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등 8건 문화재 등록 - 광복군 이자해 전기「이자해자전 초고본」등 3건 문화재 등록 예고 -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 등 7건의 항일독립 문화유산과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이자해자전 초고본」 등 3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매천 황현 매천야록」, 「매천 황현 오하기문」, 「매천 황현 절명시첩」, 「매천 황현 시․문(7책)」,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윤희순 의병가사집」과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등 총 8건이다.
등록문화재 제746호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은 조선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역사가이자 시인이며, 경술국치 직후 순절(殉節)한 황현이 1864년 대원군 집정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 약 47년간의 역사 등을 기록한 친필 원본 7책으로 한국근대사 연구에 중대한 가치를 지닌 사료다. 「매천야록」에는 한말에 세상을 어지럽게 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비행과 특히, 일제의 침략상과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이 담겨 있으며, 자유로운 방식으로 당시의 역사를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였다.
* 황현(黃玹, 1855~1910년): 양운(養雲) 또는 매천(梅泉)이라는 호로 유명함
등록문화재 제747호 「매천 황현 오하기문(梧下記聞)」은 황현이 저술한 친필 원본 7책으로, 「매천야록」의 저본(底本, 초고)으로 추정된다. 19세기 후반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적 사실과 의병항쟁 등을 비롯한 항일활동을 상세하게 전하며 한국근대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오하기문」이란 표제는 황현이 거처한 정원에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그 아래에서 이 글을 기술하였다는데서 유래하였으며, 「매천야록」과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방식으로 당시의 역사를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였다.
등록문화재 제748호 「매천 황현 절명시첩」은 황현이 1910년 8월 경술국치 다음 달인 9월에 지은 절명시(絶命詩) 4수가 담겨있는 첩으로, 양면으로 되어 있으며 서간과 상량문 등도 포함되어 있다. 황현은 절명시를 남기고 사랑채였던 대월헌(待月軒)에서 순절하였고, 정부에서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등록문화재 제749-1호 「매천 황현 시․문(7책)」은 ‘한말삼재(韓末三才)’, ‘호남삼걸(湖南三傑)’로 이름을 날린 문장가였던 매천 황현이 1880년대에서 1910년까지 지은 약 548수의 친필 시를 모아놓은 시집 4책과, 그가 지은 다양한 글을 모은 문집 3책이다. 황현의 시에는 식자인(識字人, 지식인)의 책임의식이 깊이 투영되어 있어서 우국충절의 지사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집에서는 그가 지은 다양한 글을 싣고 있어 그의 사상과 활동을 파악할 수 있다.
* 한말삼재(韓末三才): 김택영, 이건창, 황현 / 호남삼걸(湖南三傑): 이기, 이정직, 황현
등록문화재 제749-2호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은 황현의 저술뿐만 아니라 그의 지기(知己)들, 당대의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서간, 중요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모음 등 다양한 자료를 모아놓은 유묵․자료첩 11책이다. 황현은 당대의 문인들과 교유하며 수많은 글을 남겼는데, 그의 글을 모아놓은 이 유묵·자료첩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국가적 위기와 민족의 존망, 사회 상황, 그리고 지식인들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매우 귀중한 희귀 자료라 할 수 있다.
등록문화재 제749-3호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은 황현이 1888년 생원시(生員試)에서 급제(1등 제2인)한 교지(敎旨), 1887년 전북 장수의 향시에 응시하여 장원한 시권(試券)과 1888년 생원시 2소에 응시하여 1등 제2인으로 급제한 시권(試券), 그리고 이를 보관한 백패(白牌)통이다. 당시 선비들이 지향했던 관계 입문의 첫걸음인 과거 시험과 관련된 유물로서, 보존상태 또한 양호하다. 이 유품들은 순절한 우국지사의 일상을 보존하고, 이 시기 선비들의 생활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 생원시(生員試): 조선 시대 사마시(司馬試,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과거 시험)의 하나로, 여기에 뽑힌 사람을 생원이라 함. 사서오경을 시험하며, 1차 시험인 초시와 2차 시험인 복시가 있음
* 교지(敎旨): 승정원의 담당 승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왕명서
* 시권(試券): 과거를 볼 때 글을 지어 올리던 종이
* 백패(白牌): 소과에 합격한 생원이나 진사에게 주던 흰 종이의 증서
등록문화재 제750호 「윤희순 의병가사집」은 여성 독립운동가인 윤희순(尹熙順, 1860~1935)이 의병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지은 낱장의 친필 가사들을 절첩(折帖)의 형태로 이어 붙인 순한글 가사집이다. 윤희순은 ‘안사람 의병가’ 등을 지어 부르게 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의병운동을 고취하고 지원하였으며, 대한독립단에서 활동하고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등 치열한 항일운동을 하였다. 「윤희순 의병가사집」은 여성 독립운동가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고, 근대 가사와 한글 표기 방식 등 국어학과 국문학 연구 등의 중요 기록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등록문화재 제751호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은 한국전쟁 직후, 한양대학교 캠퍼스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1956년 대학 본부로 건립되었다. 외관을 석재로 마감하고 정면 중앙부에 열주랑(列柱廊)을 세우는 등 당시 대학 본관 건물에서 보이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공학을 모태로 성장한 대학으로 경제 개발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기술 인력을 배출한 한양대학교의 역사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열주랑(列柱廊):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다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공간
문화재청은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매천 황현 매천야록」 등 8건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 예고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유산인 「이자해자전 초고본」,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 2건과 교육시설인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등 총 3건이다.
