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3일 비상계엄에 이은 탄핵정치가 이땅 대한민국 모든걸 블랙홀 처럼 빨아들이는 바람에 우리
삶의 평범한 일상이 매매일 전국 대도시에서 시위로 혼란이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정치와 관련하여 온국민이 사사건건,시시각각,一喜一悲하는 측면이 강해,곳곳에서
비판,토론,핏대세우는 日常이 작금의 우리 자화상이다.
1.범법자 법사위원장이 대통령 탄핵심판 소추위원장
1989.10.13일 새벽 주한미문화원 담을 넘어 점거후 폭탄투척 및 미수사건을 주도,징역2년,자격정지
2년 선고,복역후,운동권 출신으로 90년후반부터 정치활동시작,2004년 국회의원이 되었고, 지금은 국회
법사위원장 감투를 쓴 정청래는 대통령탄핵소추사건에서 국회소추위원장을 맡아 그의 입에서.헌법역사
같은 "윤석열의 반헌법적 행위는 헌법과 역사의 이름으로 단죄되어야 한다" 고 하였으며, 국회에서는
'윤석열은 사형선고 받을것" 이라 읊었다.
서부지법 폭력사태를 두고 그는 '다시는 이런 폭동을 꿈도 꾸지 못하게 모든 관련자를 일벌백계하므로서
대한민국의 법질서를 확고히 하기위해,폭도들을 끝까지 추적,엄벌해야 한다" 며 장시간 훈계까지...
2.2030 남성세대 민주당 이탈
0.미디어 리서치 1.20~21일 전국18세이상 남여 1012명ARS 정당지지도 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국민의함 48.5% VS 민주당 38.8% 였는데.연령별로는
18~29세:국힘 48%VS 민주37.5%. 30대:국힘55.1%VS민주34.4.% 40대:국힘 33.8%VS민주 49.4%
50대:국힘37.5%VS민주46.8%. 60대:국힘56.5%VS민주34.7%. 70대이상;국힘61%VS민주26.6%
0.대한민국 정치권에서 최근 2030세대가 기존의 '민주당성향지지층' 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점차 보수
정당,또는 중도실용정치쪽으로 이탈현상이 가속되고 있는데,이러한 변화는 공정,정의,이슈,청년실업
부동산문제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되는데,
-전한길 현상: 1타강사-애국열사로 윤대통령 탄핵시도,민주당입법태도 발언,정의로운 목소리 지식인.
용기있는 지식인,이시대의 영웅,불의에 참지 못하는 진정한 스승으로 인물자체에 신뢰형성
-.공정/상식이 무너진 민주당에 대한 실망감:국민상식 벗어난 입법폭주,사법수사권한 정략적 이용,
기득권 정치를 하고 있는 민주당 실체를 2030이 이제야 알았다.
-.2030남성은 경쟁과정에서 공정성(취업,병역,주거문제등)에 민감한 반응,오히려 자신들을 소외 인식.
#민주당에 대한 배신감: 2030남성들은 과거 "진보정당이 청년들의 대변자" 일것이다 기대했으나,
내로남불,역차별,공정성 훼손 문제로 인해 등을 돌리고 있다.
3.민주당 "2030세대를 고립시키자"
최근 탄핵반대 집회 참석자들이 기존의 중장년층 중심에서 2030세대로 확산,탄핵찬성 일색이였던 대학
에서도 최근들어 탄핵반대를 공개주장 목소리가 대학가로 번지며,민주당의 이재명방탄과 연쇄탄핵
폭주행위에 2030이 뒤늦게 관심을 갖는 새로운 현상이 생기자
0.민주당 교육연수원장 박구용전남대 교수:2030세대에 대해"그들을 우리편으로 끌어올것이 아니라,
어떻게 소수로 만들것인가를 고민,그들 스스로 말라 비틀어지게 만들고,고립시켜야 한다" 했다.
0.민주당은 자신들을 지지하지 않는 연령층을 싸잡아 비판해온 경력이 있는데,과거 "60대이상은 뇌가
썩는다" 고 발언했던 유시민은 윤대통령에 투표한 2030남성에 "나는 니들 쓰레기다"라 말해주고싶다.
4.2030 변화 6가지 이유 분석(한국경제 2.2일 김서영)
첫째:자유에 대한 억압,검열논란-카카오톡 검열논란과 여론조사업체 규제강화 시도에 강하게 반발.
둘째:이자 붙여 돌아올 영수증-청년츤의 경제적 현실반영(25만원 민생회복 지원금 반대 40%)
셋째:불공정한 사법시스템-尹탄핵심판은 빠르게 진행/이재명 재판 2년넘게 지연.
넷째: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투브-새로운 정치 공론장,직접 정보비교 검토과정-국힘과 尹 지지경향.
다섯째:변화된 보수지지층.젊고 세련된 이미지가 2030 끌어들여 헌재앞 시위 참여 2030多
여섯째:젊은 남성층의 정치적 불안감이 민주당의 정책방향에 우려시작.
# 結 語 :2030세대의 정치지형변화는 단순히 진영논리를 떠나 2030세대의 변화를 있는 그대로 분석하면
이는 단순한 선동의 결과가 아니라 사법불공정,검열논란,경제정책,그리고 젊고 세련된 보수
이미지 변화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함이 타당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