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cumulation & Distribution>
A/D 라인은 주가와 거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거래량이 많을수록 주가의 움직임을 더욱 신뢰할 수 있다는 기본 원리를 토대로 하고 있다.
공식 :
((종가-저가)-(고가-종가)) * 거래량 + 전일의 A/D값
A/D Line의 분석은 거래량의 흐름을 설명하는 OBV(On Balance Volume)을 개조하여 만든 지표로서 주가와 거래량의 관계를 서로 비교하여 주가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A/D Line이 상승하게 되면 매수세력이 강화되며, 거래량의 대부분은 주가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한다. 반면 A/D Line이 하락하게 되면 매수세력이 분산되고 거래량의 대부분이 주가 하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고 판단한다. 또한 A/D Line과 주가사이의 Divergence(가격이 상승하는데 A/D Line은 하락하는 경우나, 가격은 하락하는데 A/D Line은 상승하는 경우)는 조만간 주가의 추세변화가 나타날 것이라 해석한다.
<ATR (average True Range)>
ATR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 지표는 침체국면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주가가 높은 수준에 이르거나 안정적인 국면에 도달하면 종종 낮은 수준에 머무는 특성이 있다.
계산방법은 먼저 True Range를 계산한 다음 평균을 구하면 된다. 다음의 세가지 값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것이 True Range이다.
(금일의 고가 - 금일의 저가) :
Close-Low
(전일의 종가 - 금일의 고가)의 절대값 :
Abs(Ref(Close,-1) ? High)
(전일의 종가 - 금일의 저가)의 절대값 :
Abs(Ref(Close,-1) ? Low)
이러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찾고 평균한 것이 ATR이다.
해석방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Average True Range는 주가가 낮은 바닥 시세의 경우에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주가가 급격히 변동하기 직전까지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이 지속되어 온 기간에는 그 값이 낮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또한 ATR은 다른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들인 표준편차, Standard Deviation에서 사용되는 기법들을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딩 시스템의 기본은 신호가 발생하는 대로 거래하는 것이다. 특히 손실이 발생한 경우 강제적으로 청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투자방법에 비해 위험관리가 뛰어나다.
<Bollinger Bands>
Bollinger Bands는 Envelop의 일종으로 시간에 따른 가격 변화의 정도, 즉 변동성을 반영한 지표이다. Envelop가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하 고정된 백분율로 정해진 것에 비해 Bollinger Bands는 이동평균을 중심으로 상하 그 표준편차 거리에 밴드들이 구성된다. 표준편차는 표준편차는 결국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의 측정치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Bollinger Bands는 가격변동이 심한 기간에는 폭이 넓어지는 자기조정의 기능을 발휘한다.
특성을 살펴보면,
변동성이 줄면서 밴드 폭이 줄어든 후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가격이 밴드 밖으로 나가면 추세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한 쪽 밴드에서 시작한 가격 움직임은 다른 한 쪽 가격 밴드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중심선에서 한차례 조정을 받는 경향이 있다.
Bollinger Bands의 중심선은 이동평균선을 의미하므로 이동평균선의 기간 값을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자신의 매매스타일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간이 다른 2종류의 Bollinger Bands를 가지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도 유효하다.
<CCI (Commodity Channel Index)>
Commodity Channel Index는 주가평균과 현재 주가 사이의 편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시장이 사인(Sign)곡선과 비슷한 순환적인 패턴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순환패턴을 찾기 위해 고안된 지표이다.
계산 공식은 수학적인 요소가 가미되었으며 살펴보면,
CCI = (MP -MAMP) / (0.015 * MD)
MP(Mean Price) = (고가 + 저가 + 종가) / 3
MAMP = Moving Average Of MP(Mean Price)
MD(Mean Deviation ) = Σ【MP - MAMP】/ n
상수 0.015는 개발자에 의해 정의 값이며 기간 값을 변경 함으로써 단기 및 중장기 분석 가능하다.
해석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Commodity Channel Index가 -100에서 +100사이를 진동하기에 과열지역인 +100이상을 벗어 낫다가 다시 +100을 하향하면 매도하고 침체지역인 -100을 벗어 났다가 다시 -100을 상향하면 매입하는 방법이 있다.
0선을 기준으로 상향돌파하면 강세 신호로 인식하고 매수의 관점에서, 반대로 0을 하향돌파하면 약세 신호로 인식 매도의 관점에서 대응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Diverg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데 가격과 Commodity Channel Index의 움직임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 추세전환의 신호로 인식하는 방법이다.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
Directional Movement Index는 주가가 추세를 가지고 움직이는 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적용방법을 살펴보면,
Directional Movement Index는 기본적으로 +14일 DI와 -14일 DI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매매를 결정한다.
+DI선이 -DI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할 때 매수하고 +DI선이 -DI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신호이다.
