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 도청소재지로서 동쪽은 용인시, 서쪽은 안산시, 남쪽은 화성시, 북쪽은 의왕시에 접한다.
시 전역이 화강암이다. 중앙에는 팔달산(八達山:128m)이 솟아 있어 천연 공원을 이룬다. 북쪽에는 300m 내외의 광교산맥(光敎山脈), 서쪽에는 여기산(麗妓山), 남동쪽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지형은 대체로 동북에서 서남 방면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기온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이며, 연평균기온 11.6℃, 1월 평균기온 -3.2℃, 8월 평균기온 25.2℃이다(평년값 기준). 연평균강수량은 1,268.1mm이다.
수원시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시
경기도의 도청 소재지로 수원화성, 화성행궁 등 문화
유적이 많고 자연경관이 뛰어나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출처: N+ Studio
행정지명 > 시
경기도 수원시
삼국시대 : 매홀현(買忽縣), 당성현(唐城縣)
통일신라시대 : 수성군(水城郡), 당은군(唐恩郡)
고려시대 : 수주(水州), 당성군(唐城郡)
조선시대 : 수원부(水原府), 남양도호부(南陽都護府)
일제강점기 : 수원군(水原郡)
경기도의 중앙에 위치한 시이다. 경기도의 도청이 이곳에 있다. 광교산(光敎山)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화성(華城)도 이곳에 있다. 2008년 현재 장안구 · 권선구 · 팔달구 · 영통구의 4개 행정구(行政區), 39개 행정동, 56개 법정동으로 구분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원의 옛 지명으로 매홀군(買忽郡) · 수성군(水城郡) · 수주(水州) · 한남(漢南) · 수성(隨城) 등을 기록하고 있다. 매홀군(買忽郡)은 고구려 때의 지명이고, 수성군(水城郡)은 통일신라 시대 때의 지명이다. 한남과 수성은 고려 시대 때 사용되었던 지명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고려 충선왕 때 수주목(水州牧)을 수원부(水原府)로 강등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때부터 '수원'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어, 정조 때 잠시 '화성(華城)'이라고 불린 때를 제외하고 계속 같은 이름으로 불리어져 왔다. '매홀'의 '매' 와 '홀'은 각각 '물'과 '고을'을 뜻하는 고어이므로 매홀은 곧 '물이 많은 고을'이란 의미를 가진다. 이 의미를 한자로 표기하여 '수성', '수주' 혹은 '수원'으로 불리었다. 조선 시대 수원의 치소(治所)는 원래 현재의 화성시 화산동 융건릉 부근에 있었다. 그러나 정조 때 옛 읍치 장소에 건륭원을 건설하자 팔달산 기슭으로 읍치를 옮겼다. 조선 시대 수원은 지금의 수원을 포함하여 오산시 전역, 화성시 일부 및 평택시 북부지역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관할하였다. 『수원부읍지』에 의하면, 당시 수원부(水原府) 관할 면의 숫자는 50개나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옛 남양도호부 지역을 편입하는 대신 당시 수원의 남쪽 지역은 진위군(지금의 평택시)으로 편입되었다. 1949년에 수원읍과 그 인접 지역이 수원시로 승격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이 되었다.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2008.12, 국토지리정보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북마크 되었습니다.
네이버me 북마크함 가기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
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_feed_info_가 마음에 드셨다면
네이버me에서 편하게 받아보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 + V) 해주세요.
좌표: 37°16′N 127°01′E / 37.267°N 127.017°E / 37.267; 127.017
![]() | |
![]() | |
현황 | |
---|---|
면적 | 121.09 km² |
세대 | 426,340가구 (2012년 10월) |
총인구 | 1,142,728명 (2012년 10월[1]) |
일반구 | 4개 |
행정동 | 39개 |
법정동 | 56개 |
시장 | 염태영 |
시청 | |
소재지 | 팔달구 효원로 241 (인계동 1111) |
홈페이지 | http://www.suwon.go.kr/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진달래 |
시조 | 백로 |
수원시(水原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남부에 있는 시로서, 경기도청 소재지이다. 동쪽으로 용인시, 남서쪽으로 화성시, 북서쪽으로 안산시, 북쪽으로 의왕시와 맞닿아 있다.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 네 개의 일반구로 나뉜다. 2012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기초자치단체이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 화성이 있고, 매탄동에는 삼성전자 본사가 위치한다. 시청 소재지는 팔달구 인계동이다.
