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선주들의 LNG선 투기발주 재개
10월까지 이미 수주목표를 30% 초과 달성한 한국 조선업은 11월에 그리스 선주들의 LNG선 투기발주를 맞이했다. 11월 5일에 공시된 현대중공업 그룹의 LNG선 3척 수주는 그리스 Capital Gas의 투기발주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대우조선해양도 11일에 Maran Gas로부터 2척(옵션 2척 별도)을 수주 공시했다. 11월 말에는 대우조선해양이 BW LNG로부터 확정 2척과 옵션 2척을 추가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Gaslog가 LNG선 투기발주를 위해 대우조선해양과 4척, 삼성중공업과 2척 발주를 협상 중인 것으로 외신은 전했다. 또한 그리스 Minerva, Alpha Gas 등도 LNG선 건조를 동북아 조선사들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했다.
현재 57척의 한국 LNG선 수주는 곧 사상최대 58척을 상회할 것
대우조선해양의 BW LNG 2+2척 수주설까지 포함할 경우 올해 한국 조선업의 대형(140k-CBM 이상) LNG선 수주는 57척이고, 곧 사상최대 수주를 기록했던 2018년의 58척을 경신할 예정이다. 최근 카타르의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6척 Berth Declare가 있었지만 본계약은 내년 초라고 가정하더라도 앞서 제시한 그리스 선주들 주심의 대규모 신조 발주 협의들 때문에 신기록 경신이 임박했다.
발주 배경: 1) 운임 강세, 2) 2025년 슬롯 부족 등으로 서둘러
그리스 선주들의 투기발주 배경은 1) 운임 강세, 2) 2025년부터의 슬롯 부족에 따른 리세일 및 신조선가 상승 기대감, 3) CO2 규제에 따른 중장기 LNG선 선복 쇼티지 때문이다. 1) 최근 스팀터빈 LNG선조차 스팟 운임이 200,000달러/일을 넘어서는 등 초강세를 띄고 있다. 2) 카타르의 1차 발주 물량이 2025년부터 인도가 시작되고 현지 이슬람 단체의 테러로 불가항력을 선언해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Mozambique LNG도 인도 시점이 2025년부터로 밀릴 것으로 관측된다. 즉, 이미 2024년 인도물을 모두 확보한 한국 조선업의 2025년 인도 슬롯까지 희박해진다. 향후 LNG선 시황에 따라 선박 쇼티지가 연출되고 투기발주한 물량들의 리세일 선가 및 신조선가 상승, 그리고 향후 고수익성 용선으로 연결 지을 수 있다.
(계속)
한투 최광식
*** 본 정보는 투자 참고용 자료로서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