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소하나 누추하지 아니하고
화려하나 사치롭지 아니하다
儉검: 검소할 검, bescheiden/sparsam
而이: 말이을 이, und(aber)
不불: 아닐 부/불, nicht
陋루: 더러울 루/누, dürftig/hässlich
華화: 빛날 화, schön
而이: 말이을 이, und(aber)
不불: 아닐 부/불, nicht
侈치: 사치할 치, luxuriös/verschwenderisch
우리나라의 가장 오랜 역사서 <삼국사기>에 전해지는 여덟 자로, 저자 김부식 선생이 백제의 새 궐을 미학적으로 평하며 남긴 문장이다. ‘우리네 얼과 넋’을 주제로, 옛 어른들의 사상과 철학, 우리 역사에 서린 뜻과 정신, 우리네 맛과 멋을 오롯이 살피는 기고를 이어 나가려 한다.
《삼국사기》의 백제본기,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 15년(4 v.Chr.)조에 “十五年 春正月 作新宫室 儉而不陋 華而不侈; 온조왕 십오년 봄 정월에 새로이 궁실을 지었으니,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았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았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우리나라의 아름다움을 관통하는 미학적 비평 여덟 자, 그 첫 서술이 이와 같다. 김부식이 평한 백제의 궁궐은 현대에 전하지 않지만, 백제의 미감을 여실히 내보이는 그 ‘검이불루’하고 ‘화이불치’한 유물로, 백제문화의 정수인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가 있다. 1993년, 부여 능산리 고분군 주차장 공사 중 우연히 백제의 기왓장 조각이 발견되어 발굴 작업이 시작되었고, 도중 절터 진흙 구덩이 속에서 출토되어 한반도를 넘어 세계 미술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1400여년의 세월을 넘어서 백제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상징이 되어 그 아름다움을 여여히 발하고 있는 것이 이 백제금동대향로이다.
이하 생략
너무 좋은글이라서 퍼왔습니다.
저도 그렇게 살고 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