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소비자는 최근 음용에 편리하고 새로운 콘셉트와 세련된 포장과 디자인을 반영한 차 제품을 선호 -
- 한국 기업의 진출 시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화 추진하고 생산가공 공정 개선, 차(茶) 연관 제품을 타깃으로 전략 수립 필요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차(茶) 류(HS Code 0902)
HS Code
| 상세 내용
|
HS Code 0902 | 차(茶)류(맛과 향을 첨가했는지에 상관없다)
|
HS Code 0902.10 | 녹차(발효하지 않은 것으로 내용물의 무게가 3kg 이하로 내용물에 직접 접해 포장된 것으로 한정한다) |
HS Code 0902.20 | 그 밖의 녹차(발효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
HS Code 0902.30 | 홍차(발효차)와 부분 발효차(내용물의 무게가 3kg 이하로 내용물에 직접 접해 포장된 것으로 한정한다) |
HS Code 0902.40 | 그 밖의 홍차(발효차)와 그 밖의 부분 발효차 |
□ 시장규모
ㅇ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중국 차(茶)시장은 2012~2017년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난 6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했음.
-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중국 차(茶) 시장규모는 2012년 604억 위안에서 2017년 807억 위안으로 성장함. 2012년 대비2017년 18.7% 성장했음.
중국 차 제품 판매동향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유로모니터의 발표에 따르면 전체 차(茶)시장에서 녹차, 인스턴트 차, 홍차(Black Tea), 과일 및 허브차 순서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자료원: 유로모니터
□ 제품 유형 및 트렌드
제품 유형 | 제품 특징 |

농축액상 제품 | - 기존의 1kg, 500g의 큰 유리병에서 덜어먹는 형식뿐만 아니라 최근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파우치 형태나 캡슐형태로 출시되고 있음. - 중국 농축액(물에 타먹는 음료)에서 한국산 유자차 및 레몬차가 인지도 있음. - 최근 찻잎도 캡슐형태로 출시됨 |

분말형 | - 가루 형태로 물에 쉽게 녹을 수 있어 따뜻한 차, 차가운 차의 구분이 필요 없음. - 레몬, 복숭아 등과 같은 과일 차 종류와 밀크티 종류가 주로 이루고 있음. |

티백형 | - 찻잎으로 이루어진 티백 - 최근 다양한 종류의 찻잎 및 과일·허브를 조합한 티백이 등장함. -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하기 위해 새로운 패키지 및 다양한 마케팅 도입 |

RTD( 병, 캔) | -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플라스틱 병 및 캔으로 된 차 제품 - 단맛이 나는 아이스티 이외에도 녹차, 홍차, 우롱차 등의 일반적인 차 음료 다양화 - 유명 연예인을 이용한 홍보 진행 |
자료원: TAOBAO, TAMLL
ㅇ 중국 내 찻잎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
- 2017년 1월 국가위생위원회 및 국가식약관리총국에서 '식품안전국가 표준 음료 생산 위생 법규(食品安全国家标准 饮料生产卫生规范)'에 대해 발표하며 공장과 작업장, 시설과 설비, 식품 원료 및 식품 첨가물에 대한 요구사항을 밝힘. 생산과정의 식품 안전을 강조하고, 각각의 음료 생산 차이에 따라 위생 법규를 규정함.
- 2018년 3월 중국 CCTV에서 '당신이 마신 차는 독약이다(你喝的不是茶是毒药)'라는 주제로 방영한 내용이 중국 온라인에서 크게 화제가 됐고, 중국 찻잎유통협회(中国茶叶流通协会)에서 이에 반박하며 "최근 몇 년 동안 찻잎 관련 상품의 합격률은 99%이상으로 안전하다"라고 밝힘. 이후 중국 소비자의 찻잎에 대한 농약, 원산지, 제조방법 등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증가됨.
ㅇ 보다 편리하고 쉽게 마실 수 있는 차 제품이 주목받고 있음.
- 제12회 서안 국제 차 박람회에서 강연을 맡은 소효임(邵晓琳)은 최근 젊은 연령층의 소비자는 차를 자주 마시지 않으며, 앞으로 차(茶)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식으로 소비자에게 다가가야 한다고 밝힘. 그 중 한 가지 방법으로는 병이나 캔에 담겨 쉽게 마실 수 있는 RTD(Ready To Drink) 차(茶) 제품 개발이 있으며, RTD 차 제품의 고급화 전략을 통해 판매해야 한다고 강연을 진행함.
- 유자차, 꿀 차와 같은 농축액상의 차(茶) 제품의 경우 자체적으로 병이나 통에서 덜어 먹어야 하는 형식에서, 1회 섭취량에 맞게 포장돼 판매하는 제품이 등장함.
ㅇ 중국 식품공업협회(中国食品工业协)가 발표한 '2016년도 중국 음료산업 전체 운영 보고(中国饮料行业整体运行报告)'에 따르면, 중국 주력 소비자의 소비패턴이 탄산음료 대신 시원한 차(凉茶) 혹은 건강 음료를 선택으로 바뀌고 있다고 밝힘.
- '2016년도 중국 음료산업 전체 운영 보고(中国饮料行业整体运行报告)'에 따르면, 탄산음료의 2016년 총 생산량은 1752만2000톤으로 2015년 대비 3.1% 감소했으며, 탄산이 없는 포장음료수(包装水)와 건강음료수(健康饮料)의 2016년 총 생산량은9458만5000톤으로 2015년 대비 4.42% 증가했다고 밝힘.
- 또한 2016년도 차가운 차(凉茶)산업 시장은 4.2% 증가했으며, 음료 산업 시장점유율 8.2%를 차지했다고 밝힘.
ㅇ 기존의 전통적 차(茶) 판매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콘셉트와 세련된 디자인을 이용한 마케팅 방식을 도입함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이끌고 있음.
- 한 가지의 종류의 차(茶)로 이루어진 제품이 아니라 찻잎, 허브, 과일들을 다양하게 조합한 제품이 등장해 새로운 향과 맛을 제공함. 또한 말린 과일을 첨가한 제품의 경우 천연으로 색이 우러나와 시각적인 효과를 줌.
- 제품 포장에서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해 젊은 수요층의 이목을 이끌 수 있도록 함. 또한 SNS에 사진을 업로드하면 혜택을 주거나,제품 구매 시 텀블러, 차 거름망과 같은 차 관련 제품을 증정하는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함.

