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란지교의 뜻. (국어사전에서 찾음)
지란지교(芝蘭之交)[명사] [지초(芝草)와
난초 같은 향기로운 사귐이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
고도 높은 사귐’을 이르는 말.
*지란지교의 유래.
공자가 "선한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은 향기로운 지초(芝草)와 난초(蘭草)가 있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 오래되면
그 냄새를 맡지 못게되니, 이는 곧 그 향기와 더불어 동화(同化)된 것이고, 선하지
못한 사람과 같이 있으면 절인 생선 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나쁜 냄새를 알지 못하나
또한 그 냄새와 더불어 동화된 것이다.
붉은 주사(朱砂)를
지니고 있으면 붉어지고, 검은 옻(漆)을 지니고 있으면 검어지게 되니, 군자는 반
드시 그와 함께 있는 자를 삼가야 한다." 고
말해 유래 된 것이라고 합니다.
출처 :
대전아름다운동행 카페에서 무심이님
芝 : 지초 지
蘭 : 난초 란
之 : 어조사 지
交 : 사귈 교
그대로 옮기면 지초와 난초의 사귐을 뜻한다. 지초와
난초는 둘 다 향기로운 꽃으로, 지란지교는 곧 지초와 난초처럼 맑고 깨끗하며 두터운 벗 사이의 사귐을 일컫는다. 《명심보감(明心寶鑑)》〈교우(交友)〉편에 나온다.
'공자(孔子)는 "선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향기를 맡지 못하니, 그 향기에 동화되기 때문이다(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 卽與之化矣). 선하지 못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치 절인 생선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악취를 맡지 못하니, 또한 그 냄새에 동화되기 때문이다(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久而不聞其臭 亦與之化矣). 붉은 주사를 가지고 있으면 붉어지고, 검은 옻을 가지고 있으면 검어지게
되니, 군자는 반드시 함께 있는 자를 삼가야 한다(丹之所藏者赤 漆之所藏者黑 是以 君子必愼其所與處者焉)"라고 말하였다.'
지란지교는 여기서 유래한 성어이다. 공자의
말처럼 벗을 사귈 때는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롭고 맑은 사귐을 가지라는 뜻이다. 이와 같이 벗 사이의 변치 않는 사귐, 두터운 사귐을 일컫는 한자
성어는 많다.
관포지교(管鮑之交), 교칠지교(膠漆之交), 금란지계(金蘭之契:金蘭之交·金石之交·金石之契·斷金之契·斷金之交), 막역지우(莫逆之友), 문경지교(刎頸之交), 백아절현(伯牙絶絃:知音), 수어지교(水魚之交), 죽마지우(竹馬之友:竹馬故友) 등도 모두 벗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