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보시를 닦음에 있어..
금과 은과 산호와
진주와 마니주와
자거와 마노와
금강의 모든 진보와
노비와 거승(車乘-타는 수레)과
보배로 장식된 연여(輦輿-가마)를
환희로 보시해
불도(佛道)에 회향(廻向)하고
이 승(乘-가르침)이
삼계에서 제일로써
모든 부처님께 칭탄을 받길 원합니다.1-51
혹유행시 금은산호 진주마니 자거마노
或有行施 金銀珊瑚 眞珠摩尼 硨磲瑪瑙
금강제진 노비거승 보식연여 환희보시
金剛諸珍 奴婢車乘 寶飾輦輿 歡喜布施
회향불도 원득시승 삼계제일 제불소탄
迴向佛道 願得是乘 三界第一 諸佛所歎
1-미륵보살이 광명을 통해서 타방세계에 보살이 육바라밀 중에 먼저 보시바라밀 닦는 것을 노래했다.
2-행시(行施-보시바라밀을 닦는 수행)에 둘이 있다. 첫째 자행시(自行施)와 둘째 타행시(他行施). 이다.
첫째 법화경을 읽고 외우는 등은 모두 제 몸에 보시를 하는 것이니 이를 자행시라 한다. 둘째 남에게 법화경을 읽고 외우라고 주는 것을 타행시라 한다.
3-법화경의 보시(布施)에 넷이 있다. 첫째 환희(歡喜)보시. 둘째 수희(隨喜)보시. 셋째 평등(平等)보시. 넷째 유통(流通)보시. 이다.
일승석(一乘釋)에서 보시를 풀이하면, 환희보시는 법화경을 지닌 것을 말하니 일승(一乘)보시라 하고, 수희보시는 법화경을 읽고 외워 이해한 것을 말하니 이를 묘법(妙法)보시라 하고, 평등보시는 법화경을 통해 일체지(一切智)를 깨달아 일체중생과 함께 하려는 것이니 이를 연화(蓮華)보시라 하고, 유통보시는 법화경을 남에게 말해주는 것을 말하니 이를 경전(經典)보시라 한다.
4-회향(廻向)은 자신의 모든 공덕을 부처님에게 돌리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이 이르시길“보살은 중생을 제도할지라도 중생을 제도했다는 집착을 하지 않는다.”하시었으니, 이를 무너지지 않은 공덕회향이라 한다.
5-회향에 여섯이 있다. 첫째 보시(布施)회향. 둘째 지계(持戒)회향. 셋째 인욕(忍辱)회향. 넷째 정진(精進)회향. 다섯째 선정(禪定)회향. 여섯째 지혜(智慧)회향. 이다. 이는 모든 대승(大乘)이 함께 하는 것이나, 회향의 크고 깊음에는 차별이 있다.
6-회향을 일승석에서 풀이하면, 시방세계를 심계(心界)라 한다. 이 심계를 회향심에 대입하면 사회향심(四廻向心)이 있다.
첫째 일승심회향계. 둘째 묘법심회향계. 셋째 연화심회향계. 넷째 경전심회향계. 이다.
-偈頌-
법화경을 지니고 읽는 것은
일승심 회향계요!
법화경을 깨달아 이해하는 것은
묘법심 회향계요!
법화경을 남과 함께 하는 것은
연화심 회향계요!
법화경이 바로 불심(佛心)인 것은
경전심 회향계다.
-寶雲法師 廻向合掌-
一乘妙法蓮華經
一切諸佛神通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