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를 취(脆)자는 의부(義符)로 육 달 월(肉,月)자에 성부(聲符)로 위태할 위(危)자를 했습니다. 위태할 위(危)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병부 절(㔾)자를 했습니다. 우러러볼 첨(厃)자는 낭떠러지 끝에 나앉은 모양이고 병부 절(㔾)자도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입니다. 낭떠러지 끝에 위태로운 상태로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취량(脆亮) 취리색지(脆利索地) 취화(脆化) 취향(脆响) 취도(脆度) 취눈(脆嫩) 연취(軟脆) 취약(脆弱)
모일 취(聚)자는 의부(義符)로 나란히 설 음(乑)자에 성부(聲符)로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나란히 설 음(乑)자는 햇빛 아래서 사람이 나란히 여러 명 서 있는 모양을 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람이 모인다는 듯을 나타내는 무리 중(衆)자나 모일 취(聚)자에 들어 있습니다. 취할 취(取)자는 귀 이(耳)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귀를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입니다. 귀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딸려옵니다. 취하게 되는 것이지요. 취정(聚丁) 취병(聚丙) 취집(聚集) 취렴(聚斂) 유취(類聚) 취락(聚落) 취산(聚散) 취형(聚螢)
불 땔 취(炊)자는 의부(義符)로 불 화(火,灬)자 변에 성부(聲符)로 하품 흠(欠)자를 했습니다. 하품 흠(欠)자는 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는 사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불 취(吹)자도 하품 흠(欠)자가 들어 있어서 ‘취’로 읽습니다. 취사(炊事) 취반(炊飯) 자취(自炊) 잡취(雜炊) 취립(炊立) 취식(炊殖) 일취(一炊) 취계(炊桂)
냄새 취(臭)자는 스스로 자(自)자에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스스로 자(自)자는 코를 그린 글자이고, 개 견(犬)자는 짐승 중에 개가 가장 냄새를 잘 맡는 동물임을 나타냈습니다. 취불문(臭不聞) 취부당(臭不當) 취사(臭事) 취인정(臭人情) 취화(臭化) 취미(臭味)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