「이자해자전 초고본」은 1930∼40년대 내몽고에서 의사(醫師)로 일하며 광복군으로 활동한 이자해(李慈海, 1894∼1967)의 전기다. 서간도 지역의 대한독립단의 조직과 변화, 내몽고 지역에 다수 한인들의 거주 사실과 이들이 일제 패망 후 한인회를 조직하여 활동한 사실, 한국광복군과 연계하여 병력을 모집하는 초모(招募) 활동을 전개한 사실 등 북경 이북에서 내몽고 바오터우에 이르는 한국 독립운동과 관련한 새로운 사실들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은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한 김병조(金秉祚, 1877∼1948)가 저술한 책으로서 3.1운동의 배경, 각 지방에서 발표된 독립선언서와 국내외 운동의 전개상황, 일제의 탄압 실태,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과정 등을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은 3.1운동 연구의 기본 문헌이 되었으며, 방대한 자료를 기초로 하고 있어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은 1963년 당시 이리 지역을 대표하는 농업전문 교육기관인 이리농림학교의 제2본관으로 건립된 건물로, 학교의 역사와 흔적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 벽돌의 조적조(組積造) 건물이면서 주출입구 상부의 계단실과 정면에 설치한 현관부(포치)를 화강석으로 쌓아 입면을 강조한 건축 기법 등이 특징이며, 보존상태도 전반적으로 양호하여 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 조적조(組積造):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
* 포치(Porch): 지붕이 돌출되어 지어진 건물 출입구나 현관
이번에 등록 예고한 「이자해자전 초고본」 등 3건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
문화재 등록 개요 |
1. (등록)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
□ 문화재명: 매천 황현 매천야록(梅泉野錄)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6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864년 ~ 1910년
□ 수 량: 7책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조선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역사가이자 시인이며, 경술국치 직후 순절(殉節)한 황현[黃玹, 1855-1910, 잘 알려진 호는 양운(養雲)․매천(梅泉)]이 1864년 대원군 집정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 약 47년간의 역사 등을 기록한 친필 원본 7책으로 한국근대사 연구에 중대한 가치를 지닌 사료이다. 「매천야록」에는 한말에 세상을 어지럽게 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비행과, 특히 일제의 침략상과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이 담겨 있으며 자유로운 방식으로 당시의 역사를 보고 들은 대로 기록하였다.
2. (등록) 매천 황현 오하기문(梧下記聞)
□ 문화재명: 매천 황현 오하기문(梧下記聞)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7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895년 ~ 1907년
□ 수 량: 7책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조선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역사가이자 시인이며, 경술국치 직후 순절(殉節)한 황현(黃玹, 1855-1910)이 저술한 친필 원본 7책으로, 「매천야록」의 저본(底本)으로 추정된다. 19세기 후반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적 사실과 의병항쟁 등을 비롯한 항일활동을 상세하게 전함으로써 한국근대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오하기문」이란 표제는 황현이 거처한 정원에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그 아래에서 이 글을 기술하였다는데서 유래하며, 「매천야록」과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방식으로 당시의 역사를 보고 들은대로 기록하였다.
3. (등록) 매천 황현 절명시첩(絶命詩帖)
□ 문화재명: 매천 황현 절명시첩(絶命詩帖)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8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910년
□ 수 량: 1책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조선말부터 대한제국기의 역사가이자 시인인 황현(黃玹, 1855-1910)은 1910년 8월 경술국치 후 그 해 9월 절명시(絶命詩)를 남기고 당시 사랑채였던 대월헌(待月軒)에서 순절하였다. 바로 그 절명시 4수가 담겨있는 첩으로, 양면으로 되어 있으며 서간과 상량문 등도 포함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4. (등록) 매천 황현 시·문(7책)
□ 문화재명: 매천 황현 시·문(7책)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9-1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880 ~ 1910년대
□ 수 량: 7책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한말삼재(韓末三才)’, ‘호남삼걸(湖南三傑)’로 이름을 날린 문장가였던 매천 황현이 1880년대에서 1910년까지 지은 약 548수의 친필 시를 모아놓은 시집(4책)과, 그가 지은 다양한 글을 모은 문집(3책)이다. 황현의 시에는 식자인의 책임의식이 깊이 투영되어 있어서 그의 우국충절의 지사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집에서는 그가 지은 다양한 글을 싣고 있어 그의 사상과 활동을 파악할 수 있다.
