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na has said it will take "resolute countermeasures" in response to US tariffs
중국은 미국의 관세에 대응하여 "단호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As US President Donald Trump laid out tariffs on virtually every one of America's trading partners on Wednesday, he had strong words for Beijin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요일 미국의 거의 모든 무역 파트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에 대해 강력한 발언을 했습니다.
"I have great respect for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great respect for China, but they were taking tremendous advantage of us," Trump said during his roughly hour-long address.
"나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에 대해 큰 존경심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을 매우 존중하지만 중국은 우리를 엄청나게 이용하고 있다"고 트럼프는 약 한 시간 동안 진행된 연설에서 말했습니다.
Holding up a chart listing countries and territories that he said had put up trade barriers to US goods, Trump said: "If you look at that... China, first row, 67%.
트럼프는 미국 상품에 무역 장벽을 세운 국가와 지역이 나열된 차트를 들어 보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것을 보면... 중국, 첫 번째 줄, 67%. 라고 말했습니다.
That's tariffs charged to the USA, including currency manipulation and trade barriers."
이는 환율 조작과 무역 장벽을 포함해 미국에 부과된 관세입니다."
"We are going to be charging [them] a discounted reciprocal tariff of 34%," he added.
"우리는 그들에게 34%의 할인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In other words, they charge us, we charge them, we charge them less. So how can anybody be upset?"
"다시 말해,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면 우리가 그들에게 부과하고, 우리가 그들에게 더 적게 부과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누가 화를 낼 수 있겠습니까?“
But China's Commerce Ministry immediately called the move "a typical act of unilateral bullying" and pledged to take "resolute countermeasures to safeguard its rights and interests".
그러나 중국 상무부는 즉각 이를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비난하며 "권익 보호를 위한 단호한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And state news agency Xinhua accused Trump of "turning trade into an over simplistic tit-for-tat game".
그리고 관영 신화 통신은 트럼프가 "무역을 지나치게 단순한 보복 게임으로 만들었다"고 비난했습니다.
Experts believe Beijing has good reason to be upset.
전문가들은 중국이 화를 낼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For one, the latest announcement is an add on to existing tariffs of 20% on Chinese goods.
우선, 이번 발표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기존 관세 20%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Secondly, by imposing heavy tariffs on other South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Vietnam and Laos, it has 'slammed the door shut' on how China rejigged its supply chains to get around the tariffs imposed on Beijing during Trump's first term.
둘째,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고율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중국에 부과된 관세를 피하기 위해 공급망을 재편한 것에 대해 '문을 닫아버린' 것입니다.
There were five Asian nations in the 10 countries and territories hit with the highest tariffs.
가장 높은 관세가 부과된 10개 국가 및 지역에는 아시아 국가가 5개나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taxes are adding up for China 중국에 대한 세금 추가부과
Trump has imposed new tariffs on Chinese imports since returning to the White House in January, ratcheting up levies to 20%.
트럼프 대통령은 1월 백악관으로 복귀한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여 부과금을 20%로 인상했습니다.
In less than a week, these tariffs will jump to 54%, apart from on products like cars, steel and aluminium, which will be subjected to lower tariffs.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관세가 인하되는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과 같은 제품을 제외하고는 관세가 54%까지 치솟을 것입니다.
Beijing has also been on the receiving end of other Trump trade salvos.
중국은 트럼프의 다른 무역 유보 조치도 중단 받게 되었습니다.
Earlier on Wednesday, the President signed an executive order to end a provision for low-value parcels from China.
앞서 수요일, 대통령은 중국발 저가 소포에 대한 규정을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This had allowed Chinese e-commerce giants like Shein and Temu to ship packages with a retail value of under $800 (£617) to the US, without taxes and inspections.
이 조항으로 인해 셰인, 테무와 같은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소매가가 800달러(617파운드) 미만인 소포를 세금과 검사 없이 미국으로 배송할 수 있었습니다.
Close to 1.4 billion shipments entered the US under the provision in the last financial year, according to customs data.
세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에 약 14억 개의 배송물이 이 조항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왔습니다.
The removal of the exemption could force some Chinese firms to pass the extra cost on to customers, making their goods less competitive in the US.
