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백과
곡우
穀雨
요약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4월 20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30°에 해당할 때이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내려 여러 가지 작물에 싹이 트고 못자리를 내는 등 농사가 시작된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여서 곡우물을 받아 먹는 풍습이 있다. 곡우 전에 따서 만드는 차를 '우전차'라고 하여 높이 쳤고, 곡우 무렵 잡히는 조기는 맛이 있어 '곡우사리'라고 따로 불렀다.
개요
24절기 중 여섯 번째 날로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절기.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된다. 곡우는 태양의 황경이 30°인 날로 대개 4월 20일이나 21일이다. '곡우'는 곡식이 자라는 데 도움이 되는 봄비가 내리는 날이라는 뜻이다. 이 때부터 농촌에서는 못자리를 준비하며 본격적인 농사철로 접어들고, '곡우물'이라 하여 부쩍 나무에 오른 수액을 받아 먹기도 한다. → 절기
유래
'곡우'이라는 말은 봄비(雨)가 내려서 곡식(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중국의 전통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등 여러 문헌에 곡우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초후(初候)에는 연못에서 자라는 일년생 풀인 마름의 싹이 트고, 중후(中候)에는 산비둘기가 깃털갈이를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뽕나무를 좋아하는 여름 철새인 후투티가 뽕나무에 날아든다. 곡우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가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한국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의 절기는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의 각 지역 기후와는 차이가 있다.
풍속
농촌에서는 곡우에 모든 곡물이 잠에서 깨어 자란다고 보아, 이 무렵에 볍씨를 물에 담그어 못자리를 마련하면서 본격적으로 농사일을 시작한다. '곡우'라는 이름에 비가 들어 있듯, 이날엔 비나 물과 관련한 속담이나 풍속이 많다. "곡우에 가뭄이 들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거나,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가 좋지 않다" 등 농사와 관련한 속담들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이날 비가 오는 것을 좋게 보기도 하고 나쁘게 보기도 한다. 이날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른다는 말도 있다.
곡우를 기준으로 그 전에 잎을 따서 만든 차를 '우전차(雨前茶)'라고 하고, 그 후에 만든 차를 '우후차(雨後茶)'라고 하는데, 우전차의 품질을 더 높은 것으로 보았다. 곡우날 만든 차는 '곡우차'라고 한다. 곡우 무렵에는 조기가 서해를 타고 북상하여 충청남도 서쪽 격렬비열도 인근까지 올라와서 많이 잡혔는데, 이때 잡힌 조기가 살이 연하고 맛이 있어 따로 '곡우사리'라고 불렀다.
곡우에는 나무에 수액이 많이 오르는데, 이 수액을 '곡우물'이라고 하여 받아 먹는다. 전라남도나 경상남북도, 강원도 등지에서 사람들은 곡우물을 먹으러 깊은 산이나 명산을 찾기도 한다. 곡우물은 주로 산다래나 자작나무, 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나오는 물을 말한다. 곡우물을 먹기 위해서는 곡우 전에 미리 상처낸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날 동안 수액을 받는데, 위장병이나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