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인간의 말을 지배하는 특이점의 세상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는 언어 테크의 시대. 우리에게는 새로운 문해력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언어학자 옥스퍼드대 조지은 교수의 인사이트!
언어는 가장 먼저 특이점이 찾아오는 분야가 될 것이다
ㅇ 친구 대신 로봇과 대화하는 아이들
ㅇ AI의 실시간 통역과 번역기의 등장으로 폐지되는 어문학과들
ㅇ 인간의 말을 학습하는 콜센터 상담 로봇
ㅇ 이모지의 기업 독점으로 소통에도 돈을 써야 하는 현대인들
ㅇ 미래 단어를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
ㅇ 기존 문법을 대체하는 AI 문해력과 언어 생성력
ㅇ 옥스퍼드 영어사전의 한국어 단어와 세계로 퍼져나가는 한글
인공지능으로부터 인간 언어를 보호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
첫째, 실용적 다양성이다. 우리 대화에 내재하는 미묘한 의미와 감정 다양성은 아직 인간만이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이다
둘째, 언어 다양성이다. 다양성은 우리의 언어가 쉽게 복제되거나 인공지능에 의해 지배되는 것을 막는 방패역할을 한다
셋째, 인간 언어는 본질적으로 불완전하며 유창하지 않는 특징을 다양하게 가지고 있다.
1. 언어의 경계가 무너진다 : 슈퍼 언어의 시대가 열린다. 미래의 영어, 새로운 영어. 언어도 이제는 하이브리드 시대. 전 세계를 촘촘히 연결하고 무한히 쪼개는 핵언어
ㅇ 언어의 한계는 우리 세계의 한계를 의미한다.
ㅇ 2021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새롭게 등재된 한국어 단어 26개 ; 애교. 반찬. 불고기. 치맥. 대박. 동치미. 파이팅. 갈비. 한류. 한복. 잡채. 케이드라마. 김밥. 콩글리시. 한류. 만화. 먹방. 누나. 오빠. 피시방. 삼겹살. 스킨십. 당수도. 트로트. 언니
2. 한류의 언어 : '블랙핑크'는 한국어인가, 영어인가? 한류가 세계에 전하는 메시지: 문화 융합. 콩글리시도 이제 영어의 일부. 한글이 한국인에게 외래어가 된 세상. 새로운 한류의 탄생, 한글. 신조어의 킹, 한글. 엘리트의 언어에서 대중의 언어로. 한자문화권에서 한류 문화권으로 전환하는 흐름.
3. 사유화된 언어들 ; '짜파구리'의 주인은 누구인가. '보라해'라는 단어는 주인이 있습니다.
ㅇ 말과 용어는 우리의 사고방식을 형성하고,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한다
ㅇ 미래 언어 트랜드 ; 상표와 특허로 사유화되는 언어
4. 멀티 모달 교육 ; 미래 언어의 문해력이 필요하다. 멀티 모달 시대의 언어능력. 미래 언어의 유일한 규칙: 문법 없음.
ㅇ 미래의 문맹자는 읽고 쓸 줄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배우고, 배움을 잊고, 새로 배울 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킬 것이다
ㅇ 디지털 네이티브 ; '컴퓨터, 휴대전화를 비롯한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자란 사람들'로 정의
ㅇ 멀티 모달 ;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같은 여러 형태로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하는 기술
5. AI와 언어 학습 : AI가 언어를 생성할 수 있을까?- 있다. 점점 희미해지는 인간과 AI의 경계. AI와의 공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 AI는 최고의 외국어 교사. 미래 세대와의 소통에 꼭 필요한 AI 문해력. 언어 학습의 게임 체인저. 인간을 대체하는 AI 대화 상대.
ㅇ 소셜 챗봇 : 사용자의 자연어 입력에 반응하여 대화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통틀어 말한다.
6. 미래 세대의 문해력 : 스크린 문해력이 중요한 시대. 미래 세대는 미래 언어로 책을 읽는다. 서로의 언어를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미지 언어의 세상은 반전된 바벨탑의 세상이다.
문해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 : 과거에 문해력이란 읽기와 쓰기에 국한되었지만, 인공지능 시대의 문해력은 디지털 중심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인공지능 및 스크린 문해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7. 스크린 너머의 세상으로 : 팬더믹이 가속화한 디지털 패러독스. 3초까지 줄어버린 집중력 지속 시간. 스크린 너머의 세상이 더 중요하다.
ㅇ 정보 소비 방식의 변화로 주의력 집중 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 교육 방식도 변해야 한다.
8. 새로운 정체성의 시대 : 디지털 가면을 쓴 미래 언어. 나와 똑같이 말하는 디지털 휴먼의 시대가 오고 있다. 인공지능은 흉내 내지 못하는 인간만의 언어.
미래 언어의 딜레마, 디지털 휴먼과 디지털 페이크 - 인공지능을 통한 영상, 목소리 합성 기술 등은 날이 갈수록 더 다양해지고 있고 발전하고 있다. 이런 시대에 진실 된 정보를 찾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우리는 큰 위험에 빠질지도 모른다
9. 1퍼센트의 인간다움 : AI의 한국어 울렁증. 한국어 존댓말은 미래 언어에도 그대로 남아 있을까? 인간 언어의 끌리는 맛. 번역에 담긴 인간감정의 미학. 인공지능으로 번역되지 않는 인간만의 언어.
ㅇ 최소한 두 가지 언어를 할 줄 알아야 그중 한 언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