Directional Movement Index에는 고점과 저점을 나타내는 극점(extreme point)이라는 특이한 매매기법이 있는데, 이 기법은 빈번한 매매와 사소한 주가 움직임을 제거 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극점기법은 +DI와 -DI가 서로 교차한 날에 나타난다.
즉 +DI가 -DI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할 경우에 주가의 고점이 나타나고 +DI선이 -DI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할 경우 주가의 저점이 나타난다.
이때 극점을 이용한 매매기법으로는 먼저 +DI가 -DI선을 상향 돌파하여 매수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즉시 매수에 나서기 보다는 +DI선과 -DI선이 서로 교차한 날의 고점 보다 주가가 더 상승하였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매수하는 것이 좋다.
만일 주가가 교차한 날 보다 고점이 높아지지 않으면 즉시 매도하여 보유물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EOM (Ease Of Movement)>
Ease Of Movement는 거래량과 주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Equivolume 차트에서 처럼 이 지표도 주가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거래량이 동반되어야 하는 가를 보여준다.
Ease Of Movement를 계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Midpoint Move =
((금일 고가 + 금일 저가)/2) - ((전일 고가 + 전일 저가)/2)
Box Ratio = 거래량(만주) / (고가 - 저가)
Ease Of Movement = Midpoint Move / Box Ratio
Ease Of Movement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체의 값과 이동평균의 값을 사용하여 함께 분석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석방법을 살펴보면,
Ease Of Movement는 거래량이 적은 상황에서 주가가 상승 중일 때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또한 거래량이 적은 상황에서 주가가 하락 중일 때는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주가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주가가 움직이는 데 대량의 거래량이 동반된다면 수치는 거의 0 선에 가까이 머무른다.
Ease Of Movement는 0선을 상향 돌파하게 되면 매수 신호가 나타나는 데 이후 주가가 더욱 쉽게 상승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0선을 하향 돌파하게 되면 매도 신호를 나타내는 데 이후 주가가 더욱 쉽게 하락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Envelope>
시장 가격의 이동평균선과 이동평균선의 상하 N%선을 동시에 그린 것을 이동평균선에 대한 Envelope 선이다. 이동평균선의 상한선이 저항선으로 하한선이 지지선으로 인식하고 분석하는 지표이다.
상한선 : Moving Average (N) + Moving Average(N) * N%
하한선 : Moving Average (N) - Moving Average(N) * N%
시장 가격의 정상적인 변동폭을 이동평균의 상하한 폭 이내로 정의하여 가격이 상한선에 근접하는 경우 매도 신호로, 하한선에 근접하는 경우 매수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Envelope를 이용한 매매방법을 살펴보면,
1)가운데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경우 매수 시점으로, 하향 돌파한 경우 매도 시점으로 인식하는 방법Envelope선을 벗어난 후 다시 Envelope선을 돌파하는 시점을 매매 시점으로 인식하거나, 지지선 부근에서 매입하고 저항선 부근에서 매도하는 방법이 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MACD는 장단기 두 이동평균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운동량 지표이다. 장기 지수이동평균과 단기 지수이동평균의 차이를 MACD라고 하며, 이 MACD의 지수이동평균을 Signal Line(Trigger line)이라고 한다. 이 두 곡선의 교차점과 가격간의 발산을 이용해서 매매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MACD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기와 단기 두 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 어느 시점에는 서로 교차하게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는 가장 큰 시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단순히 두 이동평균선의 교차점을 매매시점으로 보는 방법의 후행성을 극복시키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인 MACD 트레이딩 규칙은 MACD가 9일 시그널라인을 뚫고 내려갈 때 매도하고 MACD가 9일 시그널 라인을 뚫고 올라올 때 매입하는 것이다. 다음은 선 스타일을 히스토그램 스타일로 변경하여 히스토그램이 천정을 보인 후 하향할 때 매도하는 방법이고 히스토그램이 최저점을 보인 후 상승반전 할 때 매수하는 방법이다.
<Momentum>
Momentum의 공식을 살펴보면,
Momentum = (현재 종가 / 일정 기간전의 종가) * 100
Momentum과 가격 ROC는 가격변동 비율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기본 원리가 같으나, 가격 ROC는 가격 변동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내고 Momentum은 가격의 변동비율 그 자체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Momentum 지표 역시 가격과 지표간의 Divergence 파악이 중요하며 추세전환을 예상할 수 있다.
<Moving Average>
Moving Average은 일정한 기간 동안의 가격의 평균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며 대표적인 추세 지표이다. “이동” 이라는 단어도 평균 변화 혹은 움직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각각의 이동평균에 대한 계산 방법들을 살펴보면
1) 지수 이동평균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 이동평균은 어제의 이동평균 가치에 당일 종가의 퍼센트 적용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9% 지수 이동평균을 계산하기 위해서 먼저 당일 종가에 9%를 곱한다. 즉 어제의 이동평균에 91%를 곱하고 당일 종가에 9%를 곱한 후 이들을 더한다.
