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셀프뷰티족의 증가로 틈새시장으로 떠오른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
- 체험·시연이 중요한 제품 특성 고려한 유통 채널 선택 및 마케팅 전략 필요 -
중국 내 인기 뷰티 디바이스 기기
자료원: 샤오홍슈(小红书)
□ 놓치지 않을거에요, 중국 홈 케어 열풍
ㅇ 홈 뷰티란 홈(Home)과 뷰티(Beauty)의 합성어로, 전문 샵에 가지 않고 기구를 사용해 집에서 직접 외모를 관리하는 것을 뜻함.
ㅇ 중국 구매층의 소비 업그레이드 및 외모에 대한 관심 증대로 중국은 현재 세계 2위의 뷰티소비국으로 거듭남.
ㅇ 특히 트렌드에 민감하고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층들 사이 집에서 직접 관리하는 ‘셀프 뷰티족’이 늘어나며, 적은 돈으로 에스테틱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뷰티 디바이스의 수요가 크게 증가함.
□ 중국 뷰티 및 뷰티 디바이스 시장
ㅇ 뷰티 열풍 중국, 세계 뷰티시장 2위로 거듭나며 안정적 성장 중
-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뷰티 시장 규모는 4600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2023년 530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 기존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으로 이원화돼있는 뷰티시장이 스킨케어, 메이크업 및 뷰티 디바이스의 삼중체제로 전환되는 추세, 이에 따라 가정용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음.
2014~2017년 글로벌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
자료원: GBI 리서치,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 중국 뷰티시장은 지난 5년간(2010~2015년) 연평균 10% 성장률을 기록, 2017년 534억9440만 달러로 세계 2위를 차지함. 2021년까지 연평균 5.05% 성장세를 보이며 545억98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
2017년 전 세계 상위 10위 국가별 뷰티시장 규모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코리아
ㅇ 편의성에 가성비까지 갖춘 홈 뷰티 디바이스는 중국 소비자들의 이목을 사로잡으며 빠르게 성장 중
- 현재 중국의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뷰티,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제약 등 다방면의 기업들이 시장 진입에 가세해 치열한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대중화 초기 단계
-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의 2009~2014년 개인용 뷰티 디바이스 판매 성장률은 270%에 달하며, 2020년 시장 규모는 약 3000억 위안으로 확대될 전망
- 특히 경제 발전 지역인 화남(华南), 화동(华东), 화북(华北)지역의 점유율이 전국 85%를 차지하며 뷰티 디바이스 시장 선도
- 주요 소비군은 외모관리에 신경쓰고 트렌드에 민감한 85허우(85后, 중국의 1985년대 이후 출생자들)와 90허우(90后, 중국의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임.
2017년 중국 퍼스널 뷰티기기 구매 연령대 분석
자료원: 아이리서치(iReaserch)
ㅇ 뷰티 디바이스의 주요 소비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뤄져
- 소비자들은 주로 SNS[웨이보(微博), 샤오홍슈(小红书) 등]를 통해 제품정보 및 사용 후기를 접하고 뷰티 콘텐츠를 소비함.
- 기기의 종류와 기능이 세분화되면서, 자신의 피부 고민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SNS상의 뷰티 관련 콘텐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인플루언서뿐만 아니라 다수의 일반 유저들은 사용 before & after, 기기 사용법 및 최신 트렌드 제품 소개 등 뷰티 콘텐츠를 업로드하며 활발히 정보를 공유함.
668만여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연예인 린윈(林允)의 뷰티 콘텐츠
자료원: 샤오홍슈(小红书)
ㅇ 로컬브랜드보다 수입브랜드가 강세
- 중국 홈 뷰티기기 시장의 80%는 유럽, 일본, 미국 등 중고가 가격대의 수입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 또한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품질, 성능 면에서 우수한 유명 브랜드를 선호
- 중국의 대표적 해외직구플랫폼인 톈마오궈지(天猫国际) 내 2017년 수입 뷰티 디바이스 거래량 700% 증가, 거래액은 동기대비 8배 성장하며 최근 몇 년간 폭발적 성장을 이룸.
