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양천보현사 원문보기 글쓴이: 무공
사후 효도(事後 孝道)와 생전 효도(生前 孝道) 법우 여러분! 안녕 하십니까?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생명 공동체의 실천을 지향하는 보현공동체가 이곳 전남 영암군 신북면 장산리에 새로운 터전을 잡고서 맞이하는 우란분절(盂蘭盆節)입니다. 이곳 마을에서는 예로부터 백중 하루 전날에 온 마을 사람들이 울력을 실시하여 마을 주위를 정비한 다음 백중날 마을 주민들 모두가 마을 정자에 모여 마을 어르신들을 모시고 마을 잔치를 거행하는 아름다운 전통이 이어져 오는 마을 입니다. 이곳의 새로운 터전을 자리 잡도록 해외에서 그리고 전국 각지에서 기도와 성원을 보내 주셨던 대덕 큰스님들과 법우 여러분들께 이 지면을 통하여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신묘년(辛卯年) 우란분절을 맞이하여 오늘 법문은 우란분절의 의미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마음가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란분경(盂蘭盆經)에 의하면 목련 존자가 그 어머니를 아귀도에서 구제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7월 15일 안거자자일(安居自恣日)에 여러 가지 음식·과일·등·초 등 공양구를 갖추어 여러 스님 네들께 공양한 고사(古事)에 따라 매년 현세의 부모는 물론 7대의 부모를 위해 재(齋)를 올리게 되었는데 이러한 행사를 우란분회 또는 우란분재(盂蘭盆節)라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음력 7월 15일은 백중날(白衆日) 혹은 백종절(百種日)로 부르면서 즐기는 전통적인 세시풍속(歲時風俗)의 축일입니다. 보통의 절기(節氣)에 들어 있는 풍속과 달리 이 날은 우리나라 민중들에게 스며들어 있는 세 가지 사상적 전통이 혼합되어 있는 특이한 풍속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전통문화로서 형성된 백종절(百種日)입니다. 이 풍속은 음력 7월 15일 무렵이면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백가지 곡식의 종자(種子)를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된 것입니다. 둘째는 도가(道家)에서 부르는 중원(中元)입니다. 도교(道敎)에서는 천상의 선관이 일 년에 세 번 즉, 1월 15일(上元), 7월 15일(中元), 10월 15일(下元)에 인간의 선악을 살피는데 중원은 삼원(三元) 중에서 가운데 해당 하는 날입니다. 셋째로 불가(佛家)에서 부르는 우란분절(盂蘭盆節)입니다. 우란분절은 옛날 목련존자의 어머니가 죄를 지어 죽어서 아귀도에 떨어져 있을 때 목련존자가 어머니의 영혼을 구하고자 부처님께 애원하여, 부처님의 말씀대로 시방대덕(十方大德)에게 공양을 올려서 어머니의 영혼을 구제한 일을 기리면서 재(齋)를 올리며 불공을 드리는 큰 명절입니다. 우리민족은 이와 같은 세 가지 풍속과 사상을 잘 혼합하여 매우 뜻 깊은 민속명절로 승화시켰습니다. 백중(白衆)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은 사찰의 전통에서 나온 것입니다. 우란분절(盂蘭盆節)의 고사가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삼국시대부터 모든 백성이 참여하여 오미백과(五味百果)를 공양하면서 망혼(亡魂)을 위로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법회로서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는 것입니다. 우란분절의 전통은 재를 올려 조상의 영혼을 위로하고 시정의 백성들이 서로 모여 놀이하며 즐기는 동체대비 사상의 실천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이러한 우란분절 행사에서 우리는 조상에 대한 효와 현세의 부모에 대한 효, 그리고 이웃에 대한 공경의 정신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우란분절 행사는 불교계 내의 행사로 국한되어 아쉬움을 남기고 있습니다. 우란분절 즉 백중날이 조상에 대한 효의 실천의 본보기였다면
오늘을 살아가는 백중은 어떤 의미일까를 잠시 생각하여봅니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 민족에게 많은 도전과 시련에 직면해 있습니다. 유가 상승으로 인한 물가고와 수입 개방화에 따른 농업 농촌의 생산 기반 시설들이 붕괴 직전의 절박한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연이은 천재지변들로부터 인적, 물적인 많은 피해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그 대안들을 찾는 것이 오늘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들에 당면한 문제들입니다. 법우 여러분! 며칠 전 신심이 돈독하신 법우님으로부터 한 통의 전회를 받았습니다. 30대 중반의 젊은 아드님이 갑자기 방에서 피를 토하면서 어머니를 부르며 어머니 품에 쓰러진 후 4시간 만에 병원 응급실에서 이 세상을 떠나갔다는 것입니다. 병명(病名)의 원인도 모르고 한순간에 자식을 잃은 부모의 심정은 어떻겠습니까? 사후의 효도가 부모님이 극락의 세계에 안주 하시도록 한다면 생전의 효도는 부모님에게 고통과 근심을 안겨 주지 않는 것이 현대적 효도가 아니겠습니까? 우리나라에 사망사고 순위별로 보면 교통사고와 암으로 인한 사고가 제일 높을 것입니다. 교통사고는 음주 운전과 빨리 빨리의 조급한 문화의 과속 사고가 단연 그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매년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는 암 발병으로 인한 사망일 것입니다. 이렇게 자기 자신도 준비하지도 못하고 생각지도 못하는 갑작스런 죽음 앞에 당사자는 물런 주위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고통을 안겨주는 것이 현대적 의미의 불효로 여겨집니다. 생전의 효도를 실천 하는 길은 부모에게 물려 받은 자신의 한 몸 살아 있는 순간까지 건강한 모습으로 아름답게 행복한 생활을 영위 하면서 천명을 다하는 것 이 시대의 효자로 여겨지는데 법우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되십니까? 경전 한 구절을 소개하고 신묘년 백중 법회를 마치고자 합니다. 초대하지 않았어도 인생은 저 세상으로부터 찾아왔고, 허락하지 않아도 이 세상으로부터 떠나간다. 찾아왔던 것처럼 떠나가는데, 거기에 무슨 탄식이 있을 수 있으랴. (출전: 법생담)
신묘년(辛卯年) 백중지절(伯仲之節)에
보현사 무공 합장
|
첫댓글 나무지장보살 나무지장보살 나무지장보살 마하살()()() 법계 모든 중생들이 행복하기를 발원합니다
..()_()_()_ㅇ옥쳅ㅂ봊전ㄶ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