5. (등록)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
□ 문화재명: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9-2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880 ~ 1910년대
□ 수 량: 11책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황현의 저술뿐만 아니라 그의 지기(知己)들과 당대의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서간, 중요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모음 등 다양한 자료를 모아놓은 유묵․자료첩 11책이다. 황현은 당대의 문인들과 교유하며 수많은 글을 남겼는데, 그의 글을 모아놓은 이 유묵·자료첩은 19세기말 20세기초의 국가적 위기와 민족의 존망, 사회 상황, 그리고 지식인들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매우 귀중한 희귀 자료라 할 수 있다.
6. (등록)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 문화재명: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49-3호
□ 소 재 지: 전라남도
□ 제작연대: 1880 ~ 1910년대
□ 수 량: 교지 1점·시권 2점·백패통 1점
□ 소 유 자: ○ ○ ○
□ 등록 사유
ㅇ 황현이 1888년 생원시(生員試)에서 급제(1등 제2인)한 교지(敎旨), 1887년 전북 장수의 향시에 응시하여 장원한 시권(試券)과 1888년 생원시 2소에 응시하여 1등 제2인으로 급제한 시권(試券), 그리고 이를 보관한 백패(白牌)통이다. 당시 선비들이 지향했던 관계 입문의 첫걸음인 과거시험과 관련된 유물로서, 보존상태 또한 양호하다. 이 유품들은 순절한 우국지사의 일상을 보존하고, 이 시기 선비들의 생활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7. (등록) 윤희순 의병가사집
□ 문화재명: 윤희순 의병가사집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0호
□ 소 재 지: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 제작연대: 1897년
□ 수 량: 1책
□ 소 유 자: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장
□ 등록 사유
ㅇ 여성 독립운동가인 윤희순(尹熙順, 1860-1935)이 의병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지은 낱장의 친필 가사들을 절첩의 형태로 이어 붙인 순한글 가사집이다. 윤희순은 ‘안사람 의병가’ 등을 지어 부르게 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의병운동을 고취하고 지원하였으며, 대한독립단에서 활동하고 학교를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등 치열한 항일운동을 하였다. 「윤희순 의병 가사집」은 여성 독립운동가의 문집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크고, 근대 가사 및 한글표기방식 등 국어학적 및 국문학적 연구 등의 중요 기록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8. (등록)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 문화재명: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 종 별: 등록문화재 제751호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 건립연대: 1956년
□ 수 량: 1동(지상4층)
□ 소 유 자: 학교법인 한양학원
□ 등록 사유
ㅇ「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은 한국전쟁 직후, 한양대학교 캠퍼스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1956년 대학 본부로 건립되었다. 외관을 석재로 마감하고 정면 중앙부에 열주량을 세우는 등 당시 대학 본관 건물에서 보여지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공학을 모태로 성장한 대학으로 경제개발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기술인력을 배출한 한양대학교의 역사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문화재 등록 예고 개요 |
1. (등록예고) 이자해자전 초고본
□ 문화재명: 이자해자전 초고본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 제작연대: 1960년대
□ 수 량: 1책
□ 소 유 자: 독립기념관
□ 등록 사유
ㅇ 1930∼40년대 내몽고에서 의사(醫師)로 일하며 광복군으로 활동한 이자해(李慈海, 1894∼1967)의 전기이다. 서간도 지역의 대한독립단의 조직과 변화, 내몽고 지역의 다수의 한인들의 거주 사실과 이들이 일제 패망 후 한인회를 조직하여 활동한 사실, 한국광복군과 연계하여 병력을 모집하는 초모활동을 전개한 사실 등 북경 이북에서 내몽고 포두에 이르는 한국 독립운동과 관련한 새로운 사실들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2. (등록예고)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
□ 문화재명: 한국독립운동사략(상편)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 제작연대: 1921년
□ 수 량: 1책
□ 소 유 자: 독립기념관
□ 등록 사유
ㅇ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한 김병조(金秉祚, 1877∼1948)가 저술한 책으로서 3.1운동의 배경, 각 지방에서 발표된 독립선언서와 국내외 운동의 전개상황, 일제의 탄압 실태,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과정 등을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은 3.1운동 연구의 기본 문헌이 되었으며, 방대한 자료를 기초로 하고 있어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3. (등록예고)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 문화재명: 익산 구 이리농림고등학교 본관
□ 종 별: 등록문화재
□ 소 재 지: 전라북도 익산시 고봉로 79
□ 건립연대: 1963년
□ 수 량: 1동(지상4층)
□ 소 유 자: 전북대학교
□ 등록 사유
ㅇ 1963년 당시 이리 지역을 대표하는 농업전문 교육기관인 이리농림학교의 제2본관으로 건립된 건물로 학교의 역사와 흔적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 벽돌의 조적조 건물이면서 주출입구 상부의 계단실과 정면에 설치한 현관부(포치)를 화강석으로 쌓아 입면을 강조한 건축적 기법 등이 특징이며, 보존상태도 전반적으로 양호하여 등록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출처 : 문화재청>