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의견&문의 이용 안내
전체메뉴
관 (觀)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불교 개념
불교의 진리를 직관하는 수행법을 총칭하는 불교용어. 관법.
이칭
이칭
관법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불교의 진리를 직관하는 수행법을 총칭하는 불교용어. 관법.
접기/펼치기
내용
범어는 비파샤나(Vipaśyanā)이며 능견(能見) · 정견(正見) · 관찰 · 관으로 번역된다. 그 방법으로는 가상(假象)으로서의 달이나 해의 모양을 마음으로 관상(觀想)하는 방법과 일체의 현상이 무상하다는 이치를 일념으로 관찰하는 무상관(無常觀), 일체법의 근본이 공이라고 관하는 공관(空觀), 인생은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존재로서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추한 것이라고 관하는 부정관(不淨觀), 법신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다고 관하는 법신관(法身觀)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뒤부터 관법이 널리 행하여졌다. 신라의 원광(圓光)은 소승의 관법과 팔정(八定)을 실수(實修)하였고, 자장(慈藏)은 처음 출가하여 경주 남산의 숲속에서 육체가 하나의 백골이라고 관하는 백골관(白骨觀)을 닦아서 도를 얻었다고 하였다.
원효(元曉)는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서 대승지관법(大乘止觀法)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그는 이 경이 일미관행(一味觀行)을 요지로 하고 있음을 밝히고, 모든 부처와 보살이 이 관문을 좇아 여래장(如來藏)에 들어간다고 하였으며, 이를 십문(十門)으로 나누어서 해설하였다.
또, 원효는 『기신론소(起信論疏)』 하권에서 관행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밝혔다. 원효는 대비(大悲)주1의 이타행(利他行)을 위해서 반드시 관을 닦아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관법은 이 세상의 만물을 어떻게 관할 것인가를 밝힌 것으로서, 무상(無常) · 고(苦) · 무아(無我) · 부정(不淨)의 관법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무상관은 이 세상의 모든 일들, 인과의 법칙에 따라서 변하는 모든 것들이 하나도 영구불변한 것이 없으며, 쉬지 않고 생성되고 파괴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하는 것이다. 고관은 중생의 생각과 말과 행위는 모두 망상의 발동으로 인하여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고통스럽지 않은 것이 없다고 관찰하는 것이다.
또, 무아관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걸쳐 중생이 생각해 내는 모든 의식이 그 자체로서 절대적인 자주성을 지닌 것이 아니며, 과거의 것은 꿈과 같고, 현재의 것은 번개와 같고, 미래의 것은 구름과 같이 별안간 나타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관찰하는 것이다. 부정관은 인간의 육신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육신은 부정한 것이며, 갖가지로 더럽혀져 있어 하나도 진실로 즐길 만한 것이 못 된다는 사실을 관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효는 이들 네 가지 관을 법상관(法相觀)이라 하였고, 이 관에 기초하여 중생의 고통을 불쌍히 여기는 대비관을 닦고, 중생을 모두 제도하겠다는 서원관(誓願觀)을 나타내며,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힘껏 남을 위하여 봉사하고 스스로의 공부에 게을리하지 않겠다는 정진관(精進觀)을 닦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의상(義湘)은 『대화엄십문간법관(大華嚴十門看法觀)』을 지어서 화엄종의 관법인 십문간법관을 닦게 하였으나, 현재 이 책은 전하지 않는다. 또,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는 화엄종의 4법계관(四法界觀)을 요약하여 설명한 것이다. 통일신라 중기에 밀교(密敎)가 들어온 뒤로는 밀교의 수행법인 신(身) · 구(口) · 의(意) 삼밀(三密) 중 관법을 중심으로 하는 의밀(意密)이 많이 실행되었고, 정토신앙을 중요시한 인물들은 16관법을 많이 닦았다.