면제 조항이 폐지되면 일부 중국 기업들은 추가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하여 미국 내 상품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사진2
US President Donald Trump has announced tariffs on 180 countries and territorie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0개 국가와 영토에 대한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When taken together, this is a worrying picture for Beijing, said Deborah Elms from the Hinrich Foundation consultancy.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중국으로서는 걱정스러운 상황이라고 힌리히 재단 컨설팅의 데보라 엘름스는 말합니다.
"I don't think the new tariffs are necessarily aimed at China.
"새로운 관세가 반드시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But when the United States stacks tariffs on top of each other, specifically towards China, the numbers become eye-watering quite quickly."
하지만 미국이 각 나라에, 특히 중국을 겨냥해, 관세를 쌓아 올리면 그 수치는 금방 눈에 띄게 됩니다.“
"China and the Chinese will have to retaliate. They are not going to be able to sit back and watch this," she said.
"중국과 중국은 보복을 해야 할 것입니다. 그들은 가만히 앉아서 이 상황을 지켜볼 수 없을 것입니다."라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Supply chain hit 공급망 타격
Trump also imposed heavy tariffs, ranging from 46% to 49%, on Vietnam, Laos and Cambodia.
트럼프는 또한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 46%에서 49%에 이르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This represents "a full-frontal assault on Beijing's extended supply chain," said Stephen Innes from investment firm SPI Asset Management.
이는 "중국의 확장된 공급망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이라고 투자 회사 SPI 자산 관리의 스티븐 이네스(Stephen Innes)는 말했습니다.
"Vietnam... and others in the periphery are collateral damage in what is shaping up to be the most aggressive realignment of US trade policy in a generation," he added.
"베트남을 비롯한 주변국들은 한 세대 만에 가장 공격적인 미국 무역 정책의 재편으로 인해 부수적인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This isn't tit-for-tat - it's strategic containment via tariff warfare."
"이것은 맞대응이 아니라 관세 전쟁을 통한 전략적 봉쇄입니다.“
Laos and Cambodia, which are among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region, are heavily dependant on Chinese investment in supply chain infrastructure. The high tariff rates are expected to hit both countries hard.
이 지역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인 라오스와 캄보디아는 공급망 인프라(기반시설)에 대한 중국의 투자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높은 관세율은 두 나라 모두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China is Vietnam's largest trading partner. It was one of the key beneficiaries of US-China tensions during Trump's first term.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무역 파트너입니다. 베트남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미중 긴장의 주요 수혜국 중 하나였습니다.
In 2018, Trump hit China with tariffs, causing some businesses to rethink where they made their products. Some chose to shift manufacturing to Vietnam.
2018년 트럼프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자 일부 기업은 제품 생산지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일부는 베트남으로 생산지를 옮기기로 결정했습니다.
This has led to an increase of exports from Vietnam to the US, with Chinese companies that have moved production there contributing to that figure.
이로 인해 베트남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으며, 베트남으로 생산을 이전한 중국 기업들도 이 수치에 기여했습니다.
사진3
Some Chinese companies make goods in factories in South East Asia
일부 중국 기업은 동남아시아의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합니다.
"Vietnam was clearly targeted [by Trump] due to its role as a conduit for China's circumvention of previous tariffs", former US trade negotiator Stephen Olson told the BBC.
"베트남은 중국의 이전 관세 회피를 위한 통로 역할로 인해 [트럼프의] 표적이 된 것이 분명하다"고 전 미국 무역 협상가인 스티븐 올슨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While the US remains Vietnam's biggest export market, China is its largest supplier of goods, accounting for more than a third of imports, according to the latest official data.
최신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은 여전히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이지만, 중국은 수입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상품 공급국입니다.
Chinese firms were also behind nearly one in every three new investments in Vietnam last year.
또한 지난해 베트남에 대한 신규 투자 3건 중 1건은 중국 기업이 주도했습니다.
Pushan Dutt, a professor at the INSEAD business school, said the new taxes on South East Asia will be "prohibitive" for China.
인시아드 경영대학원의 푸샨 더트 교수는 동남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관세는 중국에게 "엄청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hina has a problem with demand and in the last Trump administration their firms had nimbly reacted to tariffs by rejigging supply chains and moving them to [South East Asian nations]. This door has been slammed shut," he added.
"중국은 수요에 문제가 있고, 지난 트럼프 행정부에서 중국 기업들은 공급망을 재조정하고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전함으로써 관세에 민첩하게 대응했습니다. 이 문은 이제 쾅하고 닫혔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But Trump's taxes on the region will also impact US companies that manufacture goods in South East Asia.
