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는 산책을 좋아한다
김기택
산책로 여기저기에 코를 들이대다가
수상한 구석과 풍부한 그늘을 콧구멍으로 낱낱이 핥다가
팔이 잡아끄는 목줄을 거스르며
냄새 속의 냄새 속의 냄새 속으로 빠져들다가
애기야, 어서 가자, 안 가면 코만 떼어놓고 간다
엄마가 사정해도 꿈쩍도 하지 않고 코를 박고 있다가
냄새에 붙들려 코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목줄이 아무리 세게 목을 잡아당겨도
냄새에 깊이 박힌 코는 뽑혀 나오지 않는다
콧구멍으로 이어진 모든 길을 거칠게 휘젓는 냄새에
코가 꿰어 끌려들어 간다
수천수만의 코와 꼬리가 뛰어다닐 것 같은 곳으로
이름과 표정과 살아온 내력과 가계와 전생까지
한 냄새로 다 투시하는 코들이 있을 것 같은 곳으로
냄새를 향해 뻗어 내려간 뿌리들의 끝이 보일 것 같은 곳으로
네 발바닥 질질 끌리며 끌려들어 간다
냄새는 점점 커지고 사나워진다
좁은 틈으로 수축했다가 동굴처럼 늘어나는 기다란 구멍이
벌름거리는 콧구멍을 삼키고
콧구멍에 매달린 머리통과 몸통까지 다 삼켜버릴 기세다
어디까지 들어갔는지 몸통은 보이지 않고
남아 있는 꼬리만 풀잎 사이에서 살랑거리고 있다
도와주세요! 냄새에 물린 우리 애기 코 좀 빼주세요!
하늘을 나는 맹금류에게는 코보다는 눈이 더 중요할 것이고, 네 발 달린 개에게는 눈보다는 코가 더 중요할 것이며, 두 발 달린 우리 인간들에게는 코보다는 눈이 더 중요할 것이다. 냄새를 잘 맡지 못하는 인간들은 어느 정도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가 있지만, 앞 못 보는 장님들은 그럴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독수리와 매들은 상승기류를 타고 높이 높이 날아올라 그 천리안적인 눈으로 재빨리 먹이를 사냥하는 반면, 개들은 눈보다는 코로 냄새를 맡고 그 먹이감을 찾아 나서기 때문이다.
김기택 시인의 [강아지는 산책을 좋아한다]는 제법 여유롭고 한가하게 철학적 사색을 좋아하는 시인으로서 강아지를 아주 독특하고 유머러스하게 희화화시킨 시라고 할 수가 있다. 강아지는 어린 강아지이고, 스스로 홀로 설 수 없을만큼 먹이사냥을 할 수가 없다. 이 세상은 새롭고 신기한 세상이고, “산책로 여기저기에 코를 들이대다가/ 수상한 구석과 풍부한 그늘을 콧구멍으로 낱낱이 핥다가” “팔이 잡아끄는 목줄을 거스르며/ 냄새 속의 냄새 속의 냄새 속으로 빠져들다가/ 애기야, 어서 가자, 안 가면 코만 떼어놓고 간다”라고 핀잔을 듣게 된다.
하지만, 그러나 강아지는 냄새에 붙들려 코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목줄을 아무리 세게 잡아당겨도 냄새에 깊이 박힌 코는 뽑혀 나오지를 않는다. 강아지는 산책을 좋아하는 동물이 아니고, 냄새를 좋아하고, 냄새 속의 냄새에 동물적인 본능으로 중독된 것이다. 냄새는 먹이의 냄새이고, 자유와 평화와 행복의 냄새이다. 왜냐하면 산다는 것은 먹는다는 것이고, 먹는다는 것은 ‘쾌락 중의 쾌락’이고, 배가 부르다는 것은 근심과 걱정이 없다는 것이다. 동물은 현재에 살고, 현재에 죽으며, 배가 부르면 지난날의 고통이나 미래에 대한 근심과 걱정 따위는 아예 하지도 않는다. 우리 인간들은 동물처럼 행복하게 살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돈과 명예와 권력을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욕망에 대한 욕망을 부풀려 더욱더 불행하게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배가 부르면 잠을 자거나 뛰어놀고, 그 포만감으로 전세계를 향유하며 더욱더 자기 자신의 ‘행복의 지수’를 끌어올린다. 동물은 인간처럼 저축을 모르고, 지난날의 고통과 슬픔을 되돌아보지도 않으며, 미래에 대한 근심과 걱정도 없다. 냄새는 행복의 기원이고, 먹이는 삶의 목표이자 그 모든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금강산 구경도 식후경이라는 말도 있지만, 그러나 배가 부르다는 것은 천하제일의 행복의 주인공이 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강아지는 코로 냄새를 익히고 눈으로 먹이를 발견한다. 코로 존재하고 코로 냄새를 맡기 때문에, 머리와 몸통과 생식기까지도 코를 위해 존재한다. 강아지는 콧구멍으로 이어진 모든 길을 거칠게 휘젓는 냄새를 결코 포기할 수가 없고, 따라서 “이름과 표정과 살아온 내력과 가계와 전생까지/ 한 냄새로 다 투시하는 코”를 갖기를 원한다. 냄새는 점점 더 커지고 사나워지고, “좁은 틈으로 수축했다가 동굴처럼 늘어나는 기다란 구멍이/ 벌름거리는 콧구멍을 삼키고/ 콧구멍에 매달린 머리통과 몸통까지 다 삼켜버릴 기세”라고 할 수가 있다.
김기택 시인의 [강아지는 산책을 좋아한다]는 먹이냄새에 중독된 강아지를 희화화시키고, 그것을 극적인 드라마로 연출해낸 시이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돈의 노예로 살아가는 우리 인간들을 강아지로 희화화시킨 시라고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냄새 속의 냄새에 중독된 강아지가 거꾸로 우리 인간들을 인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아지의 코는 돈만을 생각하고 더많은 돈에 중독된 우리 인간들의 두뇌에 해당되고, 이 돈에 중독된 우리 인간들에게 그 강아지는 이렇게 꾸짖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불행한 인간아! 내가 돈에 중독된 너의 두뇌를 반드시 제거해 주겠다.’
김기택 시인은 의인화, 의물화의 대가이자 풍자와 해학의 대가이고, 어떤 사건과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볼 줄 아는 대한민국 최고의 시인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의 언어는 가장 날카롭고 예리한 칼이고, 그의 언어는 가장 감미롭고 따뜻한 노래라고 할 수가 있다. 그의 언어는 무기와 악기의 역할을 다같이 맡아하지만, 그러나 그의 언어는 노래로서 그 모든 강함의 숨통을 끊어버린다. 웃음이 적의의 숨통을 끊어버리고, 더없이 감미롭고 따뜻한 노래가 천하제일의 명검을 굴복시킨다.
타인의 말과 사유는 가짜 진리에 불과하며, 자기 자신의 말과 사유에서만이 최고급의 진리인 ‘사상의 꽃’이 피어난다. ‘사상의 꽃’은 노래가 되고, 이 노래는 모든 무사들을 다 굴복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