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양식
17세기에 유행했던 양식으로 웅장한것이 특징. 예-베르사유 궁전
바로크라는 용어는 포르투갈어의 barroco에서 온 듯하다. ‘비뚤어진 모양을 한 기묘한 진주(眞珠)’라는 뜻인데, 이 말은 본래 16세기 유럽을 지배한 고전주의 르네상스 뒤에 나타난 양식에 대하여 모멸적인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엽의 독일 미술사가들에 의해 바로크라는 용어에서 ‘변칙 ·이상 ·기묘함’이라는 부정적 평가는 제거되었다. 바로크는 미술사 ·예술학의 연구대상이 되었고, 현재는 이 개념이 다른 예술양식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한 시대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의 미술사가 H. 뵐플린은 19세기의 평가에 나타나는 이 양식을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퇴폐현상이라고 보는 견해를 부정했다. 그의 연구는 바로크 미술을 르네상스의 타락도 아니고 진보도 아니며 르네상스와는 완전히 이질적인 양식이어서 양자는 근대미술에서의 2대 정점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바로크는 로마에서 발생하여 이탈리아 ·보헤미아 ·오스트리아 ·독일 ·에스파냐로 번져나갔고 라틴아메리카에까지 확대되었다. 이 양식은 반종교개혁의 유력한 표현수단이 되어 여러 가톨릭 국가에서는 종래의 종교적 도상(圖像)을 일신하고 종교미술에 신선한 입김을 불어넣었다. 동시에 바로크는 귀족들의 표현수단이기도 하여 화려 ·호사한 의식을 과시하고 장식하는 구실을 다하였다. 바로크는 16세기 고전적 르네상스의 조화 ·균정(均整) ·완결성 등에 대하여 경탄과 현혹(眩惑)을 지향하여 양감(量感) ·광채 ·동감(動感)에 호소하였다. 그리하여 건축에서는 거대한 양식, 곡선의 활용, 자유롭고 유연한 접합부분 등의 특색을 나타내고, 조각에서는 비상(飛翔)하는 동적인 자태와 다양한 복장 표현 등을 특색으로 하였다. 회화에서는 대각선적인 구도, 원근법, 단축법, 눈속임 효과의 활용 등이 전체적인 특색이다. 18세기에 들어와서도 바로크는 로코코 미술속에서 명맥을 유지하였다. 바로크는 이미 16세기에 미켈란젤로 말년의 작품이나 틴토레토의 회화에서도 엿보이는데 마니에리스모(Manierismo)와 공존하면서 16세기 말엽 로마에 등장한다.
종교건축에서의 C.마데르나와 G.베르니니의 작품(산피에트로대성당의 정면부 및 주랑, F.보로미니의 생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교회당), 조각에서 베르니니의 작품인 산피에트로대성당 고해단(告解壇)의 천개(天蓋)와 유물궤(遺物櫃), 나보나 광장의 분수, 종교적 공상의 세계를 그린 A.포초의 천장화(天障畵) 등이 대표적 작품이다.
바로크는 이탈리아 각지에 전파되어 토리노의 성(聖) 신도네 교회, 나폴리의 카세르테궁(宮), 베네치아의 산타마리아델라살루테성당과 G.티에폴로의 회화 등을 만들어냈다. 북방 바로크의 중심인 빈에는 마르티넬리, A.힐데브란트 등의 궁전 ·교회 건축, B.페르모저 등의 조각, 모르베르슈의 회화가 있다. 뮌헨 ·드레스덴 ·프라하도 그 중심지에 포함된다.
에스파냐에서는 바로크가 전통적인 추리게레스코 양식과 결합하여 마드리드의 성(聖)페르난도구제원, 그라나다의 샤르트르회(會)성당 등을 꼽을 수 있는데, 멕시코 ·브라질 ·콜롬비아 ·페루의 식민지에서 독자적인 장식양식을 낳았다. 벨기에에서는 P.루벤스의 회화와, 플랑드르 고딕과 건축 양식에서 볼 수 있다.
명석함과 중용을 국민정신으로 하는 17세기의 프랑스도 바로크와 무관하지는 않았으나 C.비뇽, S.부에, J.블랑샤르의 회화 활동도 시험적인 영역에 머물렀다. 오늘날 바로크는 좁은 의미의 미술 양식에서 벗어나 넓은 뜻의 문화양식으로서 다른 시대와 장르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고대 로마의 말기, 중세 말의 후기 고딕, 1900년대의 아르누보(art nouveau) 미술에도 적용되었다.
현재 가장 많은 바로크 약식의 건물이나 조각이 남아있는 곳이 로마 입니다.
로마의 대부분의 건물이 바로크 양식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아래 사진에 나오는 것들도 모두 바로크 양식으로 만든 것입니다.
로마인들이 바로크 양식을 선호하는 이유가 그들의 화려하고 풍족 했던 생활의 표출이라고 생각합니다.
↓ 윗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베르사이유 궁전에 대항에 만든 오스트리아의 쇤브룬궁전
*로마의 트레비 분수
*인도의 타지마할
*로마의 모로 분수
출처: (글) 나, 네이버 백과사전
(사진)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