식을 살펴 보면,
Moving Average = ((당일종가 * 0.09) + (전일 이동평균*0.91))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퍼센트 보다는 기간으로 표시되는 것이 더 편리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기간을 퍼센트로 자동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만약 21일 지수 이동평균이 필요하면 9%의 이동평균이 계산된다. 기간 수를 지수 퍼센트로 전환하는 공식을 살펴보면,
지수 퍼센트 = (2 / (기간수 +1))
이고 10일 지수 이동평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0.18의 지수를 사용한다.
지수를 기간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음 공식이 사용된다.
기간 수 = (2 / 지수) - 1
2) 단순 이동평균 (Simple Moving Average)
단순 이동평균은 일정 기간동안의 종가를 더하고 기간수로 단순히 나눈 것을 말한다. 결과는 일정 기간 동안의 종가의 평균값이다.
3)시계열 이동평균
시계열 이동평균은 선형회귀 기법을 이용하여 구한다. 직선 회귀선을 연결한 것이 아니라 회귀선의 마지막 점들을 연결한 것이다. 이 이동평균은 때때로 선형 회귀 이동평균 혹은 회귀 오실레이터로 불리운다.
4) 삼각형 이동평균
삼각형 이동평균은 다른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지수 이동평균과 가중 이동평균과 비슷하다. 삼각형 이동평균의 경우 가중치를 대부분 중간 데이터에 부과한다.
삼각형 이동평균은 단순히 이중 평활 단순 이동평균이다.
5) 변동 이동평균
변동 이동평균은 변동성에 기반을 둔 평활화 상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지수 이동평균이다. 데이터가 변동성이 크면 클수록 지수 이동평균에 사용된 평활화 상수는 더 커진다. 평활화 상수가 더 커지면 현재가치에 더 큰 가중치를 두게 된다.
VMA = (0.78 * 변동성 지표 * 종가) + (1-0.078 * 변동성지수) * 전일의 VMA
9일 Chande Momentum Oscillator는 변동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 지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시장은 변동이 크며 따라서 이동평균의 민감도도 증가한다.
6) 거래량 이동평균
거래량 이동평균은 거래량이 가장 많은 날에 가장 큰 가중치를 둔다.
거래량 이동평균을 구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차트의 전 기간에 걸친 거래량의 평균을 구한다. 평균 거래량에 0.67을 곱함으로써 거래 증가량을 계산한다. 각 기간의 실제 거래량을 거래 증가량으로 나눔으로써 각 기간의 거래량 비를 계산한다.
가장 최근 기간 순으로 각 기간의 가격에 기간의 거래량 비율을 곱하고 미리 정한 거래 증가량까지 누적적으로 이 값을 더한다.
<Parabolic SAR>
Parabolic Time/Price System은 Stop 시점을 정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흔히 Stop-And-Reversal(SAR)지표라 한다.
만일 매입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면 가격이 움직이는 방향에 관계 없이 SAR는 매일 상승할 것이다.
SAR의 상승 폭은 가속 변수 값과 연관되어 있다.
Parabolic SAR는 뛰어난 Stop기능을 제공해 준다.
가격이 SAR 아래로 하락할 때 매입 포지션을 정리해야 하고 SAR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매도 포지션을 정리해야 한다.
<Price Oscillator>
Price Oscillator는 기간이 다른 두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나타낸다. 두 이동평균선 차이는 수치 또는 백분율로 나타낸다. Price Oscillator는 MACD와 유사하지만, MACD는 수치로만 나타낼 수 있는 반면 Price Oscillator는 수치와 퍼센트 둘 다 표현할 수 있다.
해석방법을 살펴보면,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시점이라고 본다.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시점으로 본다.
<RSI (Relative Strength Index)>
RSI는 상품 쪽의 거래자들에게 유명한 Oscillator로 현재의 가격 추세가 상승추세라면 얼마나 강력한 상승추세인지, 혹은 하락 추세라면 얼마나 강력한 하락 추세인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RSI = [ n일간의 가격 상승 폭의 합계 /
(n일간의 가격 상승 폭의 합계 + n일간의 주가 하락 폭의 합계) ] x 100
(일반적으로, n일은 9 ~ 14일 또는 25일이 사용된다)
75%이상 : 강세
50%정도 : 보통
25%이하 : 약세
RSI는 가격을 추격하는 Oscillator로 범위가 0에서 100까지 된다. 가장 인기 있는 RSI 분석법 중 한 가지는 RSI가 새로운 고점(저점)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장이 새로운 고점(저점)을 보일 때 RSI는 Divergence를 보인다.
