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여행 인터넷 언론 ・ 1분 전
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
전태원의 조형 세계 ‘돌과 물결’...마음을 담아 춘천에 바치는 애향의 헌정작(獻呈作) [평론] “익명적 텍스트들의 물성과 초(超)물성” |
[미술여행=엄보완 기자]갤러리그림손(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0길 22/ 경운동 64-17)이 ‘용도가 종료된’ 종이를 활용해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여오고 있는 전태원(全泰元. Jeon Taewon)작가를 초대해 전태원 개인전: "공생-共生" 전시를 개최한다.
오는 10월16일(수)부터 10월 22일(화)까지 열리는 전태원 작가의 "공생-共生"전시에서는 작가가 단순히 폐지를 재활용하는 것을 넘어, ‘텍스트 이후’라는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전태원은 초기에 파쇄된 종이 알갱이들을 모자이크처럼 합성해 사실적인 인물 이미지를 표현했다. 그러다가 작품 주제가 다양해 지면서 후기에는 물결과 돌을 주제로 한 반입체와 입체 작품을 선보여 오고 있다.
전태원 개인전: "공생-共生" 전시알림 포스터
사진: 얼굴, 100호 변형, 캔버스에 종이, 2008
● 전태원의 조형 세계 ‘돌과 물결’...마음을 담아 춘천에 바치는 애향의 헌정작(獻呈作)
전태원 작가의 개인전: "공생-共生"전시는 강원 갤러리 신진작가 선정 전시다. 강원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한국미술협회 강원특별자치도회와 강원 갤러리 운영위원회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1부 전시로 20년간 버려지는 헌 책을 잘게 부순 조각들을 켜켜이 쌓아 올려 돌(Stone)을 생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전태원 작가의 작품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이기도 하다.
사진: 영겁의 단편, 240×150×12cm, Acrylic, Paper, 2021
전태원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미니멀한 형태가 돋보이는 물결과 돌 시리즈로 이루어진 작품을 선보인다.
전태원은 물결과 돌 작업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작업일지에 이렇게 적고있다. “그 동안 제작해온 ‘돌과 물결’ 작품들은 주로 파쇄 종이에 인쇄된 글자와 이미지를 살린 무채색 계열이다. 시간의 추이에 따라 기존의 요철 물결 위에 흐르는 빛을 색조로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계절과 날씨의 변화, 낮과 밤, 여명과 노을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을 색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도 살아갈 춘천에 바치는 마음을 담은 애향의 헌정작(獻呈作)이다” 라고....
사진: 흐르는 빛 235 240x120cm Acrylic, Paper on Panel 2023
사진: 공생(共生) 6 50x27x25cm Acrylic+Paper 2024
작가의 물결시리즈 작품은 소양강의 흐르는 물, 의암호반의 잔물결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춘천으로 환원되어야 할 그 무엇이라 역설하는 듯 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 흐르는 빛(Light on flowing river) 90.9x72.7cm Acrylic, Paper on Canvas 전태원
사진: 시작도 끝도없는 162.2x130.3cm Paper on Canvas 전태원
<작가 노트>
전태원 작가
나는 버려지는 헌 책을 잘게 부신 후 다시 켜켜이 쌓아 올려 돌(Stone)을 만드는 작업을 20년 이상 해왔다. 돌이 간직한 오랜 시공간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시작도 끝도 없이 흐르는 물결에서도 같은 걸 본다. 최근엔 돌 작품 표면에 지의류(地衣類)를 올리고 있다.
뿌리 부분과 영양 공급을 해주는 상부가 전혀 다른 종이면서도 공생을 하는 지의류는 흔하지만 매우 작고 조용하다. 그러나 지구의 마지막 환경 지킴이다.
