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세계 최대 커피 소비시장으로 부상, 카페산업도 5년간 60% 증가 -
- 중국, 젊은 층을 중심으로 차문화를 대신하는 커피문화가 서서히 자리잡아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커피(咖啡)
- HS Code 0901.11(12/21/22)
- 커피는 볶은 것인지 여부와 카페인 제거 여부에 따라 4개 품목으로 분류
중국 커피 관세율 및 증치세율
HS Code | 품목명 | 관세율 | 증치세율 |
0901.11 | Coffee, not roasted, not decaffeinated | 8% | 17% |
0901.12 | Coffee, not roasted, decaffeinated | 8% | 17% |
0901.21 | Coffee, roasted, not decaffeinated | 15% | 17% |
0901.22 | Coffee, roasted, decaffeinated | 15% | 17% |
자료원: TradeNAVI
□ 선정사유
ㅇ 중국, 세계 최대 커피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 중국인들의 식습관 변화와 서구문화의 영향 및 소득 증가로 최근 중국의 커피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
- 중국 커피 소비량은 매년 15%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전문가들은 몇 년 사이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커피 소비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ㅇ 중국 커피시장은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임.
- 현재 세계 커피 시장규모는 연간 12조 위안, 그 중 미국은 세계 최대 커피 소비 국가로 3조 위안에 달함. 아직 발전 초보단계에 있는 중국 커피시장은 현재 약 700억 위안 정도임.
- 북미와 유럽의 1인당 연평균 커피 소비량은 400잔, 한국 380잔, 일본 360잔이지만 중국의 1인당 커피소비량은 5잔 정도로 이들 국가에 비해 아직 매우 적은 편임. 하지만 현재 중국의 급속한 커피소비 성장세를 감안할 경우 중국 커피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클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음.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커피시장은 최근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국내 커피 생산량 부족으로 50% 이상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 咖啡快消网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세계 커피시장 성장률은 2%에 불과하지만, 중국은 최근 들어 매년 15% 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시장규모도 1000억 위안 수준임.
- 2017년 중국 커피 소비량은 약 25만 톤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 그 중 중국 자체 생산량은 약 12만6000톤으로 전체 소비량의 절반 수준이며 그 외는 해외 수입에 의존함.
- 중국 커피는 95% 정도가 윈난성(云南省)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그 중 남서부에 있는 푸얼시(普洱市)에서 절반 이상 재배됨.
중국 커피 생산 및 소비량
(단위: 만 톤)
자료원: 咖啡快消网
ㅇ 5년 내 중국 커피 시장규모 4000억 위안까지 성장 전망
- 중국은 비록 현재 발전 초보단계에 있지만, 세계 증가율인 2%의 약 10배에 가까운 연간 15~2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또한일부 일선도시(一线城市)는 30%에 가까운 증가율도 보이고 있음. 이에 전문가들은 2018년은 2000억 위안, 2022년은 4000억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중국 커피 시장규모 성장 전망
(단위: 억 위안)
자료원: 中投顾问产业研究中心
ㅇ 중국 커피 시장의 산업구조로 볼 때 인스턴트 커피, 분쇄커피, 커피 음료수 등으로 구분함. 그 중 가격이 가장 저렴한 인스턴트 커피가 71.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분쇄커피와 커피 음료는 각 10.1%와 18.1% 차지
ㅇ 중국은 지역적으로 볼 때 동남부 연해지역에서 커피를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화동지역(상하이시, 저장성, 장쑤성, 푸젠성 등)이 중국 전 지역 소비량의 23.65%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중국 커피시장 산업구조 및 지역분포 현황
자료원: 中投顾问产业研究中心
ㅇ 중국 커피시장에서 인스턴트 커피가 여전히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긴 하지만, 최근 몇 년은 증가율이 줄어들고 있음. 중국인들의 소비력 제고와 커피 소비문화의 변화에 따라 카페에서 판매되고 있는 분쇄커피 시장이 점차 확대돼 가고 있는 추세임.
- 조사에 따르면 중국 커피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은 도시의 문화적인 발전과 경제성장을 상징하고 있으며 매년 25% 정도의 증가율로 발전하고 있음.
- 중국 전 지역 카페 수량으로 볼 때 2007년은 1만5898개, 2012년은 3만1783개, 2017년은 10만 개 이상에 이르렀음. 카페산업 매출규모로 볼 때 2017년은 약 210억 위안으로 5년 전인 2013년 대비 약 60% 증가한 수준, 2022년은 약 15만 개로 확대될 전망.
- 중국 카페산업 시장규모로 볼 때, 2017년은 약 210억 위안으로 2013년 대비 60% 증가했음.
중국 카페산업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前瞻产业研究院
□ 주요 경쟁기업
ㅇ 중국 커피시장은 국내 기업들도 점차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해외 브랜드들이 주요 시장을 차지하고 있음.