목차[숨기기] |
수원시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용인시 수지구 및 기흥구에, 서쪽은 안산시 상록구와 화성시 봉담읍 및 매송면에, 남쪽은 화성시 병점 및 동탄에, 북쪽은 의왕시에 접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상으로도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가 분기하고 있으며 인천과 여주로 통하는육로의 기점이 되어 산업, 교통, 문화, 교육 등의 중심지로서 서울의 관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수원시의 면적은 121.01㎢의 주형 분지로 되어 있다. 시가지 중앙에는 해발143m의 팔달산이 솟아있어 아름다운 천연공원을 이루었고 오래된 성터가 둘러져 있으며 사대문과 봉화대,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 등 역사 깊은 귀중한 고적이 산재되어 있다. 북쪽에는 웅장한 광교산이 정기를 내뿜으며 서쪽에는 아담한 여기산이 병풍처럼 둘러져 찬바람을 막아주고 동남쪽에는 평야를 이룩하여 천혜의 전원지로서 농산, 원예 등에 도움이 되고 있다.[10]
[숨기기]수원 (198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2.1 (35.8) | 5.0 (41) | 10.6 (51.1) | 17.9 (64.2) | 23.0 (73.4) | 26.8 (80.2) | 28.8 (83.8) | 29.8 (85.6) | 25.9 (78.6) | 20.0 (68) | 12.0 (53.6) | 5.0 (41) | 17.2 (63) |
일평균기온 ℃ (℉) | -2.9 (26.8) | -0.3 (31.5) | 5.0 (41) | 11.6 (52.9) | 17.2 (63) | 21.7 (71.1) | 24.8 (76.6) | 25.6 (78.1) | 20.8 (69.4) | 14.0 (57.2) | 6.6 (43.9) | 0.0 (32) | 12.0 (53.6) |
평균최저기온 ℃ (℉) | -7.4 (18.7) | -5.0 (23) | 0.0 (32) | 5.9 (42.6) | 12.0 (53.6) | 17.4 (63.3) | 21.7 (71.1) | 22.1 (71.8) | 16.4 (61.5) | 8.8 (47.8) | 1.8 (35.2) | -4.4 (24.1) | 7.5 (45.5) |
강수량 mm (inches) | 22.4 (0.882) |
24.2 (0.953) |
47.9 (1.886) |
61.3 (2.413) |
97.8 (3.85) |
129.2 (5.087) |
351.1 (13.823) |
299.8 (11.803) |
153.9 (6.059) |
53.1 (2.091) |
49.7 (1.957) |
21.8 (0.858) |
1,312.3 (51.665) |
% 습도 | 65.1 | 64.3 | 64.2 | 62.5 | 67.6 | 72.3 | 80.1 | 78.3 | 74.5 | 71.0 | 68.6 | 66.4 | 69.6 |
평균강수일수 (≥ 0.1 mm) | 7.3 | 6.2 | 7.6 | 7.8 | 8.7 | 9.4 | 15.4 | 14.1 | 8.7 | 6.2 | 8.7 | 8.1 | 108.2 |
일조시간 | 166.0 | 171.6 | 198.0 | 215.2 | 221.3 | 188.3 | 136.7 | 166.0 | 182.0 | 200.2 | 158.0 | 159.7 | 2,162.8 |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11] |
수원에는 네 개의 행정구가 있다. 2012년 6월말 기준 수원의 인구는 1,109,406명이다.