- 중국 자국 미용기기 브랜드는 비교적 중저가로, 기술 수준 및 제품 성능이나 브랜드 파워에서 해외상품보다 경쟁력이 약함. 하지만 최근 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뷰티기기시장에 뛰어들며 중국인들의 피부 특성을 반영한 중고가 가격대의 제품을 출시하며 중국 뷰티 디바이스 산업 발전을 부추기고 있음. 예로, 중국 유명 연예인 판빙빙(范冰冰)이 직접 론칭한 홈 뷰티기기가 톈마오(天猫), 샤오홍슈(小红书) 등에 입점해 판매 중
대륙의 완판녀 ‘판빙빙(范冰冰)’이 직접 론칭한 뷰티브랜드 ‘FANBEAUTY’ 공식계정
자료원: 웨이보(微博)
□ 중국 홈 뷰티 관련 제품
ㅇ 중국 소비자들의 주로 사용하는 뷰티 디바이스 제품군을 바탕으로, 크게 ①스킨 ②구강 ③바디,네일 ④헤어 총 4가지로 분류 가능
ㅇ 주로 유럽, 일본, 미국 제품이 강세이며 일반적으로 2000위안 이상의 중고가 가격대 상품이 포진해있음.
① 스킨
주요 스킨케어 기기
제품명 | 국가/가격 | 기능 및 특징 |
포레오 진동클렌저 | 스웨덴 1300 위안 | - 피부 속 미세먼지, 메이크업 잔여물 등을 딥 클렌징 해주는 진동 클렌져 |
이데아루(Exideal) LED 미용기 | 일본 | - 4가지 빛파장, 280개의 LED로 이루어진 얼굴 및 신체 부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LED 뷰티 디바이스 - 7가지 불빛 패턴으로, 피부 고민에 따라 사용 시간 및 부위를 다르게 하여 사용 가능 |
DPC 스킨아이론 | 한국 1889 위안 | - 기기 하나로 미세전류, 진동, 온열, 음이온, LED 등 5가지 기능을 한 번에 누릴 수 있는 토털 케어 디바이스 - 피부에 화장품의 좋은 성분이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이온 기능을 도입했으며LED 빛이 긴장된 피부를 풀어줌. |
TriPollar stop 홈고주파케어기기 | 이스라엘 2988 위안 | - 주름, 트러블 등에 개선 효과가 있는 고주파 케어기기 - 3세대 고주파 기술로 피부층에 열을 주어 콜라겐 재생을 촉진해 주름개선과 리프팅 효과 제공 |
자료원: 각 제품 홈페이지 참고,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② 구강
주요 구강케어 기기
제품 | 국가/가격 | 기능 및 특징 |
울트라 워터픽 가정용 구강세정기 | 미국 999 위안 | - 치아와 잇몸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주는 신개념 구강세정기 - 분당 1,200회의 강력한 맥동수압으로 잇몸하부 및 치아 사이의 철저한 세정과 마사지를 통해 가정에서도 건강한 구강 관리 가능 |
PHILIPS 음파 칫솔 | 네덜란드 599 위안 | - 최첨단 음파 기술로 잇몸과 치아를 부드럽게 관리해주는 전동칫솔 - 음파 칫솔모 움직임으로 미세 거품을 치아 사이에 침투시켜 미백 및 마사지 효과 제공 |
자료원: 각 제품 홈페이지 참고,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③ 바디, 네일
주요 바디,네일 케어 기기
제품 | 국가/가격 | 기능 및 특징 |
OMRON 저주파 자극기 | 일본 458 위안 | - 전기 자극을 통해 어깨, 허리, 팔 등의 결림과 통증을 완화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시키는 가정용 저주파 자극기 - 심플한 조작성과 신체 부위별 선택 모드 및 강도 조절 가능 |
PHILIPS 샤티넬 모근제모기 | 네덜란드 1096 위안 | - 기기하나로 제모와 각질제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셀프 모근제모기 - 내장 조명, 회전식 원형 디스크를 이용한 초밀착 제모 기술로 자극 없이 부드럽고 매끈한 피부 케어 가능 |
UV sun5 LED 젤네일램프 | 중국 369 위안 | - 48W, 36개의 LED 램프로 혼자서도 쉽게 젤네일을 완성할 수 있는 젤네일 램프 - 2중 UV/LED 광원으로 빠르게 굳힐 수 있으며 디지털 윈도우를 통해 큐어링 타임 실시간 확인 가능 |
자료원: 각 제품 홈페이지 참고,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④ 헤어
