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명 : (영) Sea-bass, True bass, (일) Mahata
형 태 : 전장 90Cm 정도이나 대형어는 1.5m까지도 자란다. 몸은 방추형으로 다른 우럭보다 뒤쪽 콧구멍이
앞쪽 것보다 크다. 빛깔은 자색을
띤 연한 회갈색으로 옆구리에 7줄의 흑갈색 가로띠가 있으며, 이
띠는 성어가 되면 불분명해 진다. 제1-6띠는 등지느러미 기저에서 시작하여 가느다란 2띠로 분리되어 있고
제 7띠는 꼬리자루에 있으며 폭이 넓다. 모든 가로띠는 등지느러미 위까지 연장된다. 배,뒷지느러미는
흑색이다. 등지느러미의 가시부와
연조부의 경계에 결각이 없다. 아래턱의
측치는 2열의 송곳니이다. 전새개골 연변의 우각부에 둥글고 퉁퉁한 톱니가 돌출돼 있고, 그 아래 우각부에는 1-2개의 가시가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뒤끝은 둥글게 돌출한다.
설 명 : 어류, 새우나 게류 등을 먹는다. 다른 농어과의 어류에 비해 다소 깊은 곳에서 생활하며 성어는 수심 100m 이상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산란기는 초여름이며, 유어는
산호역에서 생활한다. 저인망으로
어획하며, 생선회, 조림,
찌개 등으로 식용한다.
분 포 : 한국(제주도, 여수 및 부산), 일본(중부 이남), 그 밖에도 대서양, 인도양
및 서태평양의 열대부에 분포하고 있다.
○ 별우럭
: Epinephelus fario (Thunberg)
외국명 : (영) Rock cod, Garrupa, Trout rock-cod, (일) Hoshi-hata, Nominokuchi

형 태 : 전장 40-45Cm 정도.
양 눈 간격은 평탄하며 눈지름보다 좁다. 빛깔은 등쪽이 다갈색이고 복부는 갈색이다. 옆구리에는 동공 크기의 작은 주적색 반점이
밀포되어 있다. 이 반점은 성장해짐에
따라서 더 작아지며 그 수가 증가한다. 등지느러미
가시부의 최후 3가시 밑에 1개, 연조부 중앙 아래에 1개, 꼬리자루
위에 1개 혹은 등지느러미 제5-6가시 밑에서 각각 1개씩의 흑색 반문이 있다. 주둥이는 원추형이며 끝은 뾰죽하다. 아래턱은 위턱보다 길며 위턱 후골에 부골이 있고 양 턱의 서골과 구개골에
융모상 이빨이 있다. 양 턱의
앞쪽에는 보통 크기의 송곳니로서 안줄의 이빨은 크다.
체장은 두장의 2.4-2.5배, 두장은
눈지름의 4.9-6.3배이다.
설 명 : 남방
해역의 암초 지대에서 서식하고 있다. 산란기는
여름이며, 소형어류, 새우류, 게류 등을 먹는다.
생선회나 조림 요리가 맛이 좋다.
분 포 : 한국(남부해), 일본(토오쿄오
이남), 타이완, 중국, 동인도
제도 및 인도 등지에 분포
○ 종대우럭
: Epinephelus latifasciatus Temminck et Schlegel
외국명 : (영) Laterally-banded grouper, Striped
grouper, (일) Ohsuji-hata
형 태 : 전장 30-45Cm 정도.
몸은 방추형으로 측편되어 있다. 갈색 바탕에 2줄의 폭넓은
연한 갈색의 세로띠가 있고(유어에도 있다.) 각 세로띠의
양 변두리에 폭이 좁은 흑갈색 선이 있으므
로 4개의
흑색 세로줄이 있는 셈이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의 바깥쪽은 크고 둥근 흑색 점이 나타난다.눈은
등쪽에 치우쳐 있고 두 눈 사이는 융기되어 있다.
입은 크고 아래턱이 돌출하며 주상악골의 가장자리는 각져 있다. 양 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줄지어 있는데 측면으로는 2줄, 위
턱의 경우는
3-4줄까지 나있다. 아래턱의
경우는 외열치보다 내열치가 잘 발달되어 있다.
서골과 구개골에도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몸과 머리는 작은 빗비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의 경우 비공 주위, 전상악골, 치골에만
비늘이 없다. 전새개골의 모서리는 4-5개 가량의 작지만 강한 가시가 있고 주새개골에 2개의 가시가
나있다. 비공은 2쌍으로 전비공에는 촉수가 있고, 후비공은 타원형이다. 꼬리지느러미는 완만한 둥근 형이다. 유어는 안구 상하부터 후방으로 2줄의 백색띠가 있지만 성어가 되면 소실된다. 그림 위는 성어, 아래는 유어.
설 명 : 저서성
어류로 수심 20-230m의 바닥이 모래나 암초인 해역에 서식한다. 치어의 경우 펄이나 부드러운 모래 바닥에도 산다. 최대 체장 137Cm까지 성장하며, 체중은
58.6Kg에 달한다. 주로
낚시어업, 트롤어업, 정치망어업 등으로 어획한다. 생선회,
조림 등으로 이용한다.
분 포 : 한국(남부해), 일본(토오쿄오
이남), 대만, 중국, 인도
및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붉바리
: Epinephelus akaara (Temminck et Schlegel) - 붉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