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문제와 이스라엘의 탄생은 현재까지도 세계적인 이슈이며, 다양한 역사적 사실과 정치적인 문제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유대인 문제는 수세기에 걸쳐 발생한 유대인들의 차별, 박해, 대학살 등의 문제를 의미합니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 라고 불리는, 서남 아시아, 서쪽으로는 지중해와 닿아 있고 남쪽으로는 사하라 사막 북쪽의 지중해 연안은,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의 발생지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데스강 나일강이 흐르고, 기후는 지금과 달리, 여름에는 건조하고 겨울에는 비가 많이 내렸다.
농업혁명이 발생하기에는 딱 많은 조건이었다. 온대와 아열대 기후라서 겨울에도 춥지가 않았다.
따라서 많은 야생식물들이 작물화 되었다.
그러나, 기후가 점차 사막화 되면서, 높은 인구밀도를 자랑하던, 모여 살던 민족들이 그곳을 떠나기 시작했다.
많은 민족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살아남은 민족은 세 개로 나뉜다.
쿠르드족은 그곳에 여전히 남아 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터키 이란 이라크에 흩어져 살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은 북쪽으로 이주해서 겨우 국가를 이루었다.
유대인은 팔레스타인으로 이주 했으나,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로마제국의 박해를 피해서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400년 동안 하다가 모세에 의해 다시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동로마제국 오스만투르크에 의해 고향 땅을 등지고, 아프리카 북부 지중해 연안을 따라서 이베리아 반도를 거쳐 유럽으로 가거나, 터어키를 거져 동유럽과 러시아로 이주 하기도 했다.
유럽으로 이주한 유대인은 지독한 차별과 멸시와 핍박을 받았다. 땅이 없어 농사를 지을 수 없었으며, 길드에 가입할 수 없어 직업을 가질 수 없었다.
그들이 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독교 국가들이 꺼려 했던 고리대금업이었다. 그와 함께 귀금속 세공업이 직업이 되었다. 고물상을 하기도 했다.
유대인 공동체를 디아스포라 라고 한다. 땅을 가지지 못한 유대인의 떠돌이 국가가 디아스포라 인 셈이다.
‘Tight fisted’ 라는 말이 있다. 해석하면 유대인들은 한 번 쥔 돈은 절대로 놓지 않는다는 뜻이다.
돈은 놓아버리는 순간 그들은 생존이 불가능 하기에 당연하다.
유대인들은 2 차 대전후, 팔레스타인에서 강대국간의 이해관계 사이를 비집고 들어 겨우 이스라엘을 건국한다.
떠돌이 생활을 하던, 유대인, 쿠르드족, 아제르바이잔은 수 많은 제노사이드를 당하며 겨우 살아왔다.
국경과 종교는 별로 상관도 없이 오로지 살아남는 것이 목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유대인은 고리대금업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로, 현재는 오트피낭스로 금융 마피아가 되어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다.
쿠르드족은 여전히 떠돌이 신세다.
아제르바이잔은 동유럽 카스피해 연안에 겨우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스라엘은 국경 문제로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던 아랍족과 여전히 전쟁 중이다.
떠돌이 신세는 아니었지만, 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도 국경과 민족이 일치하지 않아 수 많은 전쟁을 겪어야 했다.
이 문제는 중세 유럽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일어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초 유대인들은 자신들만의 국가를 만들고자 했다.
그리하여,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선포됨으로써 이스라엘은 세계 최초의 유대인 국가가 탄생하였다.
이스라엘의 탄생은 단순한 정치적인 결정이 아니었다.
이스라엘의 탄생은 유대인들에게 대학살, 차별, 박해와 같은 유대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와 국토의 복원, 역사적 지위 회복 등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일어난 결정입니다.
이스라엘의 탄생 이후, 중동 지역에서는 이슬람국가들과의 갈등과 전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전쟁은 이슬람 국가들과 이스라엘 사이에 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 세계적인 국가들과의 갈등으로까지 이어져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는 복잡한 이슈다.
이슬람 국가들은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으며, 이를 무시하고 이스라엘과 인접한 지역에서 국경 침해, 테러 등의 공격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대인들은 국경을 보호하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군사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또한, 이슬람 국가들과 이스라엘 사이의 갈등은 종교적인 차원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슬람 국가들은 이스라엘이 기독교와 유대교가 성지인 예루살렘을 점령한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교적인 역사적 사실과 민족주의적인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치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슬람 국가들과의 갈등 이외에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과의 갈등과 유대인들과 아랍인들 간의 갈등도 많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의 국경을 인정하지 않으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지구력이 짧은 갈등은 세계적인 이슈로 언제든지 부상할 수 있다.
또한, 이슬람 국가들과의 갈등과 팔레스타인과의 갈등은 세계적으로 보면 이슬람 국가들과 이스라엘 사이, 유대인들과 아랍인들 간의 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스라엘 탄생은 영국과 미국의 국익을 위해 2000년 이상 팔레스타인에서 살고 있던 원주민들을 쫒아 낸 것으로부터 출발합니다.
국익과 종교와 영토의 문제는 아마 영원히 풀리지 않는 사피엔스의 숙제이고 지구 멸망의 원인이 될 것입니다.
이스라엘 국립대학의 유능한 학자 ‘유발 하라리’는 조국의 아픔이 어쩌면 세계 멸망의 원인이 될 것임을 직감했을지도 모릅니다.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에서 그것을 예견했는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