이 Divergence는 추세의 반전에 대한 표시이다. RSI가 최근의 저점 아래로 하락했을 때, 이를 Failure swing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이 Failure swing은 추세의 반전으로 생각할 수 있다.
<Stochastic Oscillator>
Stochastic Oscillator는 기초물 가격이 지난 x기간 동안 어느 거래 범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K parameter 공식은 다음과 같다.
(오늘의 종가) - (가장 최저 %k 기간)
/ (가장 높은 %K 기간) - (가장 최저 %K 기간)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시점으로 본다.
41-38 / 46-38 = 3/8 = 0.375
여기에서 보여주는 0.375은 오늘의 마감이 최근 10일 동안 기초물의 거래 범위 수준이 37.5% 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만일 오늘 마감이 42 였다면, Stochastic Oscillator는 0.50이 됐을 것이다. 0.50은 오늘 종가가 50%에 마감됐다는 것과 10일 거래범위 mid point를 보여준다. 위의 예에서 보여주었던 %K는 1일의 기간을 의미한다. 만일 1보다 높은 가치를 대입한다면, %K의 slowing periods 일수 동안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낼 것이다.
%K의 이동평균은 구체화된 %D 기간의 일수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이 이동평균을 %D라고 부른다.
Stochastic Oscillator는 언제나 0%와 100%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0%는 x기간 동안 기초 물이 거래되어 왔던 것의 가장 낮은 가격으로 마감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100%는 반대의 모습이다.
Stochastic Oscillator는 단기와 장기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단기 Stochastic Oscillator (5-25일)를 띄우게 되면, 3일까지의 slow %K가 인기가 높다.
몇 가지 Stochastic Oscillator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면,
1) 매입은 Oscillator(%K 또는 %D)가 20 밑으로 하락했다가 이 수준 위로 상승했을 때, 매도는 80 이상으로 상승했다가 이하로 하락했을 때 한다.
하지만 장이 과매도/매입 수준에 오는 듯 하기 전에 r-squared나 CMO와 같은 indicator를 사용하여 장의 추세를 파악하는 게 첫 번째 일일 것이다. 만일 이 indicator들이 비추세적 시장을 제시한다면, 과매도/매입 수준에서는 가장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본다.
추세가 있는 장이라면, Oscillator를 사용하여 추세의 방향을 인지하여 들어간다.
2) %K 선이 %D 이상으로 상승할 때 매입하고, %K가 %D 이하로 하락할 때 매도한다. Divergence를 찾는다.
이 지점이 가격이 새로운 고점을 다양하게 만들고 Stochastic Oscillator가 최근의 고점 돌파에 실패한 지점이다.
<Volume Oscillator>
Volume Oscillator는 기간이 다른 두 거래량 이동평균의 차이를 나타낸다. 두 이동평균 사이의 차이는 수치 또는 퍼센트로 나타낸다.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치에 의한 Volume Oscillator계산 :
단기 이동평균에서 장기 이동평균을 뺀다.
Volume Oscillator = 단기 이동평균 - 장기 이동평균
2) 퍼센트에 의한 Volume Oscillator계산 :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과의 차이를 단기 이동평균선으로 다시 나눈다.
Volume Oscillator = [ (단기 이동평균 - 장기 이동평균) / 단기 이동평균 ] X 100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시점으로 본다.
Volume이 증가함으로써 단기 volume 이동평균이 장기 volume 이동평균 위로 상승할 것이다. 이것은 가격이 상승할 때,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이동평균 위로 상승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렇게 전체 거래량이 증가 또는 하락 추세인지는 두 volume 이동평균의 다양한 가격의 차이점을 보면 알 수 있다. Volume Oscillator가 0 이상으로 상승할 때 단기 거래량 이동평균은 장기 거래량 이동평균 위로 상승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단기 거래량 이동평균의 추세가 장기 거래량 이동평균의 추세보다 높다고 하겠다.
많은 방법으로 거래량 추세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나 가장 흔하게 쓰이는 방법으로, 가격의 상승은 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한다는 사실이다. 가격 하락에 따르는 낮은 거래량의 장은 강한 장이다.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하는데 거래량이 감소하면, 장이 약함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이론은 다음의 이론을 말해 준다. 가격의 상승이 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한다는 것은 계속적인 상승 장으로 보다 많은 매수발생을 암시한다. 이와 반대로, 증가하는 거래량에 따른 가격의 하락은 많은 매도로 하락 장을 기대할 수 있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성공투자하세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 자료로 스크랩 해갑니다.
바쁜 시간 내셔서 자료 올려주시어 더욱 열공하겠습니다. 고마우셔랑~~^^캐쉬플로우님 화이팅 ^^
화이팅!^^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