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에센스 오일(Essential oil)의 정확한 이해
에센스 오일은 영어 “essential + oil”의 합성어로 우리말로는 “진정한 기름”으로 한자로 번역하면 정유(精油) 혹은 향유(香油)로 번역되며 주로 미용 및 피부의 관련 상품용어 등으로 이해되고 있다.
정유(精油 : essential oil)의 의미를 쉽게 요약하면 향기 식물에서 인위적으로 추출한 “향(香)이 있는 정미(精微)한 기름” 또는 식물에서 인위적으로 정제된 “정미(精微)한 100% 휘발성 물질”로 식용 및 약용 하는 기름, 지방(脂肪)과는 완전히 구별되는 물질이란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생명과학, 천연물 화학 등의 발전으로 정유(精油 : essential oil)의 이용범위는 음식, 건강개선, 질병 치료, 힐링 제품, 특히 유기농법 등에 광범위하게 상품화할 수 있는 폭넓은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며,
이 분야의 상품개발로 창업화 한다면 상당한 시장이 개척될 것으로 생각된다.
4. 향수(香水), 향로(香露), 약로(藥露)
동양에서 정유(精油 : essential oil)를 화장품으로 이용하면 향수(香水), 약용으로 이용하면 약로(藥露)라 하였고, 음료수 등의 용도로 이용하면 향로(香露)라 이름하여 구분한 용어로 본질은 같은 것으로 용도의 차이에서 발생한 용어라 이해하면 무난할 것이다.
“향로”와 “약로(藥露)”의 문헌적 근거는 중국의 이시진이 편찬한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야의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어 약초의 이용을 현대 생명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대중화 및 상품개발에 주요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동양의 약로(藥露) 혹은 향로(香露)란 최근의 플로럴워터(Floral Water) 혹은 하이드로졸(Hydrosol)관련 상품과 동일한 것으로 효능 의 연구영역에서는 고전문헌의 자료가 임상적 선례로 귀중한 가치가 있으므로 연구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5. 아로마테라피 관련 용어
아로마테라피(Aroma therapy)란 용어가 우리나라에 부분적으로 소개된 것은 정확한 근거를 찾가 어렵지만 약 1990년경에 의학계, 대체요법, 피부미용 분야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아로마테라피(Aroma therapy)는 일반적으로 향기식물에서 추출한 정유(精油 : essential oil)를 매개체로 이용하여 인체의 정신 및 육체적 건강요법으로 정리되며, 쉽게 요약하면 “향기요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보다 크게 보면 “향기 식물요법”이 될 것이다.
6. 향기식물의 기초 및 전문지식 결여
따라서 아로마테라피(Aroma therapy)는 향기식물에 관한 기초 및 전문지식이 필요하지만, 현재 이 분야에 종사하는 직업인들의 향기식물에 관한 기초지식은 상당히 결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全量이라 함이 타당할 것임)의 종사자는 수입된 정유(精油 : essential oil)를 캐리어 오일(carrier oil)로 희석하여 이용하는 상업적 기교(技巧)에만 편중된 점은 심각한 문제점이다.
이 문제점이 꼭 개선되어야 전문 직업인으로 진일보하면서 독자적인 상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이 분야에 집중하여 본 교재를 출판하게 된 동기부여가 있었음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7. Aroma dew-tea 란 무엇인가 ?
들길이나, 산길을 걷고 있을 때 쑥향과 소나무, 잣나무 향을 접할 수 있을 것이며 쉽게는 식당에서 향(香)이 강한 당귀 잎이나, 천궁 잎 혹은 파슬리 잎의 향(香)을 접할 수 있었든 기회가 가끔은 있었을 것이며 귤, 오렌지 등의 과일을 꽉 쥐면 즙(汁)이 나오면서 향기로운 냄새를 접하였든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위에 열거된 향기식물의 향(香)을 깔끔하게 증류하여 청량음료수 등으로 마시고자 할 때 단용(單用) 및 브랜딩(혼용) 기술을 실용적으로 개발한다면, Aroma dew-tea 가 될 것이다.
향기(香氣)약초 혹은 방향성(芳香性) 약초란 우리 주변의 향기 나는 약초를 말하며 이 향기가 인체에 유익하여 건강을 개선하고 나아가 질병개선 등에 일정한 효능이 있으면서 상업성이 있다면 더욱 좋은 창업의 연구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항노화 미병의학, 2021, 한국 약초 대학, 신삼기
(연재물의 무단복제는 저작권보호를 위하여 절대 금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