관람객들이 전태원 작가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익명적 텍스트들의 물성과 초(超)물성”
이재언 (미술평론가)
이 땅에 종이작가들이 무수히 많지만, 전태원의 작업은 친숙하면서도 대단히 유니크한 데가 있다. 일찍부터 어떤 텍스트들이 인쇄된 종이들을 과립 상태로 잘게 세절 분해시켜, 화면에서 전혀 예상 밖의 컨텍스트와 형상으로 재탄생시킨다는 점에서이다.
초현실주의의 맥락에서 보면 실제 사물이 예술적 컨텍스트로 진입하는 경우 오브제라 부른다. 추상적인 예술적 맥락이 실제 사물의 기능과 인덱스를 변질시킨다는 점에서 구분상 굳이 불어로 부르고 있다. 그의 종이 자체가 기능이나 표지(標識)를 달리한다는 점에서는 오브제가 맞다.
그러나 작가의 경우 그 변화의 폭이 상당히 커서 오브제라는 개념으로 포섭될 수 있는지는 단정지어 말하기 힘들 것 같다. 방법적으로는 분명히 종이 작업인데, 한지의 물성적 탐구와는 결이 다르다.
그의 종이는 이미 한번 문서나 도서로 ‘용도가 종료된’ (secondhand) 종이, 즉 오브제인 것이다. 아동미술에서 신문지를 물에 풀어 조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하면 되겠다. 하지만 단순한 폐지 활용 차원과 작가의 ‘텍스트 이후’라는 모티브 사이에는 커다란 의미론적 차이가 있다. 중요한 것은 오브제이기도 하고 오브제를 초월한 초(超)오브제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작가의 종이 시대의 전기와 후기를 상징하는 양식적 특징이기도 하다.
전기에는 어떤 서류 같은 지면들을 파쇄시켜 나온 그래뉼들에 어느 정도 글자가 보이는 상태로 많이 사역되었다. 그렇게 만들어진 문자 알갱이들이 모자이크처럼 합성되어 아주 사실적인 인물 이미지로 표현된다. 물론 페인팅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과립화된 종이 알갱이들이 주를 이루며, 무언가 의미의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담론의 양상을 띠게 된다. 이웃들의 초상이라지만 그것들이 보통의 안료로만 그려진 것들과는 많이 다른 서사의 문맥을 띠게 된다. 모델링의 완성도가 높은 상태이면서도, 언젠가는 흔적도 없이 사라질 덧없는 존재, 즉 실존을 내포하는 문맥도 감지된다.
사진: 흐르는_빛과_색__6_Acrylic+Paper_on_canvas_45.5x53cm_2024
한편 후기에는 물결과 돌 입체 이미지의 양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종이 오브제의 과립들이 더 잘게 분쇄되고, 다시 반죽되어 사역된다. 그렇다고 글자가 완전히 소멸된 것은 아니다. 그나마 모자이크를 이루던 글자 알갱이들이 이제는 완전히 의미와 기능이 소거당해 색 기능으로 환원되는 듯한 양상이다. 무채색조 재현성을 강하게 띠지만, 근작으로 오면서 색조가 더 짙어지고 있다. 주로 반입체(물결 연작) 내지는 입체(돌)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다.
사진: 흐르는_빛과_색__2_Acrylic+Paper_on_canvas_73x61cm_2023
사진: 공생(共生) 7 43x33x17cm Acrylic+Paper 2024
물결과 돌 작업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작가는 이렇게 피력하고 있다. “그동안 제작해온 ‘돌과 물결’ 작품들은 주로 파쇄 종이에 인쇄된 글자와 이미지를 살린 무채색 계열이다. 시간의 추이에 따라 기존의 요철 물결 위에 흐르는 빛을 색조로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계절과 날씨의 변화, 낮과 밤, 여명과 노을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을 색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는 내가 지금까지 살아왔고 앞으로도 살아갈 춘천에 바치는 마음을 담은 애향의 헌정작(獻呈作)이다”(작가노트)
작가는 소양강의 흐르는 물, 의암호반의 잔물결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또한 춘천으로 환원되어야 할 그 무엇이라 역설하고 있는 듯하다.