자료원: TAOBAO
□ 경쟁동향
ㅇ 유로모니터의 2017년도 소매대상 차(茶) 중국 브랜드 이용도에 따르면 大益茶(Taetea), 香飘飘(Xiangpiaopiao), 优乐美(U-lovei), 天福茗茶(Tenfu’s), 张一元(ZhangYiYuan)가 1~5위를 차지함. 1위 브랜드 Taetea의 점유율이 2014년에 7.3%에서 2017년 6.1%로 낮아짐.
- 점유율 1% 이상의 브랜드가 전체 차 제품 브랜드 점유율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점유율 1% 이하의 브랜드의 경쟁이 치열함.
중국 차 브랜드 이용도 상위 10위 브랜드
순위 | 브랜드명 | 제품 사진 | 비고 |
1 | 大益茶 (Taetea) | 
| - 보이차 유명 브랜드 - 세계적인 차 브랜드 |
2 | 香飘飘 (Xiangpiaopiao) | 
| - 다양한 종류의 밀크티 브랜드 - 분말형 밀크티가 주력상품 - 젊은 소비자층의 호감이 높으며,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다는 특징 |
3 | 优乐美 (U-lovei)t | 
| - 값이 저렴한 밀크티 전문 브랜드 - 젊은 소비자층의 호감이 높으며, - 오프라인 매장에서 쉽게 구매 가능 |
4 | 天福茗茶 (Tenfu’s) | 
| - 철관음 및 용정차 전문 브랜드 - 오프라인 지점이 많음 - 차로 만든 사탕, 과자 등 보유 |
5 | 张一元 (ZhangYiYuan) | 
| - 역사가 오래되며, 전통 있는 브랜드 - 전국적 영업망 보유 -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시음 가능 |
6 | 吴裕泰 (WuYuTai) | 
| - 독특한 제작 기법 보유 - 저렴한 가격대 - 대표 제품은 홍차와 아이스크림 |
7 | 萧氏 (Xiaoshi) | 
| - 프리미엄 브랜드 - 높은 가격대 형성 - 희귀한 원재료 사용 |
8 | 小罐茶 (XiaoGuanTea) | 
| - 프리미엄 차 브랜드 - 1회분으로 찻잎을 캡슐에 포장 판매 - 종류마다 서로 다른 차 전문가가 제조 |
9 | 八马 (Bama) | 
| - 철관음 차 전문 브랜드 - 다양한 종류의 차 판매 - 오프라인 매장 접근성 높음 |
10 | 香约奶茶 (Xiang Yue Taiwan Milk tea) | 
| - 대만 밀크 티 전문 브랜드 - 분말형으로 판매 |
자료원: 유로모니터, TAOBAO, TAMLL
중국 차(茶) 시장동향-전체-kotra 해외시장뉴스.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