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성의 중심도시인 長沙의 거래처와 장사에서 1시간30분 거리인 株州의 거래처를 방문하기 위해 새벽에 북경공항에서 출발.
장사공항에 내려 바로 株州市에 가서 거래처 상담 후 오후에 장사시로 가는 길에 시간이 있어서 조금 유명한 사찰 공령사(空靈寺)에 잠깐 들렀음.

주주시는 중국 삼황오제 중 한사람인 염제(신농)이 죽은 곳이라하여 주주시내에 있는 광장도 염제광장이라 불리고 있음.

공령사로 가는 길
높은 건물은 강에 둑을 막아서 만든 댐 같은 건물의 부속물이고 강건어 오른쪽 멀리 보이는 건물군들이 공령사임.


한때는 악양의 악양루, 중국 오악 중 남악 형산과 더불어 湘江(호남성에 흐르는 강)의 3대 성지(聖地)라 불려졌다는 공령사
508년 梁나라때 지은 유서깊은 사찰이지만 현재 옛 건물은 없고 근래에 지은 사찰건물이 있음
(강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사찰이라서 강건너편에서 사진을 찍어도 전 사찰이 나오기 어려움. 위사진은 공령사 일부분의 사진임)
공령사는 위대한 시인 두보 선생의 시 次空灵岸에서 이름을 가져온 것이라 함.
沄沄逆素浪,落落展清眺。幸有舟楫迟,得尽所历妙。 空灵霞石峻,枫栝隐奔峭。青春犹无私,白日亦偏照。 可使营吾居,终焉托长啸。毒瘴未足忧,兵戈满边徼。 向者留遗恨,耻为达人诮。回帆觊赏延,佳处领其要。 |



사자상은 아주 오래된 것임

만불전 안에 있는 만불상







기와에 풀들이 자라는 게 아주 흥미가 있음













나한전에 있는 수많은 나한상들

株州市에 속해 있는 염제가 죽었다는 동네 차릉형(茶陵縣)
옛날 책자들에 나오기를...
중국 중화민족의 시조인 염제 신농씨는 차향에서 죽었다 (中华民族始祖炎帝神农氏“崩葬于茶乡之尾”而得名)에서 이름을 따서 차릉현이라고 불리는 동네임. 부근에 염제를 모시는 염제릉도 있음.
염제 신농씨가 누구냐하면.. (아래는 인터넷 자료임)
신농씨는 지금 중국땅 서쪽 호북성(湖北省) 윗쪽 섬서성(陝西省) 기산(岐山) 아래로 흐르는 강수(姜水)가 에서 양떼를 몰던 부락민들과 살았으므로 그 성(性)을 강(姜)씨라 했다. 신농씨를 염제 곧 불꽃임금이라고 부르 게 된 것은 그가 처음 으로 불로 물을 끓여 먹는 방법을 가르쳤기 때문이다. 그는 음식을 불에 익혀 먹는 방법을 세상에 전하기도 했다. 또 농사짓는 법을 백성들에게 알려 주었고 온갖 초목을 헤치고 다니며 수백종의 식물을 맛보아 약초를 찾아내었다. 산야를 거닐면서 하루 칠십여 가지씩 풀잎, 나뭇잎을 씹어 그 효용을 알아보다가 독이 심한 것을 맛보고 중독이 되었는데 찻잎을 씹었더니 그 독이 사라졌다. 그로부터 신농씨는 찻잎에 해독의 효능이 있음을 알고 이를 세상에 널리 알렸다.
중국 당나라의 육우가 지은 다경(茶經)에 보면, 인류 최초로 차를 마신 사람이 신농씨염제(神農氏炎帝) 라고 함.
* 참고
차릉현에도 차를 재배하는 농가들이 있는 데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함. 그래도 염제 신농이 살다가 죽은 동네라서 차에 대한 자료가 있는 줄 알고 조사해보니 전혀 없음.

염제릉



차릉현의 동문에 있는 동문탑

차릉현에 아직 남아있는 송나라때의 성
* 중국 오악(숭산, 태산, 항산, 화산, 형산)중 하나인 형산
내가 오악 중 유일하게 가보지 못한 형산



* 중국 강남 3대 누각(황학루, 등왕각, 악양루)중 하나인 악양루

삼국시대 오나라 노숙이 누각 지어 해군을 훈련시키는 것을 보았는데 후에 당나라때 누각을 보수하면서 악양루라 불렀다고 함. 현재 악양루는 청나라 말기 광서제때 다시 지은 것임.
시인 두보의 등악양루가 아주 유명함
登岳陽樓(등악양루) 악양루에 올라 杜甫(두보)
昔聞洞庭水(석문동정수) 동정호 이야기야 예부터 들어온 터,
今上岳陽樓(금상악양루) 오늘서야 악양루를 오르게 되었도다.
吳楚東南坼(오초동남탁) 오나라 초나라가 동남으로 갈라지고,
乾坤日夜孚(건곤일야부) 하늘과 땅 낮 과 밤이 그 속에서 뜨고 진다.
親朋無一字(친붕무일자) 친한 친척 친우들에게는 소식 한 자 오지 않고,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늙고 병든 몸 외롭게 쪽배에 의지하고 있다.
戎馬關山北(융마관산북) 관산 북쪽에서는 아직도 전쟁 중,
憑軒涕泗流(빙헌체사류) 난간에 기대서니 하염없는 눈물만 흘러내린다.

