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효상 저 | 컬처그라퍼 | 2012.10.23
“저는 일본에서 온 건축이라는 말보다 우리말 ‘짓다’가 더 좋습니다. 시를 ‘짓다’, 글을 ‘짓다’, 이름을 ‘짓다’처럼 집도 ‘짓는’ 거죠. 세우고 쌓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옷을 짓듯이 균형과 미적 감각을 고려하고 환경도 생각하고. 그 안에서 살게 될 집주인을 배려해 가봉도 하고 수정도 하는 그 과정이 자연스러워서 좋습니다.”
건축가 승효상이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라는 책을 내고 열린 출판기념식 겸 강연회를 이 말로 시작했다. 그 자리에서 만난 승효상은 수수한 옷차림에 생각을 담아 천천히 말하느라 어눌한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복고풍의 안경 뒤로 보이는 눈엔 장난기가 그득했다. 그래서 그의 느림이 여유롭고 재미있었다. 재미있는 호기심이야말로 그의 창의력의 근원이 아닐까 싶은 느낌이랄까.
그의 강연을 듣기 전에 나는 승효상의 관점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하나는 ‘한옥의 비움과 어울림’이고
또 다른 하나는 ‘건축은 인본주의 예술이다’라고 해도 될 듯 하다.
사실 둘은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관점들이다.
이번 책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에는 일관되게 이 관점이 적용되고 있다.
부산의 구덕산 기슭 밑에 있는 독랑당을 찾아 ‘지금도 내 가슴에 뚜렷한 비움’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빈 공간의 유연함과 여유를 잊은 우리 건축은 강박한 인성을 낳고, 대중의 정서를 배반하고 환경과 어울릴 수 없는 정치적인 건축에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건축물로 사람을 압도하려는 시도는 언제나 실패하기 마련이지 않은가.
‘급조된 두바이를 벤치마킹 하느라 소란 떨지 말고’ 자생적으로 생겨난 삶의 공간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라 하며, 지금은 재개발된 산동네 판자촌에 눈이 내리면 산토리니보다 아름답다고 주장한다. 건물은 사람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유럽문화가 자연을 정복할 대상으로 규정한 반면 동양은 보존하고 어우러져야 할 환경으로 인식했고 이제서야 동양적 관점이 통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빼놓지 않았다.
책은 ‘우리나라의 주목 받을 만한 전통 건축물’에 많은 공간을 할애하고 있는데 모든 집에는 들어야 할 그윽한 이야기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 이야기란 집주인의 철학과 일치한다. 그가 완숙의 경지에 오른 건축가로서 최종 목표인 ‘삶이 반영될 수 있는 그릇으로서의 집짓기’를 추구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그 길에 서면, 나는 그들의 삶이 만드는 일상의 예기치 못한 풍경에 새롭게 감동받는다. 건축은 건축가가 완성하는 게 아니라 그 속에서 이뤄지는 삶에 의해 완성된다.”
- 80페이지
결국 건축은 삶의 중요한 환경이다. 그것을 완성하는 것은 우리가 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공간은 가능한 비어있고 유연해야 한다. 비어 있으되 공허하지 않고, 자연스러워 위압적이지 않아야 한다. 거기에 담아내야 할 것은 오롯이 삶의 흔적들이 될 터이다. 이야기가 누락된 건축이란 생명력이 없다.
집을 부동산 재테크의 대상으로만 보는 우리는 얼마나 외화내빈의 삶을 살고 있는가 반성도 되면서 언젠가 그의 꿈이 실현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도 갖게 된다. 그의 메시지는 신선하다기 보다는 진정성의 측면에서 가치가 더 커 보여서 좋았다.
이 책에는 이런 저자의 속마음이 직접 발로 여행을 하며 찍은 사진들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책을 읽고 나면 더 이상 우리를 둘러싼 건축물들이 지금까지와 사뭇 다르게 보이는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된다.
승효상의 길이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그처럼 자기 주장이 뚜렷한, 다양한 집 짓는 사람들이 존중 받아 자기 이름을 널리 알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 효율 만을 중시한 획일성이 유일한 가치가 되지 않는 집짓기, 아기자기한 이야기가 듬뿍 담긴 다양한 집이 당연시되는 문화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저자 | 건축가 승효상
‘빈자의 미학’으로 유명한 건축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에서 공부했다. 15년간 김수근 문하에서 일했고, 1989년 설립한 이로재의 대표이며, 4.3그룹에 참여하였다. 파주출판도시의 코디네이터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한 그에게 미국 건축가협회는 2002년 명예 펠로우의 자격을 부여했다. 같은 해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지기도 했다. 저서로 『노무현의 무덤』, 『북위 50도 예술 여행』, 『지문』, 『건축, 사유의 기호』, 『빈자의 미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