중국 커피시장의 주요 외국기업
회사명 | 국가 및 지역명 | 특이사항 | 제품분류 | 유통구조 |
| 미국 | - 중국 매장: 3000개 이상 - 1999년 중국 진출(베이징) | 인스턴트 커피, | 카페, 해외식품 전문매장 |
분쇄커피 | 카페 |
커피 병음료 | 마트, 온라인매장 |
| 영국 | - 중국 매장: 400개 이상 - 2006년 중국 진출(상하이) | 분쇄커피 | 카페 |
| 대만 | - 중국 매장: 3000개 이상 - 1997년 중국 진출(상하이) | 분쇄커피 | 카페 |
| 스위스 | - 1988년 중국 진출(광둥성) | 인스턴트커피, 커피 병(캔)음료 | 편의점, 온라인 매장 |
| 독일 | - 1984년 중국 진출 | 인스턴트커피 | 편의점, 온라인 매장 |
| 일본 | - 1995년 중국 진출 | 인스턴트커피, 커피 병(캔)음료 | 편의점, 온라인 매장 |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및 공식계정 등 공개자료
□ 수입동향 및 필요 인증
ㅇ 2017 년 중국의 커피 수입규모는 약 6억8000만 달러로 2016년의 4억9000만 달러 대비 38.8% 증가했음. 지역별로는 베이징시(北京市), 상하이시(上海市), 장쑤성(江苏省), 광둥성(广东省), 산둥성(山东省), 푸젠성(福建省) 등 경제성장이 빠른 대도시와 동남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수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커피 유형별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HS Code | 품목명 | 2015년 | 2016년 | 2017년 |
090111 | Coffee, not roasted, not decaffeinated | 119,096 (-11.1) | 111,979 (-6.0) | 131,086 (17.1) |
090112 | Coffee, not roasted, decaffeinated | 188 (95.7) | 172 (-8.8) | 382 (122.5) |
090121 | Coffee, roasted, not decaffeinated | 102,197 (118.6) | 374,255 (266.2) | 545,456 (45.7) |
090122 | Coffee, roasted, decaffeinated | 7,144 (10.2) | 7,339 (2.7) | 7,599 (3.5) |
주: ( )은 증감률임
자료원 : 中商产业研究院, 中国产业信息网
ㅇ 이상 품목 중 최근 몇 년간 수입규모 및 증가율이 가장 큰 커피유형인 HS Code 090121(roasted, not decaffeinated)은 국가별로 볼 때 2017년 베트남에서의 수입이 4억1629만 달러로 가장 많았음. 말레이시아, 이탈리아, 미국 등 국가 제품의 수입 점유율이 비교적 높음.
ㅇ 2017년 중국 대한국의 수입현황은 HS Code 090122(roasted, decaffeinated) 기준 약 17만 달러로 전년 대비 83% 증가함.
중국 커피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0901.21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
수입액 | 증감률 | 수입액 | 증감률 |
1 | 베트남 | 286,826 | 801.1 | 416,297 | 45.1 |
2 | 말레이시아 | 32,229 | 13.0 | 34,490 | 7.0 |
3 | 이탈리아 | 17,279 | -0.2 | 23,690 | 37.1 |
4 | 미국 | 11,888 | 22.5 | 15,692 | 32.0 |
5 | 영국 | 6,086 | 0.1 | 7,363 | 21.0 |
자료원: KITA
ㅇ 커피 수입을 위해서는 입국화물 통관서(入境货物通关单)가 필요
- 국가 품질 감독검증검역기구의 '중화인민공화국 수출입 상품검증법', '중화인민공화국 동식물 검역법', '중화인민공화국 식품위생법' 등에 근거한 관련 법률, 법규에 근거해 '출입국검사검역기구가 검사검역을 시행한 수출입상품 목록'에 포함된 수입상품에 대해 서명, 발급한 입국 화물 통관서
□ 시사점
ㅇ 커피를 즐겨 마시는 일반소비자를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
- 중국은 고유의 차 문화가 커피 확산을 더디게 했다는 분석이 있음. 중국은 아직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지 않고 있어 소비자 수량 확대가 급선무인 일부 해외기업들의 전략으로 본다면 '커피 품목'을 넓혀, 우선 저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스턴트 커피나 커피 음료수의 틈새시장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커피 소비는 주로 젊은 층에서 이뤄지며 20~30대 연령층의 소비량이 70% 이상 차지, 그 중 여성이 약 70%를 차지하며 단맛이 느껴지는 커피를 선호함.
ㅇ 중국인들은 카페를 선택할 때 브랜드 인지도를 중요하게 생각
- 중국 커피시장은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잠재력과 인구 수만 보고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현지 커피 전문 업체들의 공통된 의견임. 중국인들은 카페를 선택할 때 브랜드 인지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맛, 품질, 환경, 서비스, 디저트나 브런치 메뉴 확대 등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전략이 효과적임.
- 일부 해외 커피 기업은 중고소득 층의 공략을 위해 오피스텔 근처에서 매점을 운영해 비즈니스 공간으로도 이용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사무실까지 배달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음. 위쳇 공중계정(公众号)에 추가하면 매주 지정한 요일에 무료 커피 1잔 제공하는 이벤트로 브랜드 인지도 제고, 소비자 수량 확대해 가는 방법도 찾고 있음.
ㅇ 카페 운영에 대해 중국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소비자들이 단순히 '화려한 공간'만을 내세우는 전략은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힘들다고 지적함. 고가의 인테리어 비용, 높은 가맹점 비용과 재료비 등은 모두 가맹점주의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음. '커피 전문점은 단순히 공간을 파는 것이 아닌 중국의 전통적인 차 문화를 대신하는 커피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中商产业研究院, 东方财富网, 中国咖啡网,中国咖啡产业网,前瞻产业研究院, 咖啡快消网, 品途商业评论, 中投顾问,TradeNAVI, 百度, 搜狐,东方财富证券, KITA, KOTRA 샤먼 무역관 자체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