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주특기로 군생활을 했던 사람으로서 알려주마
편성부대보급
- 군사주특기번호 2111
- 하는 일 : 중대급 행정병 또는 군수계, 대대/연대급 보급병
중대급 행정병 또는 군수계면 중대 행정반에서 행정보급관(이하 행보관) 이라는 인간과 지지고 볶는데
행보관이 어떤 인간이냐에 따라 네 군생활은 천국이냐 지옥이냐가 결정.
그냥 별다른 일 없이 전화 받고 워드 작업하고 군수계같은 경우는 중대 재산관리, 중대원 보급품 수령 및 불출의 임무.
대대 보급병은 대대 군수과에서 일하게 되는데 대대의 재산관리를 담당하지.
여기서 말하는 재산이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재산의 개념보다 훨씬 넓다 (무슨 소화기, 태극기, 숟가락 등등 모두
재산의 범위에 들어간다) 생각보다 좀 짱날수도 있다.
검열이나 동원훈련 나오면 밤새우는 경우가 좀 있지만 그런것 이외에는 좀 편하다 (중대급, 대대급 모두 포함)
- 특징 : 해외파병자 선발 시 보급 주특기 보유자 중 가장 많이 뽑는 군사 주특기가 2111이다. 물론 전체를 놓고 따졌을 때에는
1111 (소총수) 를 젤 많이 뽑는다.
수리부속보급
- 군사주특기번호 2115
- 하는 일 : 창고병
연대, 중대에는 인가가 없는 주특기이고 제일 말단 부대로 떨어지는 부대가 사단 보급수송대대이다.
참고로 사단 보급수송대대는 사단 예하의 연대, 포병부대, 직할대 중 거의 젤 편한 부대에 속한다.
하는 일은 부대 내에 통신창고, 수공구창고가 있는데 이 창고를 담당한다. 군대에서 통신이란 참고로 밧데리를 말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AA 밧데리나 AAA밧데리가 통신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AA밧데리는 LR-6 AAA는 LR-3이다 ㅋ
통신창고에서 관리하는 품목중에 야전선이라는게 있는데 이건 좀 많이 무거워서 힘들다.
수공구란 우리가 흔히 작업할 때 쓰는 도구 - 낫, 톱, 삽자루, 곡괭이자루, 사포(뻬빠) - 를 말한다.
별로 특별히 하는 일이 많은 것도 아니고 여기저기 많이 불려다니지 않는다. 다만 타 보직에 비해 한가한 편이기 때문
에 여기저기 작업을 불려다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특징 : 오직 논산훈련소에서만 선발하며, 해외파병자 선발시 최고 유리한 보직이라 감히 말할 수 있다. 1년에 180명정도밖에 뽑
지 않으며 (6기수인가...) 조낸 희귀보직이므로 해외파병자 선발시 선발 대상자가 1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자가 0인 경
우가 많다. 지르면 무조건 된다. 이라크 파병 철수하면 남는게 레바논밖에 없는데 현재 레바논에 가 있는 2115 병사가 우
리 분대 후임이다...
나의 조언 - 만약 포상 휴가를 많이 얻고 싶다면 2111을 선택. 왜냐하면 포상휴가 건의자가 행보관이고 중대장은 행보관의 의견을
거의 들어준다. 행보관 밑에서 똥꼬 잘 빨면 휴가는 마구 굴러들어온다.
하지만 해외파병을 가서 2년도 안되는 군생활 중 8개월동안 놀고먹고 (파병 6개월, 파병전교육 1개월, 다녀와서 휴가
1개월) 1200정도 벌고 싶다면 닥치고 2115다. 게다가 한국에서의 군생활도 조낸 편함...
네 선택에 달렸다. 참고로 난 5사단 보급수송대대 나왔다. 형의 주특기는 2118 (일반물자 재고기록)이었다.
우리 부대에 있는 주특기들이라 누구보다 잘 안다. 형의 말을 100%, 1000% 믿어도 좋다.
PS 5사단 나온 사람 밑에 댓글 필수다 ㅋ
첫댓글 굳이 땡보를 고르자면 2115
306이나 102에서 3박4일 대기하고 306같은 경우는 3군 예하 사단 신교대로, 102는 1군 예하 사단 신교대로 가게됨. 논산의 경우는 입소대대에서 3박4일 대기하고 교육연대로 보내짐.
그런데 2111 특기받고 중대까지 가는경우는 드물지 않냐? 대대까지는 많이 봤지만 중대까지 내려온 경우는 거의 없던데
1715가 아는놈은아는 높은자리가는 떙보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