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그림은 네덜란드의 화가 렘브란트가 1662년에 그린 작품으로 “돌아온 탕자”라고 불립니다. 이 그림의 내용은 루가 복음서 15장에 나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린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슈 박물관에 걸려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기 위하여 신부님이시자 대학교수였던 헨리 나우웬이 그 미술관에 들어가 실물보다 크게 그린 거대한 그 그림 앞에서 몇 시간이고 앉아 세세한 부분까지 음미했습니다. 그리고 두 아들을 품는 아버지의 자비로운 모습에 감동을 받아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직을 버리고 장애가 심한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라르슈 공동체’에 들어가 일하게 된 감동적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렘브란트가 그린 '돌아온 탕자'는 최고의 교회 그림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유의 명암법을 사용하여 하느님의 사랑과 인간 사이의 용서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아버지 시선 : 아버지의 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시선이 없음을 알게됩니다.
매일같이 아들이 돌아올 그 길을 뚫어지게 바라보다 눈이 짓물러 멀게된 아버지의 눈은 초점이 없음을 볼 수 있습니다. 시력을 상실한 노인은 눈이 멀기까지 기다리는 아버지 하느님의 사랑을 말해줍니다.
아버지의 손 : 아들을 감싸 안고 있는 아버지의 손은 서로 다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 손은 힘줄이 두드러진 남자의 손이고 오른쪽 손은 매끈한 여자의 손임을 볼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강함과 어머니의 부드러움을 이 손을 통해 말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아들의 머리 : 죄수와도 같이 삭발한 작은아들의 머리는 스스로 죄인임을 뉘우치는 모습입니다. 그 아들의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마치 어머니의 뱃속에 머물고 있는 태아의 모습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돌아가야 할 본래의 고향인 하느님 품을 전하고 있습니다.
작은아들의 묵상
아버지에게 돌아온 작은아들은 누더기의 속옷을 걸치고 거의 몸만을 가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의 머리는 빡빡 깎여 있습니다. 그가 감옥에 있었던지, 수용소에 있었던지, 이 모습은 개성을 박탈당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황갈색의 찢어지고 핏기 어린 속옷은 그의 참담했던 생활을 대변해주고 있습니다. 샌달이 벗겨진 왼발은 상처투성이고, 오른발은 망가진 샌달이 겨우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어 그의 삶이 얼마나 가난에 찌들렸는 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것을 잃은 자의 모습입니다. 더구나 작은아들의 머리는 엄마의 자궁에서 갓 태어난 아기의 모양이고 얼굴은 거의 아직 태아의 모습입니다. 램브란트는 하느님 아버지의 품에 안긴 인간의 모습을 엄마의 자궁 속에 있던 아기의 모습으로, 다시 말해서 어머니이신 하느님의 품에 안긴 인간을 그리고 있습니다.
큰아들의 묵상
그는 작은아들의 귀향에 대한 목격자입니다. 이 목격자는 아버지를 아무런 기쁨 없이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는 아무런 표정도 없습니다. 이 그림의 주제는 분명 작은아들과 그를 안고 있는 아버지이지만 큰아들은 이 그림 전체의 오른 편에 자리하고 있으며 거리를 두고 서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큰아들은 작은아들보다 훨씬 아버지를 닮은 것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두 사람 다 수염을 길렀고 붉은 겉옷을 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적 유사성이 둘 사이의 공감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두 사람은 얼마나 다릅니까? 아버지는 작은아들을 향해 몸을 굽히고 있습니다. 반면에 큰아들은 꼿꼿하게 서있고 긴 단장은 그의 자세를 더욱 강하게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묵상
렘브란트가 그린 아버지의 모습은 가장 인간적인 모습 안에 드러나는 신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염을 기른 반 실명 상태의 노인, 황금빛의 옷에 붉은 망토를 두르고 돌아온 자식을 어루만지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절대적인 자애와 조건 없는 사랑, 영원한 용서와 같은 신성의 실재를 보게됩니다. 여기서 인성과 신성, 부서지기 쉬운 연약함과 강인함, 늙음과 영원한 젊음이 함께 표현되고 있습니다. 거의 눈 먼 아버지는 돌아온 아들의 등을 육체적인 시력이 아니라 내적인 눈으로 보면서 어루만져 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 그림의 핵심은 아버지의 손에 있습니다. 이 손에 모든 빛이 모여있고 이 그림의 다른 두 목격자들의 시선도 아버지의 손에 쏠려 있습니다. 그 안에서 자비가 육을 취한 의미와 화해와 용서, 치유가 함께 담겨 있습니다. 아들 뿐 아니라 아버지도 안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을 반 장님인 노인이 흐느끼면서 아들을 부드럽게 쓰다듬으며 상처받은 아들을 축복하는 모습에서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아버지는 가부장적인 권위의 남성상과는 거리가 멉니다. 그것은 이 그림의 손에서부터 드러나는데 재미있게도 아버지의 두 손은 서로 다르게 그려져 있습니다. 아들의 어깨를 만지는 아버지의 왼손은 매우 강하고 근육질입니다. 손가락들이 펼쳐져 있고 아들의 등과 어깨를 넓게 감싸고 있습니다. 일종의 누르는 힘과 같은 것이 느껴지는데 특별히 엄지손가락이 그러합니다. 그러나 오른손은 얼마나 다릅니까? 이 손은 누르거나 잡거나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매우 세련되고 부드러우며 섬세합니다. 손가락들이 모아져 있고 아주 우아합니다. 이 손은 아들의 둥 위에 부드럽게 얹혀져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안도감과 위로를 주는 엄마의 손인 여성의 손인 것입니다.
|
첫댓글 영신아, 이거 우리 커뮤니티에도 실어줘~잉.
에르미타주 박물관을 찾았을 때 진품이 너무 거대하여 놀랐고 많은 사람들이 떠날 줄 몰라하여 미리 공부한 바로크 미술의 특징을 찾으며 미술품으로의 감상을 주로 하였는데 오늘은 그때 노쳤던 아버지의 눈과 큰 아들의 지팡이 해설이 새롭게 도움되어 그림 전체를 묵상하고 보고 또 보며 많이 행복합니다. 고맙습나다
한폭의 그림에서 어쩜 그토록 절절함이 배어 나오는지 저도 그곳을 가고 싶었는데, 선배님은 이미 다녀오셨군요. 두고 두고 행복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