주요 헤어케어 기기
제품 | 국가/가격 | 기능 및 특징 |
파나소닉 나노케어 헤어드라이어 | 일본 719 위안 | - 증기의 1000분의 1보다 작은 크기의 플래티넘 이온을 발생시켜 모발에 강한 탄력을 주는 헤어 드라이기 - 플래티넘 이온이 머릿결을 코팅시켜 수분 함량이 유지되도록 돕고, 자외선으로 인한 모발 손상을 완화시킴. |
PHILIPS 케어 스트레이트너 | 네덜란드 299 위안 | - 온도유지 센서와 세라믹 코팅 열판의 조합으로 케어와 스트레이팅 효과를 제공하는 헤어 스타일러 - 모발 굵기에 따라 온도 설정이 가능하며 특수 코팅 열판과 모발의 접촉만으로 최대 6배 음이온을 방출해 정전기 제거 및 큐티클 정리에 효과적 |
HairMax Ultima9레이저 빗 | 미국 2880 위안 | - 초저출력 레이저를 통해 모발 재생 및 두피 영양 공급의 기능을 갖춘 레이저 빗 - 두피와 모공세포에 활력을 주어 건강한 모발이 자랄 수 있는 환경 조성 |
자료원: 각 제품 홈페이지 참고,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 인터뷰
ㅇ 톈진 대형 G 쇼핑몰 내 가전제품 L스토어 점장
Q1. 현재 뷰티 디바이스 판매 현황 및 소비자 반응이 어떻게 되는가? Q2. 뷰티기기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의 특성은? Q3. 그렇다면 시장 내 중국 브랜드의 포지션과 향후 발전 방향은? ㅇ 한국 미용기기 브랜드 D사 해외영업팀 직원 Q1. 회사소개 및 주요업무? Q2. 귀사의 중국 주요 유통 플랫폼은? Q3. 중국 소비자들에게 인기 있는 제품과 그 이유는?
자료원: 스포츠서울 |
□ 시사점
ㅇ 세계 2위의 뷰티 시장 중국, 미용기기로 제 2의 전성기 맞이하며 한국제품 수출 또한 상승
- 소비능력이 높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바르는 화장품을 넘어 집에서 피부를 직접 가꾸는 홈 뷰티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뷰티 소비시장의 신 성장점으로 자리 잡음. 이들은 가격보다는 성능에 집중하고, 집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이 편리한 제품을 선호
- 시코이아 캐피탈 부사장 뤼팅팅에 따르면 중국 뷰티 산업군은 매년 40%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매우 큰 시장임.
ㅇ 홈 뷰티의 프리미엄화, 케어(Care)에서 큐어(Cure)로
- 홈 뷰티기기는 의료기기 특징과 소비자의 니즈와 유행에 굉장히 민감한 일반 소비재 특징을 동시에 지님.
- AI 및 얼굴 피부상태 데이터화 기술 등 다양한 신기술과 높은 성능을 갖춘 디바이스로 진화하며 미용-의료기기 간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음.
- 우리기업은 발전 초기단계인 중국 뷰티 디바이스 기기 시장을 겨냥, 안정성과 기능적 완성도를 갖춘 제품으로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함.
ㅇ 제품 특징을 감안, 온라인과 홈쇼핑 등 판매 채널 다양화 및 제품 체험 마케팅 강화 필요
- 현재 중국 뷰티기기의 주요 판매 플랫폼은 온라인이며, 주요 소비층은 SNS의 제품 후기 및 유저의 추천에 따라 구매하는 성향이 뚜렷함. 또한 최근 그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구매 전 직접 체험을 하며 사용감을 느끼길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온라인, SNS 외에도 시연 효과가 높은 홈쇼핑 플랫폼 활용도 비교검토 필요
- 또한, 중국 소비층의 체험기회를 넓히기 위해 주요 뷰티 박람회 참여 및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샤오홍슈(小红书), GBI 리서치, 유로모니터(Euromonitor), 아이리서치(iReaserch) 각 제품 홈페이지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
첫댓글 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