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좌우한 해류의 존재감
김인현 교수(고려대 교수)
항해중 해류 지도를 찬찬히 읽어 본다. 범선이 항해시 대만을 지나면 구루시오를 타고 동으로 가게 됨을 알게 된다. 규슈로 자연스레 항로가 만들어진다. 유럽 사람들은 15세기부터 바다를 통해 인도로 가는 길을 찾아나섰다. 1490년대 바스코다가마 등이 인도를 발견했다. 이어서 더 동쪽으로 항해를 해나갔고 중국과 일본에 도달했다. 일본은 이 구루시오 덕분에 네덜란드의 문물을 받아들였고 1592년 조총을 사용할 정도가 되었다. 그 후에도 상선을 통해 서양문물을 받아들였고 19세기 중반에는 서구화에 대한 열망이 높았다. 명치유신이 규슈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난 것도 우연이 아니다. 반면 우리나라가 위치한 한반도는 일본 규슈보다 위도가 높다. 구루시오 때문에 그 해류 흐름의 북쪽에 있던 한반도는 유럽의 상선들이 발견하기가 어려웠고, 난파를 당한 경우에만 방문이 가능했다. 하멜이 대표적이다.
해류로 인해 서양 배들이 쉽게 닿을 수 있었던 지역은 유럽문명을 일찍 받아들였다. 이렇듯 해류는 세계사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했다. 이제 문명의 전달은 선박보다는 항공기가 주된 역할을 한다. 인터넷이 오히려 대세이다. 더 이상 해류가 문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존재감이 급격히 떨어졌다.
그렇지만 여전히 해류는 선박의 항해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선박은 1시간에 통상 12노트, 하루에 약 280마일을 가게 된다. 미국서부까지는 약 5600마일이라면 20일 항해를 해야한다. 하루에 기름을 40톤을 사용하고 1톤에는 300달러라고 보자. 그러면 하루 기름값이 12000달러(1천 3백만원)이 든다. 만약 14.4노트로 항해한다면, 항해시간이 20%줄어든다. 하루 200만원씩 절약이 된다. 12노트를 14.4노트로 항해할 수 있다면 우수한 선장임이 틀림없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 해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미국으로 향하는 태평양바다에는 뒤에서 밀어주는 해류가 있다. 이 해류를 타면 2노트가 더 난다. “14노트가 납니다”고 선장에게 보고를 한다. 회사에 항해보고를 하는 선장도 2등항해사인 나도 싱글벙글이다.
또 다른 방법이 있다. 파도와 마주치는 선박의 앞부분을 전구와 같이 둥글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선박이 파도와 만나는 저항이 줄어들어 속도를 더 낼 수 있다. 실제로 엔진으로 항해하지만 돛을 일부달아서 순풍이 불면 바람의 힘을 더 받아서 항해할 수 있는 선박이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적도 지방에 범선이 도달하면 바람이 없으니까 선박은 제자리에 서있었다고 한다. 한시라도 빨리 적도지역을 피하기 위하여 돼지를 바다에 바치는 제사를 지냈고, 이것이 적도제의 유래가 되었다. 오늘날도 선박은 적도를 지날 때 돼지머리를 두고 바다의 용왕님께 제사를 지낸다. 그런데, 어떻게 적도지역을 빠져나왔을까? 바람은 없지만, 해류의 흐름이 있기 때문에 해류를 타고 조금씩 선박은 이동했을 것이다.
아무리 엔진이 발달되어 인위적인 힘으로 선박을 움직이지만, 여전히 해류는 바다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새것이 좋지만 옛것을 가벼이 여겨서는 안된다. 그것이 자연일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는 교훈을 “해류”를 통해서 얻게 된다.
#김인현 #해류
첫댓글 해류가 선박 운행에 지대한 공을 세우고 있군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교수님~
일본은 섬나라라는 한계를 컴플렉스로 느껴 침략으로 이를 극복하려 했지만
딴은 섬나라이기에 서구 근대 문물을 빠르게 수용할 수 있었군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발전으로 가는 좋은 노력이지만 남을 밟아가며 가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일러주고 싶어요
해류에 대한 새로운 지식 감사합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교수님 감사합니다 ~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