그러나 동남아시아에 대한 트럼프의 관세는 동남아시아에서 상품을 제조하는 미국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For instance, American businesses including technology giants Apple and Intel, and sportswear giant Nike have large factories in Vietnam.
예를 들어, 기술 대기업인 애플과 인텔, 스포츠 의류 대기업인 나이키 등 미국 기업들은 베트남에 대규모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 recent survey by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Vietnam found that most US manufacturers there expect to lay off staff if tariffs are imposed.
베트남 주재 미국 상공회의소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미국 제조업체가 관세가 부과되면 직원을 해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Hard choices' ahead '어려운 선택'을 앞두고 있다
There is the question of what China can do to respond to the new tariffs, given it only has days before they are due to take effect.
새로운 관세가 발효되기까지 며칠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새로운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Mr Olson said he expects Beijing to have a "forceful" response with tariffs and other measures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US companies to operate in China.
올슨은 중국이 관세 및 기타 조치로 미국 기업의 중국 내 운영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강력한"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With the Chinese economy already facing challenges, Beijing faces "tough choices" in the days ahead, said Professor Dutt.
중국 경제가 이미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에서 중국은 앞으로 "힘든 선택"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더트 교수는 말했습니다.
"Exporting to other regions threatens de-industrialisation in these destinations - and political leaders there are unlikely to accept this. That means China has to finally unleash domestic demand and the Chinese household," he added.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은 해당 지역의 탈산업화를 위협하며, 해당 지역의 정치 지도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결국 중국이 내수와 중국 가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The tariffs could also push China to try and build alliances with other Asian nations who have been on the receiving end of the tariffs.
또한 관세로 인해 중국은 관세를 부과받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동맹을 맺으려 할 수도 있습니다.
Wang Huiyao, a former China Communist Party member who works with the Center for China and Globalisation think tank, called on Asian countries to "work together to go through this difficult time and fight protectionism".
중국과 세계화 센터 싱크탱크에서 일하는 전 중국 공산당원 왕후야오는 아시아 국가들이 "이 어려운 시기를 함께 극복하고 보호무역주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In the end, the US could be losing all the influence and isolate itself," he added.
"결국 미국은 모든 영향력을 잃고 고립될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Some discussions are already underway. China, South Korea and Japan recently held their first economic talks in five years.
이미 일부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중국, 한국, 일본은 최근 5년 만에 처음으로 경제 회담을 개최했습니다.
They agreed to speed up talks for free trade agreement - which was first proposed over a decade ago.
이들은 10여 년 전에 처음 제안된 자유무역협정을 위한 협상을 가속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The new tariffs could give them added incentive to do so.
새로운 관세는 이들에게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However, Beijing could face some short-term pain while talks with Washington take its course.
그러나 중국은 미국과의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단기적인 고통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Ultimately, the US and China are headed for a negotiating table where they'll try to reach some type of a grand bargain on a wide range of issues," Mr Olson said.
"궁극적으로 미국과 중국은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일종의 그랜드 바겐(일괄타결)에 도달하기 위해 협상 테이블로 향하고 있습니다."라고 올슨은 말했습니다.
"That won't necessarily happen soon and I expect things to get worse before they get better," he added.
그는 "그런 일이 곧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며 상황이 나아지기 전에 악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첫댓글 China has said it will take "resolute countermeasures" in response to US tariffs
resolute단호한 학고한
countermeasures대책
response응답
tariffs관세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4.06 19:31
"I have great respect for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great respect for China, but they were taking tremendous advantage of us," Trump said during his roughly hour-long address.
respect존경
tremendous엄청난
advantage이점
roughly대략적으로
Holding up a chart listing countries 차트 목록 국가를 보유하는 것and territories that he said had put up trade barriers to US goods그가 미국 상품에 무역 장벽을 세웠다고 말한 영토, Trump said: "If you look at that... China, first row, 67%.
Holding자산
territories영토
trade무역
barriers장벽
first row첫 번째 행
That's tariffs charged to the USA, including currency manipulation 환율조작을 포함하여and trade barriers."무역장벽
including포함하다
currency통화
manipulation조작
We are going to be charging [them] a discounted reciprocal tariff of 34%,"34%의 할인된 상호 관세 he added.
discounted할인된
reciprocal역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