고려시대에는 의천(義天)이 천태종을 열고 난 뒤부터 천태지관법이 널리 성행하였다. 의천은 송나라로 가서 천태교관(天台敎觀)을 전수받았는데, 특히 원융삼관(圓融三觀), 일념 가운데 삼천의 법계(法界)가 모두 들어 있다고 관하는 일념삼천관(一念三千觀), 십승관법(十乘觀法), 원돈지관(圓頓止觀) 등의 관법이 크게 유행하였다.
의천은 원래 화엄종에 속하였으나 천태교관을 받아들여 천태종을 세운 것은 이론적 교학과 아울러 실천관행을 닦아야 한다는 소신에 의한 것이었다. 천태종은 고려 말에 소자종(疏字宗)과 법사종(法事宗)으로 갈라졌는데, 법사종은 관행을 중요시한 종파로서, 전라남도 강진 만덕산 백련사(白蓮社)를 중심으로 보현참법(普賢懺法)을 닦았다.
이 보현참법은 천태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의 결경(結經)인 『관보현행법경』에 의한 관법이다. 이 관법은 부처님이 열반한 뒤에 보살이 대승경전을 보면서 진여의 경계인 일실경계(一實境界)를 관찰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보현보살의 색신(色身)주2과 다보여래(多寶如來)주3의 탑과 석가모니불의 분신을 보기 위하여, 그리고 모든 장애를 제거하고 무량공덕을 성취하려면 이 관법을 닦으라고 하였다.
『대승경』을 외우며 지성으로 7일 또는 49일을 참회하면서 보현보살주4 뵈기를 발원하면 보현보살이 육아(六牙)를 가진 흰 코끼리를 타고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부터는 선종의 융성과 함께 관법의 실천보다는 선(禪)의 실수(實修)로 기울어지게 되어 관법의 실천에 관한 사료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다만 염불왕생신앙의 발달과 함께 염불관은 크게 성행하였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삼국유사』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조선불교통사』(이능화, 통문관, 1918)
접기/펼치기
주석
주1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려는 부처의 큰 자비. 우리말샘
주2
물질적 존재로서 형체가 있는 몸. 육안으로 보이는 몸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오여래의 하나로 동방의 보정 세계(寶淨世界)에 나타났다는 부처.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할 때, 땅속에서 다보탑과 함께 솟아 소리를 질러 석가모니의 설법이 참이라고 증명하였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4
사보살(四菩薩)의 하나. 석가모니여래의 오른쪽에 있는 보살로, 형상은 크게 흰 코끼리를 탄 모양과 연화대에 앉은 모양 두 가지가 있다.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았으며, 왼쪽의 문수보살과 함께 모든 보살의 으뜸이 되어 언제나 여래의 중생 제도를 돕는다. 우리말샘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불교 불교 개념 석가모니를 교조로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
경주 남산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불교 유적 관련 산.
원효 불교 인물 삼국시대 신라의 『대혜도경종요』, 『금강반야경소』, 『화엄경소』 등을 저술한 승려.
의상 불교 인물 삼국시대 화엄종의 개조이자 화엄십찰의 건립자인 승려.
화엄일승법계도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의상이 화엄사상의 요지를 간결한 시(詩)로 축약한 문서. 불교문서 · 화엄사상축약시.
의천 불교 인물 고려전기 국사, 승통, 국청사 제1대 주지 등을 역임한 승려.
백련사 불교 유적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조직된 신행결사를 지칭하는 용어.
더보기
접기/펼치기
집필자
이종익
불교 개념
간자
미륵보살의 수계를 의미하는 징표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불교 개념
간화선
선 수행방법 중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참선법을 가리키는 불교수행법.
불교 인물
거연
개항기 때, 남한총섭, 북한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개념
격외선
선의 맥이 말과 문자로 된 경전의 이론이나 지식의 격식이 아니라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임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불교 개념
견성
마음 닦는 공부를 통해 깨달음을 얻은 경지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불교 개념
경절문
수행 시 단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본래면목을 터득하여 바로 부처의 경지에 오르게 하는 법문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법문.
