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날씨가 추워서 영하를 기록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ice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그냥 보면 ‘아이 시려’로 보이기도 합니다
‘앗! 차가’와 의미가 비슷한데요
언어라는 것은 수천년이 지나면서
발음이 조금씩 변형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특히 ㅇ, ㄹ발음은
그 변형도가 많아 보였습니다
‘(얼음이) 얼었어’가
‘ice(아이스)’로 변한 것은 아닌가 추측해 봅니다
받침 ㄹ이 거의 없어졌다면 말이죠
샬롯(shallot)이 샤롯처럼 발음이 납니다
받침은 있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한답니다
충분한 설명은 아니지만 생각해 볼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영어가 우리말의 동사가
명사화된 점’을 생각해 보면 말이죠
3331. ice (아이스, 얼음, 빙하, 빙상(氷上), 빙(氷)):
1. (얼음이) 얼었어,
⇒ (얼음이) 얼다가 어원
2. 아이 시려,
⇒ 아이 시리다가 어원
* 이탈리아: gelàto [젤라또⇒ 냉기가 있는, 얼음]
((얼음을) 잘랐다)
* 포르투갈: gelo [지엘로⇒ 얼음, 빙점, 냉담]
((얼음을) 잘라)
* 프랑스: glace [글라스⇒ 얼음, 얼음덩어리]
((얼음을) 깨랐다)
* 라틴어: glácĭes [글라치에스⇒ 얼음, 냉혹]
((얼음을) 깨쳤어)
* 체코, 크로아티아: led [레드⇒얼음 ]
((얼음이) 녹다) (* ㄱ탈락)
* 폴란드: Lod [로드⇒ 얼음]
((얼음이) 녹다) (* ㄱ탈락)
*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is [이스⇒ 얼음, 아이스크림]
((얼음이) 얼었어)
* 네덜란드: ijs [애예스⇒ 얼음, 얼음판]
((얼음이) 얼었어)
* 독일: Eis [아이스⇒ 얼음, 얼음과자]
((닿으니) 아이 시려)
* 스페인: hielo [이엘로⇒ 얼음, 얼림, 냉담]
((얼음을) 얼려)
* 그리스: πάγος [까보스⇒ 얼음, 서리]
((얼음을) 까부셔)
* 튀르키예: buz [부스⇒ 얼음]
((얼음을) 부셔)
* 핀란드: jäätä [야따⇒ 얼음]
((얼음이) 얼다)
* 헝가리: jeg [예그⇒ 얼음]
((얼음이) 얼고)
* 일본: 氷(こおり) [코오리⇒ 얼음, 찬 것]
(氷: 얼음 빙)
* 중국: 氷 [삥⇒ 얼음, 차다, 냉대하다]
(氷: 얼음 빙)
* 베트남: băng [방⇒ 얼음]
(氷: 얼음 빙)
* 한국: 얼음
* 태국: ศีน
[씨인⇒ 차다, 얼음이 얼다, 어리석은 사람]
((얼음에) 씌인)
* 페르시아: جلید [쪼래대⇒ 서리, 이슬, 얼음]
((차가워서) 쫄리대)
* 히브리(현대): קרח [캐라허⇒ 얼음]
((얼음을) 깨라)
* 아랍: جَلِيد [제리드⇒ 얼음, 빙상]
((추워서) 쫄리다)
* 네팔: बरफ [바라프⇒ 얼음, 눈]
((얼음 때문에) 발 아파)
* 인도네시아: es [에스⇒ 얼음]
((녹기전에) 어서)
* 힌디: बर्फ़ [발프⇒ 얼음, 눈]
((눈을) 밟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