이 대목에서 작가의 화면은 재현이면서도 침묵(沈默)과 명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물이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움직이면서 만든 흔적의 ‘결’은 그 자체로 추상적 완성도를 충분히 보여준다. 이렇듯 미니멀한 화면에서 문득 돈오(頓悟)냐, 점수(漸修)냐로 묻는다면, 작가는 점수의 작가인 셈이다. 우연성이 작용하는 짧은 순간 점 하나 찍고서 어떤 세계나 미의 완성을 이루는 작가와는 달리 오랜 시간 수행과도 같은 인고의 프로세스를 거쳐 완성해나간다는 점에서다. 많은 요소와 조건들을 경험적으로 다스리고 제어하면서 가까스로 어떤 향유의 거리를 이루는 것이 작가의 작업이다.
2018년 이상원미술관 초대전에서부터 선보인 입체작품들에서 작가의 심미적 감각이 번득이고 있다. 잘게 세절된 글자 알갱이들의 반죽을 통해 돌이나 석상 같은 입체 성형을 한 것이다. 돌 자체의 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오랜 세월의 흔적인 지의류나 선태류들이 덮고 있는 모습까지도 리얼하게 구현된다.
태고로부터 시작된 영겁의 시간성이나 성불의 염원과 혼이 담긴 석상들의 시간성에 작가의 글자 알갱이들은 어떤 의미론적 연관성을 가질까. 가끔은 작가의 작품들을 대할 때 영상 속에서 어떤 이미지가 점으로 해체되다가 완전히 허공 속에서 사라지는 그런 그래픽 같은 것들이 연상된다.
우리의 문명이란 것도 자연으로 흡수 매몰될 운명이라는 인식을 피력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우주의 나이 앞에서 그저 한 줌의 흙에 불과하다는 세계관의 표현일까. 그의 바위 작품들 앞에서 우리의 상상과 사유는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재언 (미술평론가)
사진: 공생(共生)9 41x43x18cm Acrylic+Paper on Moniter 2024
강원특별자치도 평창 출생인 전태원(全泰元. Jeon Taewon. b. 1952)작가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1975년)을 졸업했다.
▲2024 “공생-共生” 갤러리그림손(서울)개인전, ▲2024 “공생/춘천,흐르는 빛과 색” 춘천미술관(춘천), ▲2021 “영겁의 단편” 춘천문화예술회관, ▲2021 “영겁의 단편” 아트나인갤러리(서울), ▲2018 “시작도 끝도 없는-The Wave” 이상원미술관(춘천), ▲2006 “THE STONE-MOMENT” 갤러리상(서울) 등 16회 개인전을 개최했다.
단체전으로는 △환경그룹전,△한국미술청년작가전,△한국현대미술방법작가회전,△아트인강원전,△힘있는강원전,△춘천뿌리전,△강원트리엔날레 등 각종 단체전에 400여회 참여했다.
전태원 작가는 한국미술협회강원도지회장,한국미술협회춘천지부장,한국예술인총연합회춘천지회장,아트인강원이사장을 지냈다.
사진: 공생(共生)12 48x44x8cm Acrylic+Paper 2024
사진: 영겁의 단편, 240×150×12cm, Acrylic, Paper, 2021
●전태원 개인전: "공생-共生" 전시안내
전시명: 전태원 개인전: "공생-共生"
전시기간: 2024년 10월 16일(수) – 10월 22일(화)
참여작가: 전태원
전시장소: 갤러리그림손(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0길 22/ 경운동 64-17)
Opening 2024 년 10 월 16 일 (수) 3 PM
전시문의: 갤러리그림손( 02-733-1045)/ www.grimson.co.kr
관련기사
태그#전시#전태원개인전#전태원작가#전태원개인전공생共生#갤러리그림손#종이작가#이재언미술평론가#물결시리즈#춘천#흐르는빛#물결과돌시리즈#파쇄종이#인쇄된글자#애향의헌정작獻呈作#전태원의조형세계#강원갤러리신진작가선정전시#미술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