행정구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지도 |
---|---|---|---|---|---|
장안구 | 長安區 | 33.17 | 110,617 | 292,225 | ![]() |
권선구 | 勸善區 | 47.29 | 125,428 | 331,646 | |
팔달구 | 八達區 | 13.07 | 87,596 | 207,674 | |
영통구 | 靈通區 | 27.45 | 98,807 | 277,861 | |
수원시 | 水原市 | 121.00 | 422,448 | 1,109,406 |
수원시의 인구는 2011년말 기준 1,088,489명이며 인구밀도는 8,819.9명/㎢이다. 0~14세 인구는 17.1%, 65세 이상 인구는 7.2%이다. 생산 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5.6%(전국 평균 72.8%)이며,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2.6%(전국 평균 22.8%)이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는 102명이다.[12]
수원시는 조선 왕조의 역사가 깃들여 있는 역사도시로서 문화유적이 많고, 주변에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 많아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수원 화성은 1997년 12월 4일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으며, 팔달문(남문)· 화서문 · 창룡문 · 장안문(북문) 등의 4개의 누문, 작약으로 유명한 화령전, 7개의 수문이 있는 화홍문, 방화수류정, 정조가 주변 경치를 감상하였다는 서장대, 군사훈련장인 연무대, 조선시대 통신수단이었던 봉돈 등이 있고, 또한 장안공원과 팔달공원 등 두 곳의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정조의 임시처소였던 화성행궁이 있다.
화성행궁은 1789년 조선 정조 13년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한 행궁이다. 수원부 관아와 행궁으로 사용되다가 1794년 정조 18년에서 1796년 정조 20년에 걸쳐 진행된 화성축성 기간에 화성행궁을 확대하여 최종 완성 되었다.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인 장헌세자의 원침인 현륭원(현재의 융릉)을 13차례 참배하였으며, 이 기간 중 화성행궁에서 유숙하였다. 건립 당시에는 봉수당, 복내당, 유여택, 신풍루, 남북군영, 우화관, 득중정 등 600여 칸으로 정궁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우리나라 행궁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아름다웠으며, 정조대왕이 모친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을 열었던 궁이기도 하다. 낙남헌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시설물들은 일제의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으로 인해 사라져 버렸지만, 1980년대 말 뜻있는 지역 시민들이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 꾸준하고 적극적인 복원운동을 펼친 결과 1996년 복원공사가 시작되어 마침내 화성행궁 1단계 복원이 완료되어 2003년 10월 일반에게 공개하기에 이르렀다.[13]
한편, 영통구 이의동 등지의 광교역사공원에는 심온선생 묘와 혜령군의 묘가 같이 모셔져, 수원 화성과 같이 역사의 고장 수원의 근간이 되고 있고, 파장동 경수간 도로변의 지지대와 노송지대, 서쪽의 서호와 서호생태수자원센터, 동쪽의 국민관광지인 원천유원지 등 시 외곽에 있는 관광지는 도심의 문화유적과 어울린다.
수원에는 북쪽 광교산과 서쪽 칠보산, 동쪽 청명산 이 위치해 있어, 시민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주민들의 주말 휴식처 역할을 한다.
수원종합운동장, 수원월드컵경기장, 경기도문화의전당 등이 있다.
수원시는 매년 10월에 연례 행사로 수원화성문화제 행사를 연다. 수원화성문화제 중 정조대왕능행차는 정조대왕의 화성행궁 행차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낸 것으로 화성행궁에서 출발하여 수원화성을 한바퀴 돌며 갖가지 행사를 연다.