악양루에서 바라보는 동정호

군산섬

군산섬

군산의 반죽
전설에 순임금의 왕비 娥皇과 女英이 순 임금이 이 부근에서 죽어서 슬프게 울어서 피눈물을 뿌렸는데 그 피눈물이 대나무에
얼룩져 반죽이 되였다함. 우리나라에서는 <瀟湘班竹>으로 불렀는데 옛날 양반들의 담뱃대가 소상반죽이 아니면 양반질을 못할정도로 그 가치가 대단했다고 함.

동정호 안에 있는 군산 - 군산 은침이라는 녹차가 아주 유명한데 은침녹차밭
*악양루와 동정호를 본지 거의 10년은 되는 것 같은데 내년에 삼국지 기행으로 다시 가야겠음.(호남성 악양은 호북성과 경계를 이루는 도시이므로 호북성의 황학루가 있는 무한, 삼국지의 유명한 도시 형주, 적벽대전의 전장지이자 소동파 선생의 유적이 많이 있는 적벽[소설에 있는 내용이지 실제 적벽대전이 일어난 곳은 다른 곳이라는 견해가 많음]과 같이 보기에는 좋은 곳임)
참고: 이전에 올린 산동성 제남 표돌천에 있는 사진임.

아영사(娥英祠)
박물지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으로...
아황(娥皇), 여영(女英) 두 자매는 중국 전설상의 임금인 요(尧)의 딸들인데, 요 임금이 순(舜)에게 왕위를 선양해주고 두 딸들을 순에게 시집보냈다고 함. 순 (舜)임금이 호남성에서 죽가 아황과 여영 두 자매는 너무 슬프서 대나무에 올라가서 울었는데 눈물이 대나무에 떨어져서 대나무에 눈물의 흔적이 남았는데 그 유명한 반죽(斑竹)의 전설이 생겼다고 함.
나중에 두 자매는 순 임금을 그리워하다가 상강(호남성에 있는 강)에 빠져 죽었다고 함. 반죽을 상비죽(湘妃竹)이라고도 함[중국 호남성의 약칭이 湘으로 표현함)
후세에 사람들이 상비죽을 애정이나 충절이 변하지 않음의 상징으로 삼았다고 하며 호남성 동정호 군산이라는 섬에 있는 반죽의 군락을 두 자매 왕비의 무덤으로 상징하고 있음.
상비죽과 관련된 이백 시인의 원별리가 아주 유명함.
遠別離(원별리) 李白
遠別離 멀고먼 생이별
古有皇英之二女 옛날에 아황과 여영 두王妃의 넋
乃在洞庭南 동정호 남쪽
瀟湘之浦 소상강 물가에 맴돌더니
海水直下萬里深 만리나 깊은 바다에 빠지는듯
誰人不言此離苦 뉘라서 이별을 괴로움 아니라 하랴.
日慘慘兮 해(임금)는 어둑어둑 빛을잃고
雲冥冥 구름(간신) 컴컴하게 하늘을 덮었는데
猩猩啼煙兮 안개속 성성(백성들)이 구슬피 울어
鬼嘯雨 귀신이 비(亂) 부르는 울부짖음 같으나
我縱言之將何補 내(匹夫) 이르는말 무슨 보탬이되랴만
皇穹竊恐 가만이 하늘이 두려운 일이라
不照余之忠誠 내 충성된말 들어 주지 않으니
雷憑憑兮欲怒 우루릉~쿵 우뢰소리 怒하고자 함이라
堯舜當之亦禪禹 堯는 舜,순은 禹에게 천하를 넘겼느니
君失臣兮龍為魚 신하 잃은 임금은 룡이 미꾸라지 되고
權歸臣兮鼠變虎 신하가 권력 쥐면 쥐새끼 호랑이 되네
或雲堯幽囚 간혹 말하기를 요는 유폐 되였다하고
舜野死 순은 들에서 죽었다 하느니
九疑聯綿皆相似 구의산은 봉우리 봉우리마다 비슷하니
重瞳孤墳竟何是 순임금 무덤은 어느峰에 있다더냐
帝子泣兮綠云間 이비(二妃),천지간에 울어 울어
隨風波兮去無還 바람따라 물결따라 다시 아니돌아오리
慟哭兮遠望 통곡함이여, 멀리 바라볼뿐
見蒼梧之深山 보이느니 깊고깊은 창오산
蒼梧山崩湘水絕 창오산 무너지면 상수도 메우리며
竹上之淚乃可滅 소상반죽 눈물자욱 없어지리라.
* 내일 오전에 장사 거래처 삼담후 (북경에 돌아가는 비행기가 저녁8시라) 오후에 장사시 둘러보고 군산 은침 녹차와 혹시나 있을 지 모를 신농씨와 관련된 차릉현의 녹차 있으면 좀 구해서 요즘 중국차에 깊숙히 빠져있는 사랑스러운 후배 장 문희 좀 줘야지~~~~~컬~~~컬~~~~
장사시 부근에 있는 익양 등지에는 흑차 즉, 복전차가 많이 생산되지만 호남성에서 복전차 구입하면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서부지방에서 구입해야 가격이 저렴함. 왜냐하면 중국정부에서 서부지방에서 판매되는 복전차는 가격보조를 많이 해주는 원인임. 내가 생각해도 나만큼 중국차의 역사에 대해서 아는 사람도 별로 없다고 봄 ㅋ ㅋ ㅋ
첫댓글 잘 봤습니다.... 동정호는 한번 가보고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