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비류
* 어른벌레
_ 주로 낮에 활동하고
_ 암수 모두 더듬이 끝부분이 부푼
곤봉 모양(팔랑나비과는 갈고리 모양)입니다.
_ 몸은 가늘고 날씬한 편이고
_ 몸통과 비율이 잘 맞는 날개가 있습니다.
(날개와 몸통의 균형이 잘 잡혀
우아하게 나풀나풀 잘 납니다.)
_ 주둥이는 빨대 모양으로 꽃꿀이나 과일즙
같은 액즙을 빨아 먹습니다.
_ 날개 겉면에는 비늘 가루가 빼곡히 있어
색깔도 나고 물에 잘 젖지도 않습니다.
_ 다리가 여섯 개인데
네발나비과는 앞다리가 퇴화하여 네 개만 있다.
* 애벌레
_ 씹는형 주둥이로 식물의 잎을 주로 먹는다.
_ 아랫입술샘에서 명주실을 토해 냅니다.
_ 자기가 좋아하는 먹이식물을 먹고 삽니다.
_ 작은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애벌레는
기린초나 돌나물 등을 먹고,
호랑나비 애벌레는
산초나무 같은 운향과 식물을 먹으며
멧팔랑나비 애벌레는
갈참나무처럼 참나무류 잎만 먹습니다.
* 토종나비와 미접(迷蝶)
_ 우리나라에는 265 종이 넘는 토종나비가
있는데 남한 땅에만 212종이 넘게 삽니다.
_여름철에 중국, 대만의 남쪽에서 우연히
날아들어오는 10여종이 있는데 정착하지는
못 한 길 잃은 나비, 미접(迷蝶)이라 합니다.
* 나비 무리의 분류
_ 호랑나비상과와 팔랑나비상과로 나뉨
_ 우리나라의 나비는 대부분 호랑나비상과이며
호랑나비과, 흰나비과,부전나비과와
네발나비과가 있고,
_ 팔랑나비상과에는
팔랑나비과가 있습니다.
① 호랑나비과
_ 몸집이 큰 편으로 세계에서 550 종쯤 삽니다.
_ 어른벌레는 암컷과 수컷 모두 앞다리가
잘 발달해서 앉거나 걸어 다닐 수 있습니다.
_ 애벌레 몸에는 아주 짧은 털이 나 있고
피부는 매끈합니다.
_ 애벌레 시기는 5령까지이며,
_ 대부분 번데기 모습으로 겨울잠을 자지만,
_ 붉은 점모시나비처럼
알로 겨울을 나는 종이 간혹 있습니다
* 호랑나비과의 냄새뿔
_ 머리와 앞가슴 사이에 있습니다.
_ 건드리면 냄새뿔(취각)이 불쑥 튀어나와
천적을 놀라게 합니다.
_ 만져보면 물기가 많고 끈적거리는데,
스스로를 지키려고 냄새뿔에서
화학 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_ 독 물질의 원료는 먹이식물에서 얻기 때문에
운향과 식물 특유의 냄새가 납니다.
* 아래의 표는 우리 둘레에서 흔하게 보는
호랑나비류 애벌레의 먹이식물입니다.
(사진과 글은 정부희님의 곤충학강의에서
전제한 것으로 제 공부를 위해 정리한
내용과 사진이니 타 용도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