불교 인물
경호
개항기 때, 벽송사 · 동학사 등에서 불교 경전을 깊이 연구한 승려.
불교 인물
경화
대한제국기 때, 부안 내소사에 선원을 개설하여 후학을 양성한 승려.
불교 개념
계단
불교에서 계를 수여하는 의식을 진행하는 의례공간. 단(壇).
불교 인물
계정
조선 후기에, 보제, 월화 등 5대 강사로부터 경전을 배운 승려.
불교 문헌
고봉법장가집
고려후기 승려 법장이 나옹삼가에 대한 계송과 잡영을 수록한 불교서. 게송집.
불교 개념
관
불교의 진리를 직관하는 수행법을 총칭하는 불교용어. 관법.
불교 문헌
관세음보살영험약초
천수다라니의 지송을 권장한 불교서. 불경편집서.
불교 인물
관승
고려 전기에, 광명사 주지를 역임한 승려.
불교 문헌
관음영과
32괘의 점괘로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의례서. 불교점서.
불교 의례·행사
관음점
관세음보살에게 기원하고 점괘를 뽑아 길흉을 점치는 불교의례. 점복 · 불교의식.
불교 인물
관준
대한제국기 때, 팔도승풍규정원장, 관동도교정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인물
관홍
조선 후기에, 지리산 철불사 아자방선원에서 수도한 승려.
불교 인물
광준
조선 후기에, 총섭, 자헌대부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개념
교관겸수
고려시대 승려 대각국사 의천이 교리체계인 교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고 주장한 불교교리. 교관병수.
불교 인물
교대
삼국시대 때, 일본에 화현했던 미륵보살의 화신으로 알려진 승려.
불교 개념
구자무불성
개에게 불성이 없다는 뜻으로 선종에서 해탈을 위한 방편으로 삼는 화두. 조주무자.
불교 문헌
권공제반문
불교의 각종 재공과 시식법을 정리하여 1574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불교 인물
궤홍
조선 후기에, 보월사 해원의 제자가 되어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인물
극현
조선 후기에, 대흥사 신월선사의 제자가 되어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인물
근적
조선 후기에, 대흥사 주지가 되어 가선대부의 품계를 받은 승려.
불교 인물
근헌
개항기 때, 취암의 제자이자 초의로부터 보살계를 받은 승려.
불교 문헌
금강경사기
조선후기 승려 의첨(義沾, 1746~1796)이 『금강경』 제가해(諸家解)에 대하여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불교 인물
금사
남북국시대 때, 당나라에서 유학하여 대승과 소승의 경전을 공부한 승려.
불교 문헌
금오집
해방 이후의 승려 태전의 법문 · 게송 · 행장 등을 모아 엮은 불교서. 법문집.
불교 인물
금월
조선후기 사교과와 『화엄경』, 『사분율』, 『범망경』 등을 공부한 승려.
불교 인물
기홍
조선후기 월출산 장선을 은사로 득도하고 성옥의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인물
김잉석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불교학개론』, 『화엄학개론』 등을 저술한 불교학자.
불교 인물
나백
조선후기 춘파 쌍언(春坡雙彦)의 제자가 되어 법맥을 계승한 승려.
불교 문헌
남악집
조선 후기의 승려, 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불교 인물
달선
조선후기 유점사 승통, 보현사 수호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인물
담진
고려전기 예종의 국사로 활동한 승려.
불교 인물
대범
삼국시대 신라에서 당나라와 인도로 건너가 유학하며 불법을 공부한 승려.
불교 인물
대연
남북국시대 삼중대사를 역임한 승려.
불교 인물
대의
해방 이후 대한불교총연합회 이사장, 한민족총회결성준비위원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승려.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
https://encykorea.aks.ac.kr/#:~:text=%EB%B3%B8%EB%AC%B8%20%EB%B0%94%EB%A1%9C%EA%B0%80%EA%B8%B0,All%20Rights%20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