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기능·고기능성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높음 -
- 기술력 및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일본시장 진출해야 -
□ 상품 기본정보
◦ 상품명 : 공기청정기
◦ HS Code : 8421.39
◦ 관세율 : 무관세
◦ 수입규제 및 인증
- 청정기의 추가 기능에 따라서 PSE 마크가 필요한 경우가 존재(가습기능 포함 공기청정기, 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등)
- 강제사항은 아니나 일본공업규격 JIS에 따른 시험방법*(에어필터 성능 시험 등)을 거치는 것이 좋음
* JIS Z8122, JIS B9908 등
□ 시장규모 및 동향
◦ 시장규모
- 2017년 공기청정기 시장은 538억7000만 엔으로 금액면으로 소폭 감소를 보이나 수량은 전년대비 4.8% 증가
- 2018년 시장규모는 약 539억2600만 엔으로 예상되며 소폭 성장할 것으로 관측
일본 공기청정기 판매 동향
(단위 : 천대, 백만엔, %)
| 2016년 | 2017년 | 2018년 예상 |
상반기 | 하반기 | 합계 | 증감률 | 상반기 | 하반기 | 합계 | 증감률 | 상반기 | 하반기 | 합계 | 증감률 |
수량 | 527 | 1,360 | 1,887 | 92.1 | 585 | 1,393 | 1,978 | 104.8 | 595 | 1,416 | 2,011 | 101.7 |
금액 | 14,290 | 40,242 | 54,532 | 98.4 | 16,167 | 37,703 | 53,870 | 98.8 | 15,668 | 38,258 | 53,926 | 100.1 |
자료원 : 사단법인 일본전기공업회
◦ 수요동향
- 일본은 매년 2월부터 5월 초에 걸쳐 증가하는 삼나무 꽃가루 알레르기와 영향은 적지만 중국에서 불어오는 PM2.5 황사 등의 영향으로 공기청정기 수요가 급증
- 특히, 삼나무 꽃가루 알레르기(화분증)의 경우는 일본 국민병으로 불리며 정확한 통계 자료는 없으나 4명 중 1명이 화분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알려짐.
- 일본은 규슈 지역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중국 황사 영향은 그렇게 크지 않으나 각종미디어에 의한 황사 피해 등 미세먼지 보도에 의해 PM2.5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며 이에 따른 공기청정기 수요도 증가함.
◦ 시장동향
- 최근 가습기능, 제습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활발. 이는 일본의 기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봄에는 화분증 방지를 위해 가습기능을 사용하며, 여름에는 긴 장마와 습한 기후에 따른 제습기능을 필요로 함.
- 일본 가전양판점 B사의 판매직원 K씨는 "공기청정기의 경우 공기가 안 좋을 때 쓰는 것 뿐만이 아니라 사시사철 습도 관리를 위해 구매하는 소비자도 많다"며 코멘트
□ 경쟁동향
◦ 다기능 고사양 제품 인기
- 선풍기 및 온풍기 결합기능 제품, Wifi로 공기오염도 상태 파악 가능한 제품이 인기
- 반면 일본 국내제조사 제품은 가습기능을 추가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독자 음이온기능 제공 중
◦ 또한 최근 2~3년간 디자인을 중시한 가전 벤처기업(Balmuda, Cado 등) 공기청정기가 인기
일본 내 주요 판매 공기청정기 현황
제품명 | 참고사진 | 제품 설명 | 가격 (엔, 소비세 8% 포함) |
DYSON Pure Hot+Cool Link | 
| 선풍기, 온풍기가 결합된 공기청정기로 WIFI를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공기청정상태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음 | 78,624 |
Blueair Classic 680i | 
| 스웨덴의 공기청정기 전문제조사. Blueair사의 최상위 기종 WIFI 연동으로 실내 공기상태 등의 데이터를 가시화 | 140,400 |
SHARP KI-GX100 | 
| 가습기능을 탑재한 샤프의 고급 모델임. 독자기술인 플라즈마클러스터(이온)를 이용한탈취기능 |
64,420 |
PANASONIC F-VXM90 | 
| 가습기능을 탑재한 파나소닉 최상위 모델임 독자기술인 나노이엑스(이온)을 이용한 탈취 기능 |
57,240 |
DAIKIN MCK70T | 
| 가습기능을 탑재한 다이킨 최상위 모델임 독자 이온 기술에 의한 탈취 기능 | 39,700 |
HITACHI EP-MVG110 | 
| 가습기능을 탑재한 히타치의 최상위 모델로 공기필터 자동청소기능도 탑재 |
53,610 |
자료원: 각 제조사 홈페이지
□ 수입동향
ㅇ (전체) 일본 브랜드의 중국 제조 후 역수입률이 가장 높으나, 미국, 독일 등의 고가 제품 수입 또한 비율이 높음
ㅇ (한국) 최근 3년간 한국제품의 수입액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17년에는 2016년의 2배를 넘으며 시장점유를 확대 중
최근 3년간 국가별 공기청정기 수입 현황
순위 | 국명 | 수입액(US$ 천) | 점유율(%) | 증감률(%)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2017/2016 |
| 전체 | 418,156 | 409,616 | 503,017 | 100 | 100 | 100 | 22.8 |
1 | 중국 | 184,954 | 164,413 | 191,089 | 44.23 | 40.14 | 37.99 | 16.23 |
2 | 미국 | 58,114 | 53,092 | 80,832 | 13.9 | 12.96 | 16.07 | 52.25 |
3 | 독일 | 46,228 | 44,654 | 65,127 | 11.06 | 10.9 | 12.95 | 45.85 |
4 | 말레이시아 | 31,945 | 48,426 | 51,244 | 7.64 | 11.82 | 10.19 | 5.82 |
5 | 한국 | 14,848 | 18,891 | 40,961 | 3.55 | 4.61 | 8.14 | 116.82 |
6 | 영국 | 9,956 | 10,098 | 10,066 | 2.38 | 2.47 | 2 | -0.31 |
7 | 태국 | 8,191 | 9,115 | 9,908 | 1.96 | 2.23 | 1.97 | 8.7 |
8 | 스페인 | 11,893 | 15,929 | 9,511 | 2.84 | 3.89 | 1.89 | -40.29 |
9 | 남아프리카공화국 | 8,318 | 6,542 | 7,555 | 1.99 | 1.6 | 1.5 | 15.49 |
10 | 체코
| 11,274 | 13,951 | 5,827 | 2.7 | 3.41 | 1.16 | -58.23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시사점
◦ 가전제품시장 진입은 어려우나 최근 벤처기업의 상승세로 고기능성 제품 시장진입 가능
- 일본 메이저 가전제품 업체(파나소닉, 히타치 등) 및 해외업체(다이슨)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편이나 최근 벤처기업들의 고가제품또한 수요가 존재
- 공기청정 및 가습·제습 기능이 겸비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어 공기청정 기능에 특화된 한국 제품과는 별도 제품으로 시장진출을꾀해야 함
◦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 한국에서 검증된 필터기술 부품 등 수출 가능성 높음
- 현재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OEM 제조 역수입, 미국, 독일의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 다음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이는 한국산에 대한 인정이 바탕이 된 것
- 한국 내에서 미세먼지 대책으로 공기필터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바, 신기술로 일본시장에 대한 계속적 공격 필요
자료원 : 일본 경제산업성, 사단법인 일본전기공업회, 일본경제신문, 각 제조사 홈페이지 및 KOTRA 도쿄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