수원은 갈비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수원과 화성지역에서 나는 한우 암소갈비로 기름을 다듬어낸 뒤 과일과 야채즙을 붓고 소금간을 해 선선한 곳에 충분히 재워서 내는 양념갈비로 유명하며, 갈비의 길이가 4인치나 되기 때문에 흔히 수원 왕갈비라고 불린다. 수원 왕갈비는 포천 이동갈비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갈비요리로 꼽힌다. 수원시에서는 1995년부터 매년 갈비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리그명 | 팀명 | 창단년도 | 경기장 |
---|---|---|---|
K리그 클래식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995년 | 수원월드컵경기장 |
K리그 | 수원 FC | 2003년 | 수원종합운동장 |
WK리그 | 수원시설공단 | 2008년 | 수원종합운동장 |
V-리그 (남) | 수원 KEPCO 빅스톰 | 1945년 | 수원실내체육관 |
V-리그 (여)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1977년 | 수원실내체육관 |
수원은 축구의 열기가 특히 높은 도시다.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최도시 중 하나로써, 피스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 등 많은 국제 경기를 치렀고, 수원시에서는 대한축구협회와 함께 수원컵 국제 청소년 축구대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또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인 피스퀸컵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K리그 클래식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연고지이며, K리그 수원 FC와 WK리그 수원시 시설관리공단 여자 축구단(수원 FMC)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이 중 K리그 클래식의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5년 창단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K리그 클래식 4회, 아시아 클럽 선수권 (현재 AFC 챔피언스리그) 2회, 아시아 슈퍼컵 2회, A3 챔피언스컵와 FA컵 3회 등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현재 아시아에서 최강팀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수원은 김호와 차범근 등 스타 감독을 선임하고 수많은 유명 선수들을 보유하여 현재 K리그 클래식에서도 명실상부한 최고 인기 구단이다. 또한 창단 후 거의 매년동안 K리그 클래식에서 최다 관중을 동원하는 등 연고지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실업축구 수원 FC 역시 내셔널리그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는 강호로 꼽힌다. 2013년부터는 프로축구 2부리그인 K리그에 참가하면서 2013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프로축구단 두팀이 운영되고 있다. 2008년에는 여자 실업축구단인 수원시 시설관리공단 여자 축구단이 창단하면서 명실상부 축구 수도로서의 위용을 과시하고 있다. 2010년 수원 FC와 수원 FMC가 각각 내셔널리그와 WK리그에서 우승하면서 각 리그에서 최고의 축구단을 보유한 진정한 축구 수도로 변모하였다.
반면, 2007년까지 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을 사용하던 현대 유니콘스는, 현대가 궁극적으로 서울특별시 연고 이전을 목표로 잠정적으로 수원에 머물고 있다는 속내를 감추지 않아 수원시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며 결국 2007년을 끝으로 해단하게 되었다.
또한, 프로농구단 KBL 삼성 썬더스와 WKBL 삼성생명 비추미는 각각 2001년과 2005년에 서울과 용인으로 연고를 이전하였다.
그 밖에, 프로배구(KOVO) 남자부 수원 KEPCO 빅스톰과 여자부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가 수원실내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수원시는 일찍부터 경기 남부지역의 교통요지가 될 만큼 각종 교통시설이 발달해왔다. 경부선 철도가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경부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가 시 외곽을 지나고 있어 전국 각지로 손쉽게 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 남부지역의 간선도로인 1번·42번·43번 국도도 지난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교통량이 폭주하여 주요 도로가 심각한 체증을 겪고 있다.
1974년에 개통된 서울~수원 간 전철은 수원과 인근의 화성·오산·평택까지 서울의 통근·통학권으로 만들었다. 한편, 1937년 개통된 수원과 인천 송도를 연결하는 수인선은 762mm 궤간을 사용하는 협궤철도였으나, 경제성이 낮아 1995년 철거되었으나, 일반 전철로 수인선을 복원하는 공사를 진행중에 있다. 현재 분당선을 수원역으로, 신분당선을 광교신도시, 화서역을 지나 호매실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현재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이 개통됨과 동시에 2010년 11월 1일부터 수원역에서 KTX를 이용할 수 있다.
수원은 경기도교육청의 소재지이며, 수많은 고등교육기관과 중등교육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4년제 대학으로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아주대학교 등이 있고, 2년제 대학으로 동남보건대학교, 수원여자대학이 있으며, 특수대학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와 봉녕사승가대학, 삼성제조기술대학이 있다. 그밖에 오산이나 화성 등 인근 도시에 위치한 대학들이 수원대학교를 비롯하여 수원이라는 지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숨기기] 경기도의 행정 구역 |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팔달구 | |
![]() |
|
[보이기] 경기도 수원시의 행정 구역 | |||||||||
---|---|---|---|---|---|---|---|---|---|
시청소재지: 팔달구 인계동 | |||||||||
![]() |
|
[보이기]
![]() | |
---|---|
경기 | |
관동 | |
호서 | |
호남 | |
영남 | |
제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