 진출 브랜드 린나이의 매출액이 10위를 차지, 2016년부터 중국에서 소비자 체험 이벤트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임.
2017년 가스레인지 매출액 상위 10개사
자료원: iresearch
ㅇ 가스레인지는 평균 500~1000위안의 가격대가 인기
- 2017년 가스레인지 시장에서 1000위안 가격대 제품군을 주력으로 한 쑤보얼(苏泊尔)이 매출액 선두를 달리며, 현지 소비자들에게 가격 대비 고성능 제품으로 인식됨.
- 주방가전 전문 브랜드인 팡타이(方太), 라오반(老板), 화디(华帝)는 1500위안 이상 가격대 제품에 주력
- 500위안 이하 가격대에서는 완자러(万家乐)의 판매량이 대부분을 차지
ㅇ 식기세척기 시장은 독과점 구조로 상위 5개 브랜드가 전체 매출액의 93%를 차지
- 매출액 1위 지멘스는 대용량 빌트인 식기세척기를 주력 상품으로 함.
- 종합 가전 브랜드인 메이디(美的)는 식기세척기 부문 후발주자이나, 막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지멘스를 추격하고 있음.
- 이 밖에 신규 브랜드인 CAL는 그동안 인수합병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해 왔으며, 최근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됨.
2017년 식기세척기 매출액 상위 10개사
자료원: iresearch
ㅇ 식기세척기는 현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비교적 고가에 거래, 평균 가격은 4000위안에 달함.
- 2017년 식기세척기시장은 2500~5000위안의 가격대에서 전체 매출액의 74%를 차지, 상위 5개 브랜드의 제품도 대부분 해당 가격대에 분포
- 반면 일부 상위 10개사 가운데 해외 브랜드(월풀, 밀레)는 5000위안 이상의 가격대에 분포
□ 유통구조
ㅇ 온라인 유통구조, 수동적 소비자들을 능동적으로 변화
- 기존 판매는 오프라인 상점을 위주로 진행됐으나 모바일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고 구매하며 커뮤니티를 통해 제품 정보를 공유
- 현지 온라인 유통구조는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 인테리어 전문 플랫폼, 브랜드 직영 플랫폼으로 나뉘어있음.
- 주방가전 기업들은 2011년부터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진출해왔으며, 2017년 온라인 매출액이 24.6%를 차지함. 온라인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할 전망
- 한편 간접 판매채널로 부동산업체 또는 가구업체가 존재함. 주로 빌트인 가전이 이에 해당
2017년 중국 대형 주방가전 품목별 온오프라인 매출액 비중
자료원: iresearch
- 가스레인지와 주방환풍기의 온라인 매출액이 비교적 낮은 원인은, 필수가전이며 개인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직접 확인하고 설치 서비스를 받으려는 소비자가 많기 때문임.
- 필수가전이 아니며 전문적인 설치가 필요없어 오프라인 서비스 의존도가 낮은 식기세척기는 온라인 매출액이 비교적 높음.
□ 관세율 및 인증
ㅇ 주방환풍기
중국 주방환풍기 수입세율
HS Code
| 명칭
| 관세율
| 단위
|
기본세율
| 잠정세율
| 최혜국
| 한-중 FTA
|
84146010
| 레인지 후드(抽油烟机)
| 130%
| 6%
| 10%
| 7%
| 대
|
자료원: 中华人民共和国海关
ㅇ 가스레인지
중국 가스레인지 수입세율
HS Code
| 명칭
| 관세율
| 단위
|
기본관세율
| 최혜국
| 한-중 FTA
|
73211100
| 가스연료용이나 가스와 그 밖의 연료 겸용 (使用气体燃料或可使用气体燃料及其他燃料的)
| 80%
| 15%
| 10.5%
| kg
|
자료원: 中华人民共和国海关
ㅇ 식기세척기
- 한-중 FTA 관세 혜택 품목에 해당되지 않음.
중국 식기세척기 수입세율
HS Code
| 명칭
| 관세율
| 단위
|
기본세율
| 잠정세율
| 최혜국
|
84146010
| -- 가정형(-- 家用型)
| 90%
| 6%
| 10%
| 대
|
자료원: 中华人民共和国海关
ㅇ 인증
- 해당 품목들은 모두 중국강제인증제도 CCC(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마크를 반드시 획득해야 함. 인증을 받지 못한 경우 제품 통관 불가, 중국 내 생산 불가 및 벌금(최고 480만 원) 부과
□ 시사점
ㅇ 고성능 제품을 선호하는 현지 소비자 증가
- 2017년 현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분당 17㎥ 이상의 환기량을 가진 고성능 주방환풍기 판매액이 전체 판매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 이보다 낮은 성능의 주방환풍기 판매액은 계속 하락
- 기름에 볶거나 튀기는 음식이 많은 중국 음식 특성상 현지 소비자들은 고성능 주방환풍기를 선호함.
- 식기세척기는 8인용 이상 제품 판매액이 전체 판매액의 57%를 차지함. 음식 종류가 많고 그릇의 크기가 큰 현지 특성상 수용량이 큰 식기세척기가 인기가 많음.
- 식기세척기의 세척력이 강해지고 건조 기능이 추가돼 나오는 추세이며, 선두 브랜드인 지멘스와 메이디는 대용량 식기세척기에 주력
ㅇ 스마트, 빌트인 제품이 주류를 이루는 현지 시장
- 2017년 주방환풍기 시장에서 자동 필터 세척기능, 모션인식 기능이 탑재된 제품의 온라인 판매액이 전체 판매액의 약 29%를 차지
- 현지 대부분의 가스레인지에 자동 소화 장치와 가스 누출 경보기 탑재, 스마트폰과 연동해 제품을 원격제어하며 제품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음.
- 2017년 현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빌트인 가스레인지는 가스레인지 전체 판매액의 84.5%를 차지
- 빌트인 식기세척기 시장점유율은 약 33%이나 판매 가격이 높아 매출액이 일반 식기세척기의 매출액을 추월
- 우리 기업은 스마트 제품에 주력하는 한편 현지 부동산 기업이나 가구 기업과 협력해 빌트인 가전 시장 공략에 나서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中国产业信息网, 中华人民共和国海关, 威龙商务网, KITA